• 제목/요약/키워드: Latent mean analysis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36초

리즈렐모형을 이용한 임도사업의 계량적 분석 (Analyses of Forest Road Construction Policy Using LISREL Approach)

  • 최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7권1호
    • /
    • pp.22-29
    • /
    • 2008
  • 이 연구는 주요 산림정책사업 중 하나인 임도사업의 집행분석을 통하여 효율적인 집행전략 수립에 필요한 정보를 얻고자 수행되었다. 분석에 필요한 자료는 대구경북, 울산, 부산지역의 정책집행 담당자를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통하여 수집되었다. 이 평가모형에서는 정책집행요인, 정책환경요인, 정책내용요인을 독립변수로, 정책결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식이 추정되었고 다시 정책결과를 독립변수로 정책효과를 종속변수로 하는 회귀식을 추정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수들은 직접측정이 불가능한 잠재변수(latent variable)로서 이의 측정을 위한 측정지표를 설정하였다. 잠재변수들과 이들 변수들 간의 관계를 측정지표를 통하여 계량화 하고 분석하기 위하여 LISREL(Linear Structural Relationship)분석방식을 사용 하였다. LISREL 분석결과 정책결과변수는 정책집행변수, 정책내용변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당초 평가모형에 포함된 정책주체요인 변수는 정책결과와는 유의성 있는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고 정책효과와 유의성 있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정책결과는 정책효과와 유의성 있는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즉 임도건설은 임업기반조성, 산촌지역주민에 대한 편의 제공, 지역균형발전을 위한 유효한 정책수단임을 확인하였다. 다만, 정책결과가 측정지표의 평가에서 보는바와 같이 만족할 만한 수준에 있지 못한바, 이의 개선을 위하여 정책내용의 개선이 필요하며, 특히 적정단비의 확보와 노선의 선정, 시공방법 등에 있어서 현장집행요원의 의견이 실질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제도의 개선이 요구된다.

데이터기반의 신규 사업 매출추정방법 연구: 지능형 사업평가 시스템을 중심으로 (A Data-based Sales Forecasting Support System for New Businesses)

  • 전승표;성태응;최산
    • 지능정보연구
    • /
    • 제23권1호
    • /
    • pp.1-22
    • /
    • 2017
  • 사업타당성 분석이나 기업 기술가치평가 등 미래의 사업에 대한 진입이나 투자 타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사업과 관련한 시장을 추정하고 그 안에서 확보 가능한 매출을 객관적으로 추정하는 과정이 필수 불가결하다. 이런 신규 매출이나 시장규모의 추정 방법은 다양한 방법으로 구분이 가능한데 크게 정량적인 방법과 정성적인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두 가지 방법 모두 많은 자원과 시간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우리는 신규 사업의 평가지원을 위한 데이터 기반의 지능형 매출 예측 시스템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사업타당성 분석이나 기술가치평가를 위한 신규 사업의 매출 추정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알고리즘 기반으로 전통적인 정량 예측방법 중 하나인 유추방법에 주목했다. 동일한 국내 산업에서 최근 창업한 기업의 매출 실적을 국내 신규 사업의 매출액을 추정하는 유추 대상 변수로 활용할 수 있는지 검토한다. 여기서 유추예측 대상은 최초 매출액과 초기 성장률이며, 주요 비교 차원은 산업분류, 창업시기 등이 고려된다. 특히 본 연구는 우리나라 창업 기업이 가지는 매출 성장률의 평균회귀 현상을 활용하는 지능형 정보 지원 시스템을 제안하다. 본 연구에서는 신규 매출 추정을 위해서 역사적 자료인 창업 매출 실적을 활용하는 방법이 적절한지 판단하기 위해서 잠재성장모형 등을 활용해 산업분류에 따른 신규 사업의 초기 매출액과 연도별 성장률이 산업분류별로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다. 기존 기업의 창업 후 4년간 매출 성과의 종단자료를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는데, 특정 산업분류에서 차이를 보여주는지 분석해 산업분류가 유추 예측에서 고려해야할 유의미한 변수인지 분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신속하고 객관적인 신규 사업 매출 추정을 가능하게 하는 지능형 정보시스템을 개발하게 해서 사업성타당성 분석이나 기술가치평가 과정의 효율성을 개선시켜 줄 것으로 기대된다.

장기 관측 에디 플럭스 자료의 연속성 확보에 대하여: 개회로 및 봉폐회로 기체분석기의 야외 상호 비교 (On Securing Continuity of Long-Term Observational Eddy Flux Data: Field Intercomparison between Open- and Enclosed-Path Gas Analyzers)

  • 강민석;김준;양현영;임종환;천정화;문민규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35-145
    • /
    • 2019
  • 장기간 관측된 자료를 기반으로 그 시계열의 장주기나 경향을 분석할 때 선행되어야 할 조건은 과거에 관측된 자료와 현재에 관측된 자료가 비교 가능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자료의 연속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장기 관측에 사용된 기기들 간에 호환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긴 에디 공분산 플럭스 관측 역사를 가지고 있는 광릉 활엽수림에서 다양한 기체분석기가 플럭스 관측에 사용된 가운데, 2015년 7월 과거 10년 이상 사용되었던 개회로 기체 분석기(Model LI-7500, LI-COR, Inc.)에서 봉폐회로 기체분석기(Model EC155, Campbell Scientific, Inc.)로 교체되었다. 기체분석기가 완전히 교체되기 전 두 기체분석기로 동시에 관측되었던 2015년 8월부터 12월까지 5개월의 기간 동안 모은 이산화탄소와 수증기(잠열) 플럭스를 서로 비교해보았다. 이산화탄소 플럭스는 일평균기온이 영상이었던 시기에 기체분석기 간의 큰 차이는 없었으나, 영하로 떨어지면서 개회로 기체분석기의 경우 기기에서 발생하는 열 때문에 이산화탄소 플럭스가 양의 값(이산화탄소 발원)에서 0 또는 음의 값(이산화탄소 중립 또는 흡원)으로 편향됨이 확인되었다. 잠열 플럭스는 봉폐회로 기체분석기에서 관측된 값이 주파수 반응 보정을 통해 수증기의 튜브 감쇄 효과를 보정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개회로 기체분석기에서 관측된 값보다 평균적으로 9% 정도 작았으며, 5개월 동안 적산 시 20% 이상 차이(봉폐회로: 166 mm, 개회로 211 mm)났다. 본 연구결과는 광릉 활엽수림에서 관측된 장기 플럭스 자료 분석 시, 개회로 기체분석기의 겨울철 가열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공기밀도 보정의 필요성과 함께 봉폐회로 기체분석기에서 나타나는 잠열 플럭스의 과소평가 경향에 대한 이해가 수반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잠복성 간질에 대한 항간제 투여의 뇌파상 효과 (Antiepileptic Therapy for Latent Epilepsy)

  • 박충서;변영주;하정상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2권1호
    • /
    • pp.71-75
    • /
    • 1985
  • 1985년 1월부터 10월까지 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신경과 외래를 찾은 두통환자 중에서 뇌파상 중등도 이상의 이상이 있는 환자가 580명이었다. 이들 중에서 간질의 간헐기 뇌파와 유사한 소견을 보이는 162명 환자들을 대상으로 투여한 항간제 및 뇌영양제 등을 단독 혹은 병용 투여한 한 후 치료효과를 분석한 결과 항간제투여군 29예에서 호전이 16예, 무변화가 13예이고, 항간제를 쓰지 않고 뇌 영양제를 사용했던 18예에서는 전예에서 호전을 보았다. 한편 항간제를 사용한 33예와 사용하지 않은 35예에서는 뇌파추적을 하지 못하였다. 수가 적어서 통계학적인 고찰은 하지 않았으며 앞으로 계획석인 계속 연구가 요망된다.

  • PDF

MeSH 기반의 LDA 토픽 모델을 이용한 검색어 확장 (The MeSH-Term Query Expansion Models using LDA Topic Models in Health Information Retrieval)

  • 유석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79-108
    • /
    • 2021
  • 헬스 분야에서 정보 검색의 어려움 중의 하나는 일반 사용자들이 전문적인 용어들을 이해하기가 어렵다는 점이다. 헬스와 관련된 전문 용어들은 일반 사용자들이 검색어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전문 용어들이 자동적으로 검색어에 더해질 수 있다면 좀 더 검색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제안된 검색어 확장 모델은 전문 용어를 포함하는 MeSH(Medical Subject Headings)를 검색어 확장을 위한 단어 후보 군으로 이용하였다. 문서들은 MeSH용어들로 표현이 되고 이렇게 표현된 문서들의 집합에 대해서 LDA(Latent Dirichlet Analysis) 토픽들이 생성된 후, (검색어+초기 검색어에 의해 검색된 상위 k개 문서들)에 연관된 토픽 단어들이 원래의 검색어를 확장하는 데 쓰여졌다. MeSH로 구성된 토픽 단어들은 임의로 정해진 토픽 확률 임계값과 토픽을 구성하는 단어의 확률 임계값보다 높았을 때 초기의 검색어에 포함되었다. 특정수의 토픽을 갖는 LDA 모델에서 이러한 적절한 임계값의 설정을 통해 선택된 토픽 단어들은 검색어 확장에 이용되어 검색시에 infAP(inferred Average Precision)와 infNDCG(inferred Normalized Discounted Cumulative Gain)를 높이는데 효과적으로 작용하였다. 또한 토픽 확률값과 토픽 단어의 확률값을 곱하여 계산된 토픽 단어의 스코어가 높은 상위 k개의 단어를 검색어를 확장하는 데 이용하였을 때에도 검색의 성능이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제증발산 측정 시 연직 풍속 이상치 탐색 및 대체 (Outlier Detection and Replacement for Vertical Wind Speed in the Measurement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 박천건;임창수;임광섭;채효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455-1461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2011년 5월, 6월, 7월에 덕유산 덕곡제에서 관측된 플럭스자료를 이용하여 에디공분산방법으로부터 증발산량을 측정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연직방향 풍속의 이상치 판별 및 대체에 대한 통계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직방향 풍속의 이상치를 파악하기 위해 적용된 통계분석방법은 사분위수를 바탕으로 상자그림(boxplot)의 분석결과 중에 이상치를 판별하기 위한 interquartile range (IQR)을 적용하여 이상치를 탐색하였다. 또한 삭제하거나 평균값으로 대체하는 방법을 통하여 보완된 연직방향 풍속자료를 이용하여 증발산량을 측정하였으며, 이를 보완전의 증발산량과 비교분석하였다. 비교분석한 결과에 의하면 이상치를 대체하기 전의 증발산량과 이상치를 대체한 후의 증발산량 사이에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강우 시에 보다 큰 차이를 보였다. 따라서 증발산량 측정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상치를 보완하기 위해 이상치를 삭제하거나 대체하여 증발산량을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온라인 학습에서 자기주도학습능력, 상호작용 및 수업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er-Instructor Interaction, Learner-Learner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in Online Learning Environments)

  • 유지은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255-281
    • /
    • 2020
  •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 학습으로 대표되는 학습 방법의 변화가 보편화 되고 있는 지금 본 연구는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 및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 수업만족도의 관계를 구조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고등학생과 대학생 집단 모두 온라인 학습자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은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을 증가시켰으며, 또한 높아진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은 수업만족도를 증가시켰다. 변인 간의 잠재평균비교분석을 통해 대학생과 고등학생 집단 간 변인들의 통계적 유의미한 평균 차이를 확인할 수 없었지만, 다집단 분석을 통해 고등학생의 경우 자기주도학습능력이 수업만족도와 교수자-학습자 상호작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았고, 대학생의 경우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온라인 학습의 수업만족도 향상을 위한 자기주도학습능력과 학습자-학습자 상호작용의 중요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제안점을 논의하였다.

디젤기관에서 경유/부탄올 혼합연료의 기관성능 및 연소특성 해석 (Analysis of performance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D.O./butanol blended fuels in a diesel engine)

  • 김상암;왕우경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55권4호
    • /
    • pp.411-418
    • /
    • 2019
  • In this study,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of butanol on the engine performance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the coefficient of variations of IMEP (indicated mean effective pressure) and fuel conversion efficiency were obtained by measuring the combustion pressure and the fuel consumption quantity according to the engine load and the mixing ratio of diesel oil and butanol. In addition, the combustion pressure was analyzed to obtain the pressure increasing rate and heat release rate, and then the combustion temperature was calculated using a single zone combustion model. The experimental and analysis results of butanol blending oil were compared with the those of diesel oil under the similar operation conditions to determine the performance of the engine and combustion characteristics. As a result, the combustion stabilities of D.O. and butanol blending oil were good in this experimental range, and the indicated fuel conversion efficiency of butanol blending oil was slightly higher at low load but that of D.O. was higher above medium load. The premixed combustion period of D.O. was almost constant regardless of the load. As the load was lower and the butanol blending ratio was higher, the premixed combustion period of butanol blending oil was longer and the premixed combustion period was almost constant at high load regardless of butanol blending ratio. The average heat release rate was higher with increasing loads; especially as butanol blending ratio was increased at high load, the average heat release rate of butanol blending oil was higher than that of D.O. In addition, the calculated maximum. combustion temperature of butanol blending oil was higher than that of D.O. at all loads.

Hall/Van de Castle System을 이용한 20대 한국 남녀의 꿈 내용 분석 (Dream Content Analysis of Koreans in Their Twenties Using Hall/Van de Castle System)

  • 장석하;이헌정;김린
    • 수면정신생리
    • /
    • 제11권2호
    • /
    • pp.89-94
    • /
    • 2004
  • 배 경:과거에는 정신과 영역에서 잠재몽이 강조되어 왔으나, 오늘날은 자아 심리학의 발달과 더불어서 현재몽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Hall과 Nordby는 현재몽과 실생활과의 사이에서 유사점이 있다고 주장하였고, 현재몽을 통한 일상생활에서의 정신병리에 대한 연구들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현재몽을 분석하기 위한 방법으로 Hall/Van de Castle System이 있으며, 이는 양적, 질적 분석을 모두 고려한 꿈 내용 분석의 한가지 방법이다. 방 법:232명의 남성과 여성(M:F=127:105;mean age=$21.0{\pm}2.7$)의 꿈을 최근 꿈 회상법(the Most Recent Dream Method)를 사용하여서 수집하였다. 수집된 꿈은 Hall/Van de Castle System을 사용하여서 분석되었으며, SAS와 DreamSAT를 사용하여 통계처리를 하였다. 결 과:여성이 남성에 비해서 보고서의 음절수가 더 많았다. 남성과 여성의 비교에서 남성은 부정적 자기비율(selfnegativity;$x^2=6.64$, df=1, p=0.004)이 높게 나타났으며, 여성은 집단 비율(Group Percent;$x^2=6.64$, p=0.0099), dreamer가 연관된 성공 비율(Dreamer-Involved Success Percent;$x^2=3.12$, p=0.048), 행운(Good Fortune;$x^2=4.52$, p=0.034)이 높게 나타났다. 결 론:본 연구는 한국인 남녀간과 한국인과 미국인 대학생 사이에 꿈 내용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을 보여주었고, 향후 꿈 내용 연구에 있어 기초자료로서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초등학교 아동의 성역할 정체감 및 가정환경변인에 따른 의복행동연구 (A Study on the Clot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onnection with Sex-Role Identity and Home Enviornments)

  • 전경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33-144
    • /
    • 1997
  • Clothing is considered as a means of self-projection in the childhood and children show clear preference on their own favorite clothing on which their latent identity is reflected. Changing sex-role identity, in particular, in the modern complex society specially affects the clothing behavior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othing behavior of children in conjunction with sen-role identity and home environment variables. This study will provide fundamental information on the clothing behavior in the childhood and be of help in selecting appropriate clothing in accordance with the variation of sex-role identity. Necessary information for this study was obtained through a questionaire. 'Bem sex-role identity inventory'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ex-role identity and the clothing behavior was studied in conjunction with the factors of conformity, dependence, aesthetics and interest. The subjects of investigation are composed of three hundred male and femal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5th and 6th grade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percentage(%), mean value(M), standard deviation(SD)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calculated and t-test, $x^2$-test, and Duncan's multiple range test were performed. The results form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Sex-role identity shows a little difference according to gender, order of a birth and standard of living. This small difference is shown to b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2. In clothing behavior in connection with the sex-role identity,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 was not found in typical sex-role identity group. However, clothing behavior in modernistic sex-role identity group exhibits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in the factors of dependence, aesthetics and interest at the level of P<.001. 3. As concerns the clothing behavior in connection with gender, boy students show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endency in aesthetics and interest than girls do. However, boy students show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tendency in aesthetics than girls do in connection with the standard of living. Although the clothing behavior associated with the level of parents education, mother's age and existence of mother's job shows a little difference in mean values, 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 was not detected. 4. Clothing behavior of the children shows a meaningful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5. Through 3-dimensional variables analysis, it is found that there is no mutual interaction between gender, sex-role identity and standard of living on the clothing behavior. The results from MCA supplementary analysis reveal that there is difference according to the gender, sex-role identity and standard of liv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