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ncy

검색결과 2,441건 처리시간 0.03초

비 작업보존형 라운드로빈 스케줄러 (Non-Work Conserving Round Robin Schedulers)

  • 정진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8호
    • /
    • pp.1663-1668
    • /
    • 2005
  •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에서의 QoS 보장을 위한 많은 연구가 지난 10여 년간 진행되었다. 이들 중 많은 수가 IntServs 기반의 플로우별 대역폭 할당과 보장을 위한 여러 가지 시그널링, 스케줄링 방법에 관한 것이나, 구현의 복잡성으로 인해 실제 네트워크에서 실현된 예가 드물다. 이러한 복잡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최근 플로우 통합 (Flow Aggregation)이 제안된 바 있다. 통합된 플로우 기반의 스케줄링을 통해 지연시간을 보장해주기 위해서는 플로우 간의 공정한 통합이 요구되며, 이를 위해서 스케줄러가 비 작업보존방식으로 동작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가장 간단하면서 별리 쓰이는 스케줄링 기법인 Deficit Round Robin을 변형한, 비 작업보존 방식의 Round Robin with Virtual Flow (RRVF)를 제안하고 이를 바탕으로 공정한 플로우간 통합을 시도하였다. RRVF가 보장하는 지연시간 최대치를 연구하였으며 이를 적용한 플로우 통합시의 지연시간 최대치를 구하였다. 이를 통해 RRVF로 플로우를 통합하는 경우 대역폭 할당이 간단해짐과 동시에 네트워크 전체의 지연시간도 줄어드는 것을 알아내었다.

협대역 사물 인터넷 환경에서 웹 객체의 평균 전송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해석적 모델 (Analytical model for mean web object transfer latency estimation in the narrowband IoT environment)

  • 이용진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1권1호
    • /
    • pp.1-4
    • /
    • 2015
  • 본 논문은 TCP 혼잡제어 메커니즘의 슬로우-스타트 단계에서 웹 객체의 평균전송 시간을 추정하기 위한 수학적 모델을 제안한다. 평균 지연은 네트워크의 종단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중요한 서비스 품질이다. 제안하는 모델의 적용대상은 작은 윈도우 크기로 인해 패킷손실이 슬로우-스타트 구간에서만 발생하는 멀티-홉 무선 네트워크와 대역폭이 작은 사물 인터넷을 대상으로 한다. 모델은 초기 윈도우 크기와 패킷 손실률을 고려하여 지연시간을 구한다. 제안한 모델은 주어진 패킷손실에 대해 라운드 트립 타임과 초기 윈도우 크기에 따라 주로 영향을 받게 되며, 종단 사용자가 사물 인터넷 응용 서비스에 요구하는 응답시간을 추정하는 데 적용될 수 있다.

분기 선예측과 개선된 BTB 구조를 사용한 분기 예측 지연시간 은폐 기법 (Branch Prediction Latency Hiding Scheme using Branch Pre-Prediction and Modified BTB)

  • 김주환;곽종욱;전주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4권10호
    • /
    • pp.1-10
    • /
    • 2009
  • 현대의 프로세서 아키텍처에서 정확한 분기 예측은 시스템의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최근의 연구들은 예측 정확도뿐만 아니라, 예측 지연시간 또한 성능에 막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하지만, 예측 지연시간은 간과되는 경향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분기 예측지연시간을 극복하기 위한 분기 선예측 기법을 제안한다. 이 기법은 분기장치를 인출 단계에서 분리함으로써, 분기 예측기가 명령어 인출 장치로부터의 아무런 정보도 없이 스스로 분기 예측을 진행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제안된 기법을 지원하기 위해, BTB의 구조를 새롭게 개선하였다. 실험 결과는 제안된 기법이 동일한수준의 분기 예측정확도를 유지하면서, 대부분의 예측지연시간을 은폐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더욱이 제안된 기법은 항상 1 싸이클의 예측 지연시간을 가지는 이상적인 분기 예측기를 사용한 경우보다도 더 나은 성능을 보여준다. 본 논문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기존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최대 11.92% 평균 5.15%의 IPC 향상을 가져온다.

정중운동신경과 척골운동신경의 전기생리학적 연구 (An Electrophysiologic Study on the Median Motor Nerve and Ulnar Motor Nerve)

  • 김종순;이현옥;안소윤;구봉오;남건우;김영직;김호봉;류재관;류재문
    • 대한정형도수물리치료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62-70
    • /
    • 2005
  • The determination of peripheral nerve conduction velocity is an important part to electrodiagnosis. Its value as neurophysiologic investigative procedure has been known for many years but normal value of median and ulnar motor nerve was poorly reported in Korea. To evaluate of median and ulnar motor nerve terminal latency, amplitude of CMAP(compound muscle action potential), conduction velocity and F-wave latency for obtain clinically useful reference value. 71 normal volunteers(age, 19-65 years; 142 hands) examined who has no history of peripheral neuropathy, diabetic mellitus, chronic renal failure, endocrine disorders, anti-cancer medicine, anti-tubercle medicine, alcoholism, trauma, radiculopathy. Nicolet Viking II was use for detected terminal latency, amplitude of CMAP, conduction velocity and F-wave latency of median and ulnar motor nerve.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PSS. Descriptive analysis was used for obtain mean and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was used to compare between Rt and Lt side also compare between different in gender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Median motor nerve terminal latency was right 3.00ms, left 2.99ms and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right and left side and genders. 2. Median motor nerve amplitude of CMAP was right 17.26mV, left 1750mV and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right and left side and genders. 3. Median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was right 57.89m/sec, left 58.03m/sec and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right and left side and genders. 4. Median motor nerve F-wave latency was right 25.74ms, left 25.59ms and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genders. 5. Ulnar motor nerve terminal latency was right 2.38ms, left 2.45ms and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right and left side. 6. Ulnar motor nerve amplitude of CMAP was right 15.99mV, left 16.02mV and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right and left side and genders. 7. Ulnar motor nerve conduction velocity was right 60.35m/sec, left 59.73m/sec and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right and left side and genders. 8. Ulnar motor nerve F-wave latency was right 25.53ms, left 25.57ms and there was significantly differences between genders.

  • PDF

Design and Architecture of Low-Latency High-Speed Turbo Decoders

  • Jung, Ji-Won;Lee, In-Ki;Choi, Duk-Gun;Jeong, Jin-Hee;Kim, Ki-Man;Choi, Eun-A;Oh, Deock-Gil
    • ETRI Journal
    • /
    • 제27권5호
    • /
    • pp.525-532
    • /
    • 2005
  • In this paper, we propose and present implementation results of a high-speed turbo decoding algorithm. The latency caused by (de)interleaving and iterative decoding in a conventional maximum a posteriori turbo decoder can be dramatically reduced with the proposed design. The source of the latency reduction is from the combination of the radix-4, center to top, parallel decoding, and early-stop algorithms. This reduced latency enables the use of the turbo decoder as a forward error correction scheme in real-time wireless communication services. The proposed scheme results in a slight degradation in bit error rate performance for large block sizes because the effective interleaver size in a radix-4 implementation is reduced to half, relative to the conventional method. To prove the latency reduction, we implemented the proposed scheme on a field-programmable gate array and compared its decoding speed with that of a conventional decoder. The results show an improvement of at least five fold for a single iteration of turbo decoding.

  • PDF

Memory Latency Penalty를 개선한 SIMT 기반 Stream Processor의 Memory Operation System Architecture 설계 (An Implementation of a Memory Operation System Architecture for Memory Latency Penalty Reduction in SIMT Based Stream Processor)

  • 이광엽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392-397
    • /
    • 2014
  • 본 논문은 Memory Latency Penalty를 개선한 SIMT Architecture 기반 Stream Processor의 Memory Operation System Architecture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구조는 Non-Blocking Cache Architecture를 적용하여 기존의 Blocking Cache Architecture에서 발생하는 Cache Miss Penalty를 개선하였고 다양한 알고리즘의 처리속도를 비교하여 제안하는 Memory Operation System Architecture를 적용한 Stream Processor의 성능 향상을 검증하였다. 실험은 각 알고리즘의 Memory 명령어의 비율에 따라 향상된 성능을 측정하여 Stream Processor의 성능이 최소 8.2%에서 최대 46.5%까지 향상됨을 확인하였다.

최적 레이턴시 기반 공정 큐잉 방식의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Latency-Optimized Fair Queuing Algorithm)

  • 김태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0권1호
    • /
    • pp.83-93
    • /
    • 2007
  •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공정 큐잉 방식인 WFQ(Weighted Fair Queuing)는 특히 인터넷 전화와 같이 저속이지만 엄격한 지연한계를 요구하는 서비스에 대해 대역폭 이용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WFQ의 문제점은 흐름의 레이턴시가 최적화되지 못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최근에 밝혀졌고, 이어서 최적레이턴시 기반 공정 큐잉 방식인 LOFQ(Latency-Optimized Fair Queuing)가 도입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LOFQ에 점유자원 최적화 기능을 추가하여 성능특성을 더욱 개선하고, 반복적으로 수행되던 LOFQ의 자원변환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수행 복잡성을 줄인다. 아울러 WFQ에 비해 대역폭 이용도가 우수함을 증명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성능개선 효과를 확인한 결과 $20{\sim}30%$의 개선이 있었다.

  • PDF

최적 레이턴시 기반 공정 큐잉 알고리즘의 대역폭 이용도 (Bandwidth Utilization in Latency-Optimized Fair Queuing Algorithm)

  • 김태준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4C권2호
    • /
    • pp.155-162
    • /
    • 2007
  • 널리 이용되고 있는 공정 큐잉 방식인 WFQ(Weighted Fair Queoing)는 특히 인터넷 전화와 같이 저속이지만 엄격한 지연한계를 요구하는 서비스에 대해 대역폭 이용도가 저하되는 고질적인 문제점을 갖고 있었다. 이러한 WFQ의 문제점은 흐름의 레이턴시가 최적화 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최근에 밝혀졌고, 이어서 최적 레이턴시 기반 공정 큐잉 방식인 LOFQ(Latency-Optimized Fair Queuing)가 도입되었다. 그리고 LOFQ에 점유자원 최적화 기능을 추가하여 대역폭 이용도를 개선하고, 반복적으로 수행되던 자원변환 알고리즘을 개선하여 수행 복잡성을 줄이는 등 LOFQ의 성능특성이 향상되었다. 하지만 여전 시뮬레이션에 의해 성능을 평가하고 있어 평가의 정확성과 소요시간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OFQ의 대역폭 이용도를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방법을 연구하고자 한다.

효율적인 웹문서 처리를 위한 HTTP 지연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Improving HTTP latency for the Latency Web Document Processing)

  • 고일석;최우진;나윤지;류승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권2호
    • /
    • pp.47-52
    • /
    • 2002
  • 인터넷 사용의 증가는 네트워크 부하를 급격히 증가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네트워크 부하의 증가는 인터넷 사용자들의 응답속도를 늦추는 요인이 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각종 연구가 필요하다. P-HTTP는 파이프라인 구조를 통해 HTTP의 성능을 개선한 모델이나 TCP 기반의 동작에서 P-HTTP와 TCP의 상호작용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성능이 저하된다. 덜 연구에서는 웹문서의 효율적인 처리와 인터넷 응답 속도의 저하를 막기 위해 P-HTTP와 TCP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를 개선한 모델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모델은 기존의 파이프라인 방식의 장점과 GETALL 메쏘드가 가지는 장점을 유지하면서 클라이언트 측의 캐시의 효용성을 높일 수 있어 각종 이미지와 멀티미디어 자료를 포함한 웹문서의 처리에서 그 효용성이 있을 것이다.

  • PDF

대역폭 이용도 측면에서 공정 패킷 스케줄러의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Fair Packet Schedulers in Bandwidth Utilization)

  • 안효범;김태준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197-207
    • /
    • 2006
  • 공정 패킷 스케줄러에서 트래픽 흐름의 속도에 의해 결정되는 최대전달지연이 그 흐름의 요구 지연규격을 위반할 경우 예약속도를 높여서 이를 줄여야 한다. 이러한 과잉예약의 결과로 전송대역폭이 손실되나, 이전연구에서 사용되었던 레이턴시, 공정성 및 구현복잡성의 세가지 성능지표로는 손실대역폭을 평가할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스케줄링 서버 자원의 손실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대역폭 이용도 지표를 제안하고, 대역폭 및 페이로드(payload) 이용도 측면에서 공정 패킷 스케줄러의 성능을 분석 및 평가하였다. 평가결과 요구 지연규격이 느슨할수록 높은 페이로드 이용도를 얻을 수 있었고, 특히 WFQ급 레이턴시를 갖는 스케줄러의 페이로드 이용도가 SCFQ에 비해 50%까지 개선됨을 발견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