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te Joseon

검색결과 587건 처리시간 0.024초

인천시 석남동 출토 직물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the Excavated Fabrics from unknown Woman's Tomb, Incheon)

  • 조효숙;배순화
    • 복식
    • /
    • 제57권10호
    • /
    • pp.24-34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ieces of 100 fabrics excavated from unknown woman's tomb Incheon, by analyzing woven methods, names of the fabrics, the kinds and the shapes of the patterns. The characteristics to assume the period of the fabrics are as follows. The geumsundan which was woven peacock insignia at chest and back area was excav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e tomb of Joseon. Peacock insignia woven with satin weave using supplementary golden wefts, wrapped gold thread. These kind of fabrics were usually imported in the $15^{th}$ century, according to the old documents, 'Nogeoldae' 'Joseonwangjosilrok' written at the end of Goryeo or early in Joseon. Thus, these relics are from about $15^{th}$ century. From this tomb, the mixture fabric of cotton and ramie are excavated. According to another excavated cases, the mixture fabric of cotton and ramie appears from the period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after the invasion, there are usually mixture fabric of cotton and silk. This also tells that these fabric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ose from the early period of Joseon Dynasty. The rounded patterns of Jangot is only shown from the fabrics of late Goryeo Dynasty, and the cloud pattern of an upper garment with a squared neckline is shown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So, the patterns from these excavated costumes are ranged from the late Goryeo Dynasty to the early Joseon Dynasty. To assume the period through the overall study above, these relics show the characteristics of the $15^{th}$ century fabric.

조선후기 왕릉재실의 변천과 여주 영릉(英陵) 재실의 건축특성 연구 (A Study on Changes in the Royal Tomb Keeper's House and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the Tomb Keeper's House of Yeong Mausoleum in Yeoju in the Late Joseon Period)

  • 우희중;김동욱
    • 건축역사연구
    • /
    • 제18권3호
    • /
    • pp.61-78
    • /
    • 2009
  • Although the royal tomb keeper's house in the late Joseon period did not undergo dramatic changes, overall, the keeper's house of Yeong Mausoleum, the tomb of King Hyojong, and other royal tombs afterward showed the classification of its rooms according to their purpose and the expansion of its size. During King Yeongjo's reign, the tomb keeper's house tended to consist of Jaesil, Anhyangcheong, Jeonsacheong and Haenggak. The size and arragement pattern of the tomb keeper's house of Yeong Mausoleum were partially maintained in royal mausoleums constructed afterward. Especially Anhyangcheong was first established on the tomb keeper's house of Yeong Mausoleum and its architectural form was maintained until that of Ye Mausoleum, the tomb of King Cheoljong. The tomb keeper's house of Yeong mausoleum in Yeoju was constructed in 1659 and then moved in 1673 and 1674. In order to bury King Hyojong's wife with King Hyojong, the site of Yeong Mausoleum was moved twice with using almost all materials used for the initial tomb. In addition, as norms related to rites performed at royal tombs were created in the early 20th century, the tomb keeper's house of Yeong Mausoleum was selected as an exemplary tomb keeper's house representing the royal tomb keeper's house of the Joseon era, and it mostly coincides with its remaining arrangement pattern. Through records distributed in relatively similar periods, it is considered that most of the features fo royal tomb keeper's house in the Joseon period have been inherited until today and that Yeong Mausoleum has a very higher architectural status as an especially valuable tomb keeper's house among royal tomb keepr's houses in the Joseon era.

  • PDF

한국 전통음악의 아속(雅俗)미학 패러다임 변화 연구 -조선시대 거문고[玄琴]의 아속적 심미를 중심으로- (Study on the Paradigm Shift of Ah-Sok(雅俗) Aesthetic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 Focusing on the aesthetics of Ah-Sok(雅俗) of Geomungo(玄琴) in Joseon Dynasty -)

  • 강유경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605-611
    • /
    • 2022
  • 본 연구는 아악과 속악의 개념과 범주를 어떻게 규정할 것인가는 논외로 하고, 조선 전기에서부터 후기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궁중음악과 풍류방 중심의 민간음악에 일관되게 투영되어 있는 전통 음악의 아속적 심미 체계에 대해 구체적 사료를 통해 밝혀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 조선전기 아속과 관련된 음악의 심미는 주로 궁중의 제례악과 연향악에 투영되었고, 특히 거문고[玄琴]의 심미적 사유가 그 중심에 있었다. 조선 후기로 내려오면서 아속과 관련된 음악의 심미는 민간으로 확장되어 풍류방 음악에 투영되어 있으며, 거문고[玄琴]의 심미적 사유가 그 중심에 있었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다.

조선 말기 괘불(掛佛)의 새로운 도상(圖像) 전개 (The evolvement of new composition of painting in Gwaebul (Buddhist Ceremonial Painting) at late Joseon dynasty)

  • 이은희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8권
    • /
    • pp.223-284
    • /
    • 2005
  • 조선시대 말기인 1885년에서 1926년에 조성된 괘불은 18점이 현존하고 있는데, 그 중 12점이 서울 경기지역 사찰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 초기의 능침사찰(陵寢寺刹)과 원찰(願刹)은 왕실의 후원을 받았으나 태종의 오교양종(五敎兩宗)의 혁파로 인해 불교의례의 규모가 축소되면서 사찰도 피폐해졌다. 그러나 18세기 말부터 다시 왕실과의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존속해온 사찰은 다시 번창하게 되었다. 국내 외의 사회적인 혼란했던 이 시기는 국가 및 왕실의 안녕을 빌고 망자(亡者)의 극락왕생을 위한 대중적인 사상이 괘불에서는 새로운 경향으로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괘불에 보이는 새로운 도상은 1853년 남호당 영기(南湖堂 永奇)(1820~1872)가 삼각산 내원암에서 판각 간행한 ${\ll}$아미타요해경(阿彌陀要解經)${\gg}$ 권수 판화에 그려진 아미타삼존도로부터 시작된다. 고려 말에 유행한 수월관음도의 재등장은 망자추선(亡者追善)과 제난구제(諸難救濟)의 역할과 허응당 보우의 〈수월도장공화불사여환빈주몽중문답(水月道場空華佛事如幻賓主夢中問答)〉이라는 도량의식의 '수월도양공화불사(水月道揚空華佛事)'의 허상과 망상이라는 도량의식, 극락세계에 왕생하기를 기원하는 만일회의 성행 등이 괘불 도상과 연관되면서 새로운 도상 출현은 조선 말기 괘불에 새로운 이슈로 나타난다는 점이 주목된다. 괘불의 화풍도 진하고 탁하고 채색과 음영법, 초본을 여러 번 활용한 동일한 도상에서 중앙집권적화된 화사계보를 형성하고 있다는 것도 이 시기의 특색이라 할 수 있다.

칠원 무기연당의 공간 변천과 조영 특성 (Space Transition an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of Mugiyeondang in Chirwon)

  • 임한솔;한동수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1호
    • /
    • pp.29-42
    • /
    • 2018
  • Mugiyeondang(舞沂蓮塘) is the garden that the provincial noble family in Yeongnam(嶺南) has constructed since the late Joseon period. Mugiyeondang is well known as a typical case of traditional garden in Joseon period. But it is also an exceptional case because of its informal layout that infers gradual space transition.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historical story of the garden beyond the superficial description about existing spatial status and literature materials. Mugiyeondang had been constructed by seven generations of the family during two hundred years, and there were significant events at every transition points. The figure and name of elements reflects each historical change of the family. Mugiyeondang is an important case to notice that a garden was not just a subsidiary space for mere leisure life of the gentry of Joseon period, But it was an important for some families as their representative and symbolic space.

조지 포크가 경험한 1884년 조선의 음식문화 (Joseon Dynasty's Food Culture Experienced by George C. Foulk in 1884)

  • 박채린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7-142
    • /
    • 2020
  • This research is the first known to introduce and analyze food-related content among the records left by George Clayton Foulk (1856-1893), a naval attache dispatched as part of a U.S. delegation to Korea during the Joseon dynasty in the 19th century. Sketches and memos by Foulk provide important clues in understanding the food culture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By analyzing the types of foods, table composition, and intervals between serving the nine rounds of food from the rural government office, which Foulk ate during his local trip, he was able to confirm that there was a starter ('preliminary table' or 'hors d'œuvre') before the main table and that it was served before the main dish.

조선시대 지방 의생 제도에 대한 고찰 (Review on Local Medical Cadets in Joseon Dynasty)

  • 박훈평
    • 한국의사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9
    • /
    • 2016
  • The word Euisaeng (醫生) is shorthand the Euihaksaengdo (medical cadets), that means has been changed according to the times. Throughout the Goryeo dynasty, Euisaeng was not mean medical student, but also primary healthcare. Existing research on Euisaeng of Joseon dynasty has been grouped together, despite the identity and characteristic differences 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Euisaeng. The authors have separated the two,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focuses on local Euisaeng. The authors found the following facts in this study. First, status of Oebang-euisaeng (local medical cadets) was declined in the latter than in the early Joseon. Second, Oebang-euisaeng of the late Joseon was Layered Hyang'ri. Third, The local medical cadets was important, the role of primary healthcare. On the other hand, The central medical cadets was important, the role of a student learning medicine.

조선시대 원삼의 시기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of Wonsam in the Joseon Dynasty)

  • 임현주;조효숙
    • 복식
    • /
    • 제63권2호
    • /
    • pp.29-44
    • /
    • 2013
  • This study is about the periodic characteristics of Wonsam in the Joseon Dynasty. Wonsam include the Danryeong-shaped Wonsam in the beginning, the compound Wonsam in a period of transition and the stereotyped Wonsam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onsam are divided into four stages. The first stage of the Wonsam is from the 15th to 16th century. The shape of Wonsam began to form and it was similar to one of Danryeong during this tim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the first Wonsam included collars that looked like one of Danryeong, side pleats(called Moo) with multiple inner folds, straight cylinder-shaped sleeves, and a belt tied with the Wonsam. There were various fabrics that were used for the Wonsam from this stage. Second stage of the Wonsam is from the early 17th to mid 17th century. This period marked the beginning of the transition of the Wonsam and it served as a stepping-stone to the development stage in the Joseon Dynasty.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al Wonsam were a complex combination of the Danryeong and Wonsam. During this period, the Wonsam went through many changes and forms in a short period of time. Third stage of the Wonsam is from the mid 17th to early 19th century. The Wonsam was developed at this stage. The developed Wonsam went through a period of transition equipped with a stable form.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Wonsam during this period included collars that faced each other, big and wide sleeves with multicolored stripes, Hansam, curve-edged side seam and the side pleats(Moo) with multiple inner folds had disappeared. It was a turning point from the single-layered clothes to double layered clothes and from dark blue to green color appeared at this time. The fabric patterns of this stage tended to consist of more simplified silk pattern. The fourth stage of the Wonsam is from the late 19th to 20th century. The Wonsam was expanded at this stage.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fabrics were typically used for the standard Wonsam and were divided into two types; as a ceremonial robe used in courts and a wedding ceremonial robe for the common people. Phenomena such as sewing of double-layered clothes as one and straight-edged side seam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developed into simpler and more practical fashion culture.

조선 후기 국장용 운반 상구고(喪具考) (A Consideration about the funeral Supplies for Carriage in the late of Joseon Period)

  • 박종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39권
    • /
    • pp.191-217
    • /
    • 2006
  • 상장례 중 발인절차에서 각종 물품과 시신을 운반하는 상구를 이용하여, 상주들은 예를 원활하게 치루고자 노력한다. 이미 조선시대 초기에 "세종실록"과 "국조오례의"를 통해서, 이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들은 일반백성들이 지켜야 할 예서의 수준을 넘어선 국가의례의 표준서이다. 조선 중후기를 넘어오면서, 국가가 정한 국장의례 규정에 따라서, 국장도감은 운반상구류를 제작하여서 사용하였다. 그 예로 대여 견여 요여 채여 연 가자 등을 제작하여서 국장에 실제로 사용하였다. 이와 관련하여서, 조선 중기 이후에 일련의 실제 국장과 그에 소요된 기물들을 기록한 책인 의궤를 살펴볼 수 있다. 본 글은 "선조국장도감의궤", "인조국장도감의궤", "정조국장도감의궤", "순조국장도감의궤", "명성황후국장도감의궤"를 참고서로 활용하여서 조선 중후기 국장에서 실제로 사용되었던 운반상구류에 관해서 살펴보았다. 운반상구류의 준비와 제작과정, 활용상황, 그 변화에 이르기까지 국장도감의궤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알아보았다. 조선시대 왕실의례는 곧 국가를 대표하는 의례이어서 개인의 기호에 따라서 좌우될 수 없었다. 조선시대 왕실이 한 국가의 상징이자, 실질적인 권력이 나오는 곳이었기 때문에, 왕실의례는 한 국가의례로서 전형을 보여주어야 했다. 운반상구류가 대행왕의 옥체를 실은 재궁, 왕실의 권위와 왕통을 상징하는 물품 등을 운반하기 때문에, 국장도감은 세심한 배려와 함께 신중을 기하였다. 이는 이러한 물품들이 살아서 이 땅을 지배하였던 왕 같은 권위를 지니고 있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은 발인 시에 단순한 운반상구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왕과 동격 선상에 있는 상징적인 물품들이다. 정형성을 유지하였던 국장용 운반상구 역시 조선 후기로 접어들면서 당시 현실적인 여건으로 다소의 변화가 일어났다. 왕실의례가 전례의식의 특징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부 변화를 가져왔다면, 사대부 및 일반 백성들 사이에서 상구류 제작 또는 사용에서도 변화를 꾀할 수 있었다. 이 점에서 조선시대의 국장용 상구류 변화에도 관심을 기여야 한다.

구한말 민중사상과 도교이미지, 그리고 도교서 언해 (Folk Ideas, Daoist Images, and Daoist Text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 이봉호
    • 대순사상논총
    • /
    • 제36집
    • /
    • pp.201-225
    • /
    • 2020
  • 조선후기에 민중사상은 도교적 요소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정감록』을 중심으로 한 민중사상은 '해도기병설'과 '남조선신앙', '미륵하생' 등으로 구체화되고, 이는 『정역』에 의해 개벽이라는 형태로 발전한다. 이들 민중사상에는 풍수와 도참의 내용들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는 도교의 방술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철종 때부터 도교서들이 번역되기 시작하고, 고종에 의해서 국가의 국역사업으로 많은 도교서들이 번역, 간행된다. 이들 도교서의 성격은 선서류(善書類)이거나 보권류(寶卷類)이다. 문제는 이들 선서와 보권류의 도교서들이 청대 민란의 주요한 원인을 제공했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에서 국가사업으로 진행된 도교서들의 번역은 민란이나 변혁을 바라는 민중들에게 이론적 근거를 제공할 것인데, 왜 고종은 도교서 번역 사업을 국가적으로 시행했는가라는 질문을 제기할 수 있다. 이 질문을 해결하기 위해, 조선 후기의 민중사상을 정리하고, 그 내용들이 도교와 밀접한 관계임을 해명하였다. 또한 한국의 역사에서 도교는 국가적 위기에서 진호(鎭護)의 성격으로 등장해왔던 사실들을 정리하고, 임진왜란 당시에 도교가 호출되는 상황을 정리했다. 아울러 『홍길동전』과 『홍길동전』과 거의 동일한 서사를 갖는 야담(野談)의 내용들 속에 도교적 요소들이 있음을 해명하였다. 고종이 국권을 잃을 상황에서 도교 선서와 보권을 국역하고 보급한 것은 도교의 국가 진호적 성격을 인식하고, 도교를 통해 국권을 지키고자 한 의도임을 해명했다. 아울러 현재 한국의 상황에서 도교적 풍습과 관례는 고종의 도교 선서와 보권의 보급과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