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va growth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31초

Study on the Application of Protaetia brevitarsis Larva Excrement as Organic Fertilizer

  • Cha, Jungmoon;Kwon, Ohseok
    • Proceedings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of the Republic of Korea
    • /
    • 제2권3호
    • /
    • pp.180-187
    • /
    • 2021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Protaetia brevitarsis larva excrement as an organic fertilizer for corn cultivation. Furthermore, the study investigated insect communities in each treatment. In 2009, the corn growth rate was worst in soil treated with P. brevitarsis larva excrement and in 2010, the corn growth rate was worst in untreated soil. From the outcome of the study, P. brevitarsis larva excrement could be utilized as organic fertilizer for corn cultivation.

수온, 자어밀도 및 먹이공급량에 따른 붉은쏨뱅이, Sebastiscus tertius 자어의 성장과 생존율 (Water Temperature, Rearing Density and Feeding Rate on Growth and Survival Rate of Red Marbled Rockfish, Sebastiscus tertius Larvae)

  • 허성범;임상구;김철원;김광수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213-220
    • /
    • 199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water temperature and stocking density and rotifer density on the mass production of larval red marbled rockfish, Sebastiscus tertius. Total length of the marbled rockfish larva grown in $23^{\circ}C$ of water temperature were 10.80mm, which was the best, while those grown in $29^{\circ}C$ of water temperature were 6.28mm, which was the lowest. The survival rates of red marbled rockfish larvae grown in $20^{\circ}C$ and $23^{\circ}C$ were 24.0% and 18.5%, respectively. However, the survival rate of red marbled rockfish larvae grown in $26^{\circ}C$ was $7^{\circ}C$ and no larvae survived in $29^{\circ}C$. The total length of red marvled rockfish larva stocked at the density of 5 and 10 larvaper liter of water were high, which were 11.52 mm and 11.22 mm, respectively, but those stocked at the density of 30 larva per liter of water were 7.55mm, which was the lowest. The survival rate of red marbled rockfish larva stocked at the density of 2.5 larva per liter of water was 52.0%, which was the best, but the lowest, 18.0% for the red marbled rockfish larva stocked at the density of 30 larva per liter. There was a trend toward decrease in survival rate of red marbled rockfish larva as their stocking density increased. The survival rates of red marbled rockfish larva fed rotifers at the density of 10 and 5 individuals per ml were high, 48.5% and 48.0%, and their total lengths were 11.92 and 11.89mm, respectively, which grew relatively fast. The survival rate and the total length of red marbled rockfish larva fed rotifers at the density of 30 individuals per ml were the lowest, which were 8.40mm and 21.5%, respectively. Also, red marbled rockfish larva fed rotifers at the density of more than 20 individuals per ml achieved poor survival and growth.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roper conditions for the mass production of larval red marbled rockfish were $23^{\circ}C$ of water temperature, fish larva stocking density of 5 to 10 larva per liter of water and rotifers density of 5 to 10 individuals per ml as live feed.

  • PDF

Limnoperna fortunei 유생(幼生)의 성장(成長) 및 변태(變態)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Metamorphosis and the Growth of Larva in Limnoperna fortunei)

  • 최신석;김정섭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3-18
    • /
    • 1985
  • The metamorphosis and the growth of larva in Limnoperna fortunei were studied from October, 1981 to December, 1983. 1) The larva of this species is observed in the three different stages in the form of D-shaped. The shell length of the larva in the early stage is $130.44{\mu}m$ to $143.60{\mu}m$ and in the middle stage $161.67{\mu}m$ to $184.11{\mu}m$. In the late stage the length size of the larva increases up to $194.55{\mu}m$ to $208.45{\mu}m$. The shell height is $103.19{\mu}m$, to $119.47{\mu}m$, $126.51{\mu}m$ to $157.63{\mu}m$ and $136.87{\mu}m$ to $176.35{\mu}m$ in the three stages respectively. Thus the growth ratio of shell length to shell height is 1:0.75. 2) The metamorphosing stage begins when the shell height becomes larger than $210{\mu}m$ and the shell length exceedes $260{\mu}m$.

  • PDF

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 난 발생과 유생의 성장 (Egg Development and Lana Growth of the Scallop, Patinopecten yessoensis)

  • 박영제;이정용;김완기;이채성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79-84
    • /
    • 2001
  • 동해안 가리비 (Patinopecten yessoensis)의 안정적인 인공종묘생산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온과 염분에 따른 난 발생, 수온과 먹이생물에 따른 유생의 성장과 생존율을 조사하였다. 수정란은 난경 77.3$\pm$2.7 $\mu\textrm{m}$의 분리침성란으로서 산란 6시간 후에 4세포기로 발달하였으며, 수정 60 시간 후에 각장 117$\pm$3 $\mu\textrm{m}$의 D형 유생으로 발달하였다. 수온 10-2$0^{\circ}C$, 염분 28-34 ppt에서 정상 발생이 가능하였으며, 수온이 높을수록 난 발생 속도가 빨라졌다. D형 유생은 수정 10일 후에 각장 160 $\mu\textrm{m}$ 전후의 각정기 유생으로 발달하였으며, 수정 25일 후에 각장 250 $\mu\textrm{m}$로 성장하여 안점이 관찰되는 성숙유생으로 발달하였다. 유생기 동안 각장 (SL)에 대한 각고 (SH)의 상대 성장식은 SH=1.0425SL - 27.731 ($r^2$= 0.9749)였다. 수온별 유생사육에서는 8$^{\circ}C$와 12$^{\circ}C$에서 낮은 성장률을 보였으며, 2$0^{\circ}C$에서 낮은 생존율을 보였으나 16$^{\circ}C$에서 성장과 생존을 모두 양호하였다. 식물 먹이생물에 따른 성장과 생존율은 Isochrysis galbana, Pavlbava lutheri 및 Chaetoceros calcitrans를 혼합 공급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이었다.

  • PDF

장수허리노린재(Anoplocnemis dallasi Kiritschenko)의 成長分析 (An Analytical Study on the Growth of Anoplocnemis dallasi Kiritschenko)

  • 박상옥;이창언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139-158
    • /
    • 1971
  • 장수허리노린재(Anoplocnemis dallasi Kiritschenko)의 第1齡 幼蟲(50個體)부터 成蟲까지(各 70個體씩)에서 얻은 實測値를 定式化하여 成長 및 相對成長을 分析 觀察한 結果 다음과 같은 結論을 얻었다. $\circled1$ 成長量 : 口吻이 가장 緩慢한 直線狀 增加를 하고 그 外는 모두 急激한 抛物線狀 增加를 나타내며 體長, 後脚, 中脚, 前脚, 觸角, 前胸背板의 幅, 口吻의 順으로 體長이 가장 急激하게 增加한다. $\circled2$ 成長比 : 口吻의 增加率 3.054倍가 가장 적으며 直線狀 增加를 나타내고 그 外는 모두 抛物線狀 增加를 보이며 前胸背板의 幅의 增加率 8.186倍가 가장 크다. $\circled3$ 各 齡別成長比 : 가장 큰 成長比는 若齡 幼蟲쪽에 있으며 가장 적은 成長比는 老齡 幼蟲쪽에 있다. $\circled4$ 成長率 : 觸角의 그것이 減少되었으며 그 外는 모두 增加되었다. $\circled5$ 比成長率 : 觸角이 가장 急하게 減少되었으며 前脚, 口吻, 後脚, 中脚의 順으로 緩慢해졌고 前胸背板의 幅과 體長은 上昇되다가 減少되었다. $\circled6$ 相對成長係數($\alpha$)는 위의 모든 部位에 對해서 前胸背板의 幅의 그것이 항상 가장 强한 優成長이었고 口吻은 가장 弱한 劣成長이었다. $\circled7$ 對 體長, 對前胸背板의 幅, 對觸角, 對口吻, 對前脚, 對中脚, 對後脚 相對成長에서 各 部分의 相對成長係數($\alpha$)는 同一한 樣式(順序)을 나타낸다. $\circled8$ 相對成長係數 $\alpha$가 增加하면 相對成長 初量 b가 減少하는 傾向을 나타내며 그 逆도 成立한다. $\circled9$ 劣成長일 境遇는 成長中心이 若齡基에 있고 優成長일 境遇는 老齡基에 있다.

  • PDF

네 가지 다른 온도가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유충 생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our different temperatures on the growth of Aedes albopictus larva)

  • 나수미;장혜지;박소정;이은영;도지선;홍승비;이훈복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55-160
    • /
    • 2018
  • 본 연구는 기후변화로 모기 매개 질병이 확산되고 있는 범지구적 차원에서 주요 질병을 매개하는 흰줄숲모기(Aedes albopictus) 유충의 생장이 여러 가지 온도 조건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흰줄숲모기 유충 120개체를 채집하여 120개의 $20m{\ell}$ 유리용기(vial)에 한 개체씩 넣어 12개의 수조($17{\times}24{\times}18cm^3$)에 유리용기를 10개씩 분리하고, 3반복수의 수조를 4가지 온도($17^{\circ}C$, $21^{\circ}C$, $24^{\circ}C$, $28^{\circ}C$)로 조절된 배양기에 배치시켰다. 각 수조는 1령 3개체, 2령 3개체, 3령 2개체, 4령 2개체로 구성하여 흰줄숲모기 유충의 온도에 따른 우화율 및 생장 단계 별 평균 사망률, 온도에 따른 생장 단계별 최저 사망률, 온도에 따른 평균 수중 생존기간에 대한 연구를 27일 동안 진행하였다. 그 결과, 온도에 따른 평균 우화율은 $21^{\circ}C$에서 $20.00{\pm}5.77%$, $17^{\circ}C$, $24^{\circ}C$, $28^{\circ}C$에서 $3.33{\pm}3.33%$로 나타났다. 생장 단계별 평균 사망률은 1령이 $19.24{\pm}3.65%$, 2령이 $16.48{\pm}3.25%$, 3령이 $23.54{\pm}5.06%$, 4령이 $40.74{\pm}7.08%$로 나타났다. 온도에 따른 생장 단계별 최저 사망률은 1령이 $17^{\circ}C$에서 $13.33{\pm}6.67%$, 2령이 $21^{\circ}C$에서 $7.41{\pm}7.41%$, 3령이 $24^{\circ}C$에서 $10.74{\pm}6.43%$, 4령이 $28^{\circ}C$에서 $20.37{\pm}5.46%$로 나타났다. 온도에 따른 평균 수중 생존기간은 $17^{\circ}C$$26.33{\pm}0.67$일, $21^{\circ}C$$23.33{\pm}1.33$일, $24^{\circ}C$$20.00{\pm}2.52$일, $28^{\circ}C$$11.67{\pm}1.20$일로 나타났다. 전체적인 결과를 통해, 흰줄숲모기 유충의 생장은 $21^{\circ}C$가 가장 적절한 온도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생장 단계 중 4령에서 가장 많은 개체가 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접적인 온도 설정을 이용한 흰줄숲모기 유충에 대한 연구 결과는 향후 모기 방제방법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씨고자리파리(Delia platura (Meigen))에 의한 대두의 피해정도와 생산성 변화 (Delia platura (Meigen) as a Soybean Insect Pest)

  • 김태홍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74-181
    • /
    • 1992
  • 씨고자리파리(Delia platura) 유충의 피해가 차후 대두 생육과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을 기상생태형별로 조사하고 또 해충종합관리의 방안으로서 토양내 유기물함량, 토양의 종류, 피복등과 피해정도와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음과 같다. 콩 초생단엽의 피해로 영양생장이 지연되었는데 일장에 의해 유도되는 개화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인위적으로 적엽한 구 보다는 충접종에 의한 피해구에서 생육지연 현상이 두드러졌는데 이는 초생단엽 피해 외에 지하 경.근부가 함께 피해를 받은 때문이었다. 생산량은 초생단엽이 25% 피해를 받은 구부터 크게 감소하였다. 콩의 출현속도는 무피복구에 비해 피복구에서 빨랐는데 투명비닐의 촉진 효과가 가장컸다. 식양토와 식토구에서 재배한 콩의 피해가 적었으며 토양내 부엽토 함량이 증가하면 출현속도가 빨라져 초생단엽의 피해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참굴 Crassostrea gigas 인공종묘생산 시 유생의 성장과 체성분 변화 (Larvae Growth and Biochemical Composition Change of the Pacific Oyster Crassostra gigas, Larvae during Artificial Seed Production)

  • 허영백;민광식;김태익;이승주;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03-212
    • /
    • 2008
  • 참굴 유생의 최적 성장과 먹이생물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해 현재 인공종묘생산에서 많이 이용되고 대량배양이 용이한 미세조류를 대상으로 그 요구조건을 구명하고, 나아가 인공배합사료개발에 요구되는 기초적인 사료 설계 자료를 얻기 위하여 대량 인공종묘생산 시 유생에 축적되는 영양소의 변화를 유생의 발달 단계에 따라 조사하였다. 유생의 일간 각장 성장은 $5.8{\sim}30.8\;{\mu}m$로 중형각정기 유생 이후 최대 성장률을 보였고, 사육 12일째 각장 $311.0\;{\mu}m$의 부착기 유생으로 성장하였다. 습중량, 건중량 및 AFDW는 각각 $0.5{\sim}15.0\;{\mu}g/larva$, $0.2{\sim}6.5\;{\mu}g/larva$$0.1{\sim}2.3{\mu}g/larva$이었다. 각각의 증중량은 D형 유생에서 각장 $100\;{\mu}m$까지는 감소하였고, 사육 8일째까지는 급격한 증가를 보였지만, 부착기 유생으로 발달하면서 감소하였다. 알의 일반성분 조성 중 회분은 7.7%로 전체 유생단계의 $30.3{\sim}39.6%$에 비해 매우 낮은 함량을 보였지만, 조단백질, 조지질 및 탄수화물의 함량은 전 유생단계에 비해 높았다. 유생의 조지질($0.6{\sim}1.1%$), 조단백($6.1{\sim}10.6%$), 탄수화물($1.0{\sim}2.7%$), 아미노산 및 지방산 함량은 포기각정기 유생까지는 감소하였고, 이후 어느 정도 축적되는 경향을 보였다. 알과 유생의 아미노산 조성 비율은 유생의 발달단계와 상관없이 비슷한 조성비로 glutamic acid (5.85%, $1.26{\sim}2.24%$)과 aspartic acid (4.67%, $0.97{\sim}1.70%$)가 가장 놀은 조성을 보였다. 전체 유생기 동안 필수아미노산으로서 leucine ($0.83{\sim}1.26%$), lysine ($0.90{\sim}1.35%$) 및 arginine ($0.92{\sim}1.25%$)이 성장함에 따라 비교적 높게 축적되었다. D형 유생에서 부착기 유생으로 발달하는 과정에서 조화지방산은 65.5% ($54.3{\rightarrow}17.1%$)로 줄어들었고, 단일불포화지방산과 고도불포화지방산은 각각 35.8% ($29.9{\rightarrow}40.6%$)와 484.6% ($7.8{\rightarrow}45.6%$)로 축적되었다. 이 중 palmitic acid ($9.9{\sim}37.0%$), oleic acid ($12.2{\sim}32.3%$) 및 linoleic acid ($2.0{\sim}33.6%$)가 비교적 높은 조성을 보였고, EPA와 DHA은 각각 $2.2{\sim}11.6%$, $2.0{\sim}4.5%$로 나타나, 전체 유생단계에서 EPA가 DHA에 비해 높은 조성비($1.1{\sim}3.5$, EPA/DHA)을 보였다.

초등예비교사들의 곤충의 탈피와 변태에 관한 개념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Conceptions on Molt and Metamorphosis of Insect)

  • 손석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4권2호
    • /
    • pp.130-137
    • /
    • 2005
  •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the insect molt and metamorphosis was examine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aper-pencil test of 448 junior students at 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The instrument used was developed by Son(2003) and modified for the test.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nly 3.1$\%$ of students had a scientific concept on the molt periods in the insect life cycle. Students had an alternative conception that molt occurs either only in the larval period (29.9$\%$) or only in the period from pupa to adult (22.3$\%$). The percentage of the students thinking that molt occurs in the period from larva to pupa was low. Second, 98$\%$ of students stated that molt has to do with the larval growth, but 39.1$\%$ of students had an alternative conception that molt occurs after the larval growth at each instar. 25.1$\%$ had a conception that molt is related with the larval growth, but did not show any further understanding. Third, most students understood the correct meaning of metamorphosis. 34..2$\%$ of students had an alternative conception that metamorphosis occurs only in the period changing from pupa to adult, and only a few thought that it occurs in the period from larva to pupa. 24.8$\%$ of students had a scientific concept on the periods in which metamorphosis occurs. Fourth, some students understood the hatching process as molt in the sense that the egg shell is taken off (21.0$\%$), and as metamorphosis in terms of the appearance change from egg to larva (25.0$\%$). Fifth, 35.5$\%$ of students selected bees as an insect of incomplete metamorphosis, and 35.3$\%$ responded 'I have no idea', showing that they had poor understanding about the insect life cycle.

  • PDF

한국산 해마, Hippocampus coronatus의 출산과 초기성장 (Parturition and Early Growth of Crowned Seahorse, Hippocampus coronatus in Korea)

  • 최영웅;노섬;정민민;이영돈;노경언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09-118
    • /
    • 2006
  • 체색의 변화가 다양하여 관상용으로 가치가 높은 Hippocampus coronatus의 안정적인 번식기술을 개발하기 위하여 가막만과 여자만 부근해역의 잘피밭에서 채집 한 후 실험실에서 사육하면서 어미의 출산특성, 자치어의 성장 및 초기자어사육에 알맞은 먹이조건을 조사하었다. $7{\sim}11$월에 가막만과 여자만에서 출현한 체장(SL) $53.91{\sim}87.31 mm$ (평균 $77.76{\pm}9.84 mm$, n=12) 범위의 개체들이 실험실내에서 $6{\sim}75$ 개체(평균 39 ind./male/time)를 출산하였다. 출산 직후 자어의 크기는 $11.69{\sim}15.81 mm$(평균 $13.7{\pm}1.3 mm$, n=15)였고 몸통과 꼬리의 체륜수는 10 그리고 39개였으며 가슴지느러미, 등지느러미 그리고 뒷지느러미 줄기수는 각각 12, 14 그리고 4개였다. 출산 후 60일에는 $23.48{\sim}25.29 mm$ (평균, $24.65{\pm}0.83 mm$, n=4)로 성장하였고 일간성장률은 0.18 mm/day였다. Copepod와 Artemia를 혼합 공급하여 포식량을 조사한 결과 출산 후 5일째에 copepod nauplii의 포식량은 평균 21 ind./larva/hour였고 Artemia napulii의 포식량은 평균 3 ind./larva/hour로 copepod nauplii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고 출산 후 30일째에는 copepod nauplii에 대한 포식량이 평균 5 ind./larva/hour, 그리고 Artemia napulii의 포식량이 평균 9 ind./larva/hour로 성장함에 따라 Artemia napulii에 대한 포식량이 증가하였다. 생존율을 고려한 먹이 공급방법에 있어서 Artemia nauplii와 copepod nauplii를 혼합 공급할 경우 생존율은 출산 후 50일에 48.9%로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