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ge vacuol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7초

항암제 cyclophosphamide가 diethylnitrosamine에 의한 랫드 간암에 미치는 조직학적 영향 (Histological effect of cyclophosphamide on diethylnitrosamine-induced hepatic tumors in rats)

  • 곽수동;강정부;고필옥;김종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593-601
    • /
    • 1999
  • This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yclophosphamide(CY) on diethylnitrosamine(DEN)-induced hepatic tumors in rats. Thirty five male or female Sprague Dawley rats were continiously given water containing 0.01% DEN for 10 weeks and then were given with CY 25mg/rat/day in water for 3, 5, 7 or 9 days. The livers of rats were removed and fixed in 10% buffered neutral formalin. he appearances of positive cells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s using proliferating cell nuclear antigen (PCNA) antibody, p53 antibody and apoptotic kit were investigated. The livers of rats given with CY were grossly brilliant, red-brown color, flexible, and thin border, and stainability of the liver cells were restored microscopically, and the vaccuolated and degenerated regions were differentiated from restored regions. These restored findings also were advanced in control group because of no DEN treatment but tended to be less avanced. In immunohistochemistry, positive cells to PCNA antibody appeared more numerous in control groups than that of CY treated groups. Appearance of positive cells in CY-treated group for 7 days and for 9 days were more numerous than those of CY-treated groups for 3 days and for 5 days, respectively. So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CY suppressed cell proliferations and effects of these action were decreased with CY-treated days. The numbers of positive cells to PCNA antibody were more prominent in hepatocellular carcinoma regions and cholangiocarcinoma regions, and then were ranked as order of large liver cell regions and normal liver cell regions. Also the numbers of the positive cells by apoptotic kit tended to be higher in hepatocellular carcinoma regions and cholangiocarcinoma regions but not uniformly in order in all regions and were much less numbers than those of PCNA positive cells. So immunohistochemical methods using PCNA antibody together than using apoptotic kit alone when anti-carcinogen experiments. Rats with positive cells by p53 antibody were 11 of 15 rats(73.4%) in control groups and 12 of 18 rats(66.7%) in CY treated group, respectively. These positive cells appeared focally in early vacuole-occurring regions and were very low in numbers.

  • PDF

Cyclopiazonic acid 및 aflatoxin B1이 토끼의 혈소판에서 arachidonic acid 대사, 칼슘 동원 및 초미세구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yclopiazonic acid and aflatoxin B1 on arachidonic acid metabolism, calcium mobilization and ultrastructure in rabbit platelet aggregation)

  • 홍충만;장동덕;조명행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873-886
    • /
    • 1996
  • For better understanding the interrelationship of hemorrhage and aggregation mechanism, cyclopiazonic acid(CPA) known as promoting the aggregation of platelet, aflatoxin $B_1(AFB_1)$ inhibiting platelet aggregation were used as toxic mycotoxins in these studi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role of prostaglandin metabolism on the platelet aggregation, a variety of prostaglandin metabolites such as $PGF_{2{\alpha}}$, $PGE_2$ and $TXB_2$ were measured in homogenized rabbit platelets by TLC and LSC. And the role of $Ca^{{+}{+}}$ on the platelet aggregation was investigated by flow cytometer. Finally, the morphological effects of mycotoxins on platelet were determined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e. The results and conclusions obtained from these studies are: 1) CPA induced no changes but $AFB_1$ increased $PGE_2$ and $TXB_2$. 2) CPA promoted ADP, collagen, thrombin, A.A., and PAF-induced $Ca^{{+}{+}}$ release. $AFB_1$, however, decreased $Ca^{{+}{+}}$ level except collagen-induced $Ca^{{+}{+}}$ release. When the calcium blocker, verapamil, was used, CPA decreased thrombin-induced $Ca^{{+}{+}}$ release and increased collagen, ADP, PAF and A.A.-induced $Ca^{{+}{+}}$ release. $AFB_1$ in contrast decreased the all factors induced $Ca^{{+}{+}}$ release. 3) $AFB_1$ did not induce any ultrastructural changes except large vacuole formation in a few platelets. And CPA also did not induce any changes except moderate shape change, indicator of platelet activation. In conclusion, CPA promoted platelet aggregation by the increases of $Ca^{{+}{+}}$ release but had no changes in A.A. metabolites. Antiaggregating effects of $AFB_1$ may be due to decreases of $Ca^{{+}{+}}$ release and increases of $PGE_2$ and $PGF_{2{\alpha}}$ formation. These data provide the basis for the future study of mobilization and function of $Ca^{{+}{+}}$ in platelet aggregation.

  • PDF

한국산 산개구리(Rana dybowskii Guenther)의 뇌하수체 전엽에 관한 연구 - II. 동면기와 활동기의 미세구조적 차이 (An Electron Microscopical Study on the Pars distalis of Rana dybowskii Guenther. II. Ultrastructural differences between hibernating and active periods of frogs)

  • 김창환;김우갑;이근옥;김지현;김형배
    • Applied Microscopy
    • /
    • 제11권1호
    • /
    • pp.59-65
    • /
    • 1981
  • 활동기와 동면기중 Rana dybowoskii Guenther의 뇌하수체 전엽을 전자현미경적으로 비교한 결과 7 가지의 cell type를 구분할 수 있었으며 이 cell type 중 type 5 에서 많은 차이를 관찰할 수 있었다. Cell type 1 : 분비 과립의 크기는 $375{\sim}687m{\mu}$ 정도였고 모양은 완전 구형이었다. Cell type 2 : 분비과립의 크기는 $250{\sim}437m{\mu}$ 정도였으나 모양은 비교적 다양하였다. Cell type 3 : 분비과립의 크기는 $125{\sim}187m{\mu}$ 정도고 모양은 난형내지 rod 형이었다. Cell type 4 : electron density 가 가장 낮으며 과립의 밀도는 제일 높았다. 모양은 매우 다양하였으며 가끔 대과립도 관찰되었다. 분리과립의 크기는 대개 $210{\sim}420m{\mu}$ 정도이다. Cell type 5 : electron density는 cell type 4 와 유사하나 분비과립의 윤곽은 cell type 4 보다 훨씬 뚜렷하였다. 과립의 밀도는 cell type 4 보다 낮으며 모양은 cell type 4와 비슷하나 rod 형이 많다. 분비과립의 크기는 $200{\sim}863m{\mu}$이다. Cell type 6 : type 2와 비슷하나 cytoplasm 의 electron density가 매우 낮은 light cell 이다. 분비 과립의 크기는 대개 $232{\sim}316m{\mu}$이다. Cell type 7 : 어떤 분비 과립도 함유하고 있지 않은 미분화된 세포이다. 활동기와 동면기의 차이점은 type 5 에서 관찰 할 수 있었다. 즉 활동기에는 분바과립이 매우 발달하였으나 동면기에는 매우 감소되며 cytoplasm에는 크고 작은 vacuole로 가득 차있다.

  • PDF

끈끈이주걱속 점착식 포충엽의 분비모 발달 (Development of the Glandular Trichomes in Trapping Leaves of Drosera Species)

  • 이혜진;김인선
    • Applied Microscopy
    • /
    • 제39권1호
    • /
    • pp.57-64
    • /
    • 2009
  • 점착식 포충엽을 형성하는 식충식물은 포충엽 표피조직에 발달하는 분비모에서 점액성 물질을 분비하여 곤충을 포획한다. 본 연구에서는 점착식 포충엽을 형성하여 식충의 기능을 수행하는 끈끈이주걱속의 비나타와 피그미 2종의 분비모 분화 발달양상을 형태구조 및 세포학적으로 연구하였다. 분화초기 코일형태의 정단에서 발달하는 비나타의 엽원기는 표피에 미분화된 불규칙적인 형태의 모용이 밀생하였으며, 정단 부위는 신장 후 분지되면서 엽연과 엽신에는 capitate형과 peltate형 분비모들이 발달하였다. 피그미의 어린 포충엽은 엽연의 미분화된 모용들이 구심적으로 접힌 상태로 발달하나, 엽육조직 생장에 따라 길게 신장된 capitate형으로 분화되어 방사상으로 배열하였다. 실험된 2종의 포충엽은 분비모 특성에 의한 상 하피의 분화가 뚜렷하였으며, 상피 엽신과 엽연에는 분비물질을 방출하는 다양한 분비모가 밀생하였다. 상피의 경우, 비나타 분비모는 병세포가 신장된 capitate형과 무병의 peltate형으로 대별되고, 피그미는 병세포의 길이를 달리하는 capitate형만 발달하였다. 특히, 비나타는 엽연에 약 $2.2{\sim}3.4mm$에 이르는 긴 capitate형 분비모를 형성하였고, 피그미 엽연에는 위 유형과 함께 라켓 형태의 두정 부위를 지니고 약 $3.7{\sim}4.2mm$로 신장된 독특한 유형의 2 종류 capitate형 분비모가 분포하였다. 하피의 경우, 비나타에서는 작은 peltate형 분비모만 발달하였고, 피그미에서는 capitate형과 유사하나 capitate와 peltate형의 중간적인 특징을 지닌 매우 축소된 분비모를 형성하였다. 이들 분비모 두정부위의 분비세포 세포질에는 미토콘드리아 및 소포체, 골지체 등이 잘 발달하였고, 소액포들의 융합으로 큰 분비강이 형성되어 축적된 물질을 외부로방출하였다. 표피조직에 밀생하는 capitate 및 peltate형 분비모에서 방출된 점액성 물질은 포충엽 표면에 곤충 접촉 시 엽연 capitate형 분비모에 의한 굴곡운동과 엽신 분비모의 활성화를 유도하여 더욱 능동적으로 곤충을 포획하였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비나타 및 피그미에 대한 분비모의 구조적 정보는 이후 Drosophyllum, Pinguicula 등의 다른 점착식 포충엽 형성 종들의 분비모 분화 양상과 비교 분석되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자료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