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rge Circular Steel Pipe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3초

해상교량기초용 대형원형강관 가물막이의 동적 안정성 모니터링을 위한 실내모형실험 (Small-Scaled Laboratory Experiments for Dynamic Stability Monitoring of Large Circular Steel Pipe Cofferdam of Marine Bridge Foundation)

  • 박민철;이종섭;김동호;유정동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12호
    • /
    • pp.123-134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충격에 의한 모형 원형강관의 동적 반응을 조사하는 것이며, 선박충돌에 의한 대형원형강관의 동적 안정성 모니터링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수행되었다. 실내실험은 직경, 두께, 높이가 각각 30cm, 0.4cm, 90cm인 스테인레스 재질의 단본 모형 원형강관과 3개의 세그먼트를 볼트로 조립한 모형 원형강관으로 수행되었다. 각 세그먼트의 높이는 30cm이다. 대형원형강관이 해상에 설치된 것을 모사하기 위하여 모형 원형강관을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1m인 토조에 설치하였으며, 흙의 높이는 23cm로 하였다. 선박 충돌을 모사하기 위하여 모형 원형강관을 해머로 타격하였으며, 토조 내의 수위를 25cm, 40cm, 55cm, 70cm로 변화시키면서 모형 원형강관의 동적 반응 특성을 비교하였다. 실험결과, 수위가 증가할수록 측정된 신호의 에너지가 감소하였으며, 단본의 모형 원형강관보다 볼트로 조립된 모형 원형강관이 더 큰 감소폭을 보였다. 주파수 특성의 경우, 단본 모형 원형강관에서 측정된 주파수 신호는 수위가 증가할수록 우세 주파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볼트로 조립된 모형 원형강관의 경우도 수위가 증가할수록 우세 주파수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수위에 따른 우세 주파수의 감소폭이 상대적으로 작았으며, 수위가 상부 세그먼트에 접할 때 높을 때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속도계로 측정된 신호의 에너지와 주파수 변화 특성이 해상교량기초용 가물막이 대형원형강관의 동적 안정성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해상 교량기초용 대형 원형강관 가설공법의 무선 원격 안정성 모니터링을 위한 현장실험 (Field Study on Wireless Remote Sensing for Stability Monitoring of Large Circular Steel Pipe for Marine Bridge Foundation)

  • 박민철;이종섭;유정동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6권11호
    • /
    • pp.71-81
    • /
    • 2020
  • 해상 교량기초용 대형 원형강관 가설공법은 가물막이와 작업대의 역할을 함께 수행할 수 있는 공법으로 개발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장실험을 통해 시공과 운용 중 대형 원형강관의 안정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무선 원격계측시스템을 검증하는 것이다. 현장실험을 위해 수심 4m의 인공 해상 지반을 조성하였으며, 직경 5m, 높이 9.5m인 대형 원형강관을 석션 관입하였다. 대형 원형강관의 근입 깊이는 5m이다. 경사계와 변형률계는 상부 모듈의 서로 다른 네 면에 설치되었으며, 강관의 운반, 시공, 해체 전 과정에 걸쳐 경사각과 응력을 모니터링하였다. 실험결과, 경사계로 측정된 경사각은 석션 관입 중 일정하게 유지되었으나 x축 방향으로 더 크게 기울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서로 다른 면에 설치되어 있어도 같은 축 방향의 경사각은 거의 같게 측정되었다. 변형률계로 측정된 응력은 석션 관입 시 증가하였고, 인발 시 감소하였다. 또한, 측정된 응력으로부터 강관에 편심이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경사계와 변형률계로 구축된 무선 원격계측 시스템이 대형 원형강관의 안정성 모니터링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실내 실험을 통한 소형 모형 원형 강관의 동적 반응 평가 (Laboratory Experiments for Evaluating Dynamic Response of Small-scaled Circular Steel Pipe)

  • 송정욱;이종섭;박민철;변용훈;유정동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4권11호
    • /
    • pp.81-92
    • /
    • 2018
  • 최근 해상 교량 기초 시공 중 차수 및 연직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대형 원형 강관 가설 공법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대형 원형 강관의 시공 및 운용 중에 발생할 수 있는 선박 충돌과 같은 위부 요인은 구조물의 안정성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외부 충격에 의한 대형 원형 강관의 동적 반응을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기 위해 실내 실험을 통한 기초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내 실험에서는 해상에 설치된 대형 원형 강관을 모사하기 위하여 소형 모형 강관을 토조에 설치하였고, 토조 속 흙의 높이와 수위는 각각 23cm와 25cm로 설정하였다. 수위는 40cm, 55cm, 70cm로 변화시켜가며 실험을 수행하였다. 선박 충돌을 모사하기 위하여 모형 강관의 상부를 해머로 타격하였으며, 모형 강관의 길이 방향으로 설치된 변형률계와 상부에 설치된 가속도계로 신호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변형률계로 측정된 변형률이 모형 강관의 상부에서 하부로 내려갈수록 감소하였다. 변형률계로 측정된 신호의 주파수는 충격이 가해지면 상시미진동 주파수보다 크게 증가하였지만, 수위 아래에 위치한 변형률계에서 측정된 주파수는 큰 증가를 나타내지 않았다. 가속도계로 측정된 신호의 최대 주파수는 충격이 가해지면 상시미진동 주파수보다 크게 증가하였다. 수위가 증가하면 최대 주파수는 감소하지만, 상시미진동 주파수보다는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변형률계와 가속도계가 대형 원형 강관의 동적 반응 특성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지표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수직보강재가 원형강기둥의 이력거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해석적 연구 (An Analytical Study on Influence of Longitudinal Stiffeners on Seismic Performance of Circular Steel Columns)

  • 장갑철;장경호
    • 한국공간구조학회논문집
    • /
    • 제7권1호
    • /
    • pp.63-70
    • /
    • 2007
  • 최근 복잡해진 도심지의 토지 이용률을 높이기 위하여 원형 강교각이 건설이 요구되고 있다. 원형강교각의 경우 줄어든 단면으로 좌굴 내하력이 감소하며 이에 대한 방안으로 수직 보강재의 적용을 고려할 수 있다. 그러나 수직보강재를 적용한 원형 강교각의 좌굴 내하력의 증가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명히 파악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먼저 탄소성 유한요소해석 통하여 보강재를 적용하지 않은 무보강 원형 강교각과 수직보강재가 보강된 원형 강교각에 대해서 좌굴내하력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형상비(R/t)에 따른 좌굴내하력의 변화를 기존의 실험식과 비교하여 그 효과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원형강교각의 수직 보강재를 적용하여 폭과 두께에 따른 좌굴 내하력을 비교 검토하였다. 그리고 수직 보강재를 적용한 원형 강교각에 대한 내진성능을 검토하였다.

  • PDF

후판 파이프 제작시 잔류응력 (Residual stress analysis of thick plate pipe)

  • 최광;임성우
    • 대한용접접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용접접합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개요집
    • /
    • pp.150-152
    • /
    • 2004
  • This study was aimed at evaluation of residual stress of steel pipe structures. The production process of pipes was complex (at first bending was done by roll forming or press forming and welding was final process of making of steel pipes). So there could be effected high residual stresses in steel pipes. In order to evaluate the changes of residual stress the locations of measurement were selected carefully. Measurements of residual stress were done for various kinds of pipes (shapes in circular and square). For the evaluation of residual stress, hole-drilling method (ASTM E837 was applied. The results showed that along the weld Eine high tensile stress were measured as effected, and high tensile stresses were measured where large plastic deformation developed. Through these efforts, experimental results could be more effectively assisted by numerical method.

  • PDF

Finite element modeling of tubular truss bearings

  • Kozy, B.;Earls, C.J.
    • Steel and Composite Structures
    • /
    • 제5권1호
    • /
    • pp.49-70
    • /
    • 2005
  • This paper reports on finite element analysis techniques that may be applied to the study of circular hollow structural sections and related bearing connection geometries. Specifically, a connection detail involving curved steel saddle bearings and a Structural Tee (ST) connected directly to a large-diameter Hollow Structural Section (HSS) truss chord, near its open end, is considered. The modeling is carried out using experimentally verified techniques. It is determined that the primary mechanism of failure involves a flexural collapse of the HSS chord through plastification of the chord wall into a well-defined yield line mechanism; a limit state for which a shell-based finite element model is well-suited to capture. It is also found that classical metal plasticity material models may be somewhat limited in their applicability to steels in fabricated tubular members.

뿜칠 피복 원형 철골구조의 비재하 내화성능 평가용 시험체 제안을 위한 연구 (Study of the Standard Testing Specifications for a Non-loading Performance Evaluation of Coating Material-sprayed Circular Steel Structures)

  • 옥치열;김재준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30권3호
    • /
    • pp.7-15
    • /
    • 2016
  • 단면형상계수는 세계적으로 흔하게 활용되는 공학적 내화구조 성능평가 방법이지만 국내의 경우 단면형상계수의 적용을 위한 제도가 아직 마련되어 있지 못하다. 실제 우리나라의 대부분의 철골조 건축물에서 원형 강관의 사용을 흔히 볼 수 있으나, 인정기관으로부터 성능을 인정받은 뿜칠 피복 철골 보 및 기둥은 대부분이 H형강으로 한정되어 있다. 비재하 시험의 특성상 H형강은 관련규정에 따른 시험규격으로 부재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여 크기의 제한 없이 인정범위가 부여되나, 이형 강관의 경우는 형상별로 별도의 내화성능에 대한 인정을 받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합리적인 내화구조의 인정범위를 설정할 수 있도록 단면형상계수를 활용하여 뿜칠 피복재의 원형 강관의 적용을 위한 표준 시험체 규격을 제시하고자 한다.

대형 원형강관 수직도 모니터링을 위한 3D 모니터링 시스템 (Verticality 3D Monitoring System for the Large Circular Steel Pipe)

  • 구성민;박해용;오명학;백승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1호
    • /
    • pp.870-877
    • /
    • 2020
  • 석션버켓기초는 20m 이상의 수심 조건에서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한 건설 공법이다. 석션버켓기초는 내부가 비어 있는 양동이가 뒤집어진 형태의 구조물을 목표지점에 위치시킨 후, 버켓 내의 공기나 물을 흡입하여 내/외부의 수압차이에 의한 관입력으로 기초를 설치한다. 안정성 확보를 위해 버켓의 수직도 확보는 필수적이다. 그러나 해저지반의 불균질성이나 편심으로 인하여 버켓의 기울어짐이 발생할 수 있다. 석션버켓기초는 현재 시공과정에서 관입/인발 작업 반복을 통해 수직도를 확보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현장 작업자의 경험 및 숙련도에 의존적이며 수직도 확보에 비교적 장시간이 소모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석션버켓 수직도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시스템은 수직도 데이터를 수집하는 센서부,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무선 전송해 주는 컨트롤러부, 원형강관의 수직도 정보를 실시간으로 보여주는 디스플레이부로 구성되어 있다. 제안된 시스템은 기울기 센서와 임베디드 컨트롤러를 활용하여 구현되었다. 제안된 시스템의 실험 결과 roll/pitch가 0.028% 이내의 오차로 측정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안된 시스템을 석션버켓기초 모형실험에 적용하여 수직도 정보의 실시간 확인이 가능함을 보였다.

히트 파이프를 이용한 열경화성 나노임프린트 장비용 열판의 온도 균일도 향상 (Improvement of Temperature Uniformity in a Hot Plate for Thermal Nanoimprint Lithography by Installing Heat Pipes)

  • 박규진;양진오;이재종;곽호상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74-80
    • /
    • 2016
  • This study presents a thermal device specially designed for thermal nanoimprint lithography equipments, which requires the capability of rapid heating and cooling, high temperature uniformity and the material strength to endure high stamping pressure. The proposal to meet these requirements is a planar-type hot plate extensible to a large area, in which long circular cartridge heaters and heat pipes are installed inside in parallel. The heat pipes are connected to the outside water cooling chamber. A hot plate made of stainless steel is fabricated with a dimension $240mm{\times}240mm{\times}20mm$. Laboratory experiments are conducted to examine the thermal performance of the hot plate.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 employment of heat pipes leads to a notable enhancement of temperature uniformity in the device and provides an efficient heat delivery from the hot plate to outside. It is verified that the suggested hot plate could be a feasible thermal tool for thermal nanoimprint lithography, satisfying the major design requirements.

아치형 단동온실의 지붕환기구조 및 천창효과 (Roof Ventilation Structures and Ridge Vent Effect for Single Span Greenhouses of Arch Shape)

  • 남상운
    • 농업과학연구
    • /
    • 제28권2호
    • /
    • pp.99-107
    • /
    • 2001
  • 온실재배에 있어서 가장 경제적인 환경조절방법은 자연환기에 의한 것이므로 온실의 자연환기 성능을 극대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온실의 자연환기 성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붕환기창의 설치가 중요한데, 아치형 단동 온실의 경우에는 천창을 설치하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어서 대부분의 농가가 측창만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아치형 단동 온실의 지붕에 환기창 설치를 장려하기 위한 일환으로 사례조사와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아치형 단동 온실의 지붕환기구조 실태조사 결과 폭 5~8m의 소형 온실에서는 플라스틱으로 제작된 원형 및 굴뚝형 환기창을, 폭 12~18m의 대형온실에서는 철재 파이프를 덧붙인 양권취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지붕환기창 설치 온실과 관행의 권취식 측창만 설치된 온실에 대한 대조 실험 결과 비록 적은 면적의 지붕환기창을 설치하였지만 온도하강 $1^{\circ}C$ 이상의 천창 환기 효과가 있었으며, 지붕환기를 실시함으로써 온도분포를 보다 균일하게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붕환기창을 설치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온도상승 억제효과는 일사량과 풍속조건에 따라 뚜렷한 차이를 보이며, 풍속이 낮은 경우에 효과가 커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기창의 개폐순서에 따른 전체적인 온도 하강의 차이는 없으나, 환기로 온도를 제어하는 경우에는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높을 때는 천창을 열은 후 측창을 열고, 반대의 경우에는 측창을 닫은 후 천창을 닫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