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검색결과 45건 처리시간 0.024초

Linear-Shaped Gastroduodenostomy in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 Son, Hyaung-Mi;Lee, Sang-Lim;Hur, Hoon;Cho, Yong-Kwan;Han, Sang-Uk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0권2호
    • /
    • pp.69-74
    • /
    • 2010
  • Purpose: Laparoscopic gastrectomy has been common treatment modality for gastric cancer. But, most surgeons tend to perform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using epigastric incision. Delta-shaped anastomosis is known as intracorporeal gastroduodenostomy, but it is technically difficult and needed many staplers. So we tried to find simple and economical method, here we report on the results of liner-shaped gastroduodenostomy in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5 patients who underwent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using liner-shaped anastomosis at School of Medicine, Ajou University between January to October 2009. The indication was early gastric cancer as diagnosed by preoperative workup, the anastomoses were performed by using laparoscopic linear stapler. Results: There were 12 female and 13 male patients with a mean age of $55.6{\pm}11.2$. The following procedures were performed 14 laparoscopic gastrectomies, 11 robotic gastrectomies. The mean operation time was $179.5{\pm}27.4$ minutes, the mean anastomotic time was $17.5{\pm}3.4$ minutes. The mean number of stapler cartridges was $5.6{\pm}0.8$. Postoperative complication occurred in one patient, anastomotic stenosis, and the patient required reoperation to gastrojejunostomy. The mean length of postoperative hospital stay was $6.7{\pm}1.0$ days except the complication case, and there was no case of conversion to open procedure and postoperative mortality. Conclusions: Linear-shaped gastroduodenostomy in totally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is technically simple and feasible method.

2004년 전국 복강경 위 수술 현황 (Nationwide Survey of Laparoscopic Gastric Surgery in Korea, 2004)

  • 김형곤;김곤홍;김동헌;김민찬;김병식;김영우;김용일;김용호;김욱;김원우;김진조;김태봉;류성엽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5권4호
    • /
    • pp.295-303
    • /
    • 2005
  • 대한복강경위장관연구회가 2004년 전국에서 시행된 복강경 위 수술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모두 36개의 기관으로부터 38명의 외과의가 설문에 응답하였다. 2004년 한 해 동안 시행된 복강경 위 수술은 총 1,089예였고 1995년부터 2004년까지 시행된 복강경 위 수술을 누적하면 모두 2,386예였다. 2004년에 위선암 환자에서 시행된 복강경 위 수술은 2003년보다 약 2배 많은 754예였다. 위선암에 대한 근치적 위절제술인 복강경보조위아전절제술 및 복강경보조위전절제술은 2001년도를 전환점으로 급속히 증가하였다(2001년 55예, 2002년 150예, 2003년 364예, 2004년 738예). 특히 복강경보조위전절제술은 작년에 폭발적 인 증가를 보였다. (2003년 20예, 2004년 112예). 그러나 복강경보조유문부보존위절제술 및 복강경보조근위부위절제술과 같은 복강경보조기능보존위절제술은 작년 각각 1예씩 시행되어 아직 보편화되지 않았다. 위 점막하종양에 시행된 복강경위쐐기절제술은 142예였다. Hand-assisted laparoscopic surgery는 2001년 39예, 2002년 55예, 2003년 49예가 시행되었으나 2004년에는 단 5예만 시행되어 급격한 감소를 보였다. 고도비만수술은 2003년도에 시작되어 2004년에는 49예로 증가하였다. 위선 암에서 복강경위수술의 적응증에 대한 견해로서 19명이 조기위암에서 시행한다고 하였고 7명은 적응증을 T2N0까지 넓히고 있었다. 앞으로 보험문제가 해결이 되고 장기 성적이 나온다면 위선암에 대한 복강경 위 수술은 널리 보편화될 것이다.

  • PDF

전국 위암 환자 진료 현황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Current Status of Clinical Practice for Gastric Cancer Patients in Korea -A Nationwide Survey-)

  • 대한위암학회 정보전산위원회;양한광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2호
    • /
    • pp.95-108
    • /
    • 2004
  • This nationwide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current status of clinical practice for gastric cancer patients in Korea. The Information Committee of the Korean Gastric Cancer Association (KGCA) sent questionnaires containing 45 items about the preoperative diagnosis, medical and surgical treatment, and postoperative follow-up for gastric cancer patients to all 298 KGCA members in 108 institutes. Response rates were $32.6\%$ (97/298) for individuals and $59.3\%$ (64/108) for institutes. Most university hospitals responded (response rate of university hospitals: $71.6\%$, 48/67). The preoperative staging work up was performed primarily by abdominal CT, followed by bone scans, abdominal ultrasound, endoscopic ultrasound, and so on. Gastric cancer patients with stages II, III, and IV usually received adjuvant chemotherapy after a curative operation. About half of the surgeons regarded 2 cm as a safe resection margin in early gastric cancer and 5 cm in advanced gastric cancer. More than half of surgeons usually performed a D2 lymph node dissection in early gastric cancer and D2+$\alpha$ lymph node dissection in advanced gastric cancer. About $20\%$ of surgeons performed less invasive surgery and/or function-preserving surgery, such as a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a laparoscopic wedge resection, or a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 PDF

Comparison of Intracorporeal Reconstruction after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with Extracorporeal Reconstruction in the View of Learning Curve

  • Ahn, Chang Wook;Hur, Hoon;Han, Sang-Uk;Cho, Yong Kwa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3권1호
    • /
    • pp.34-43
    • /
    • 2013
  • Purpose: The intracorporeal reconstruction after laparoscopic gastrectomy can minimize postoperative pain, and give better cosmetic effect, while it may have technical difficulties and require the learning curv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urgical outcome of intracorporeal re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surgeon's experience comparing with extracorporeal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9 to September 2011, intracorporeal reconstruction in laparoscopic surgery for gastric cancer was performed for 71 patients (Intra group). During same period, 231 patients underwent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Extra group). These patients were classified into initial (1st to 20th case of intra group), intermediate (21th to 46th case), and experienced (after 47th case) phases. Results: Intracorporeal procedures included 35 cases of Billroth-I, 30 Billroth-II and 6 Roux en Y reconstructions. In the initial phase, operation time (P=0.022) were significantly longer for the patients of intra group than them of extra group.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the length of hospital stay was longer and complication rate was higher in the intra group. In intermediate and experienced phase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operation time and hospital stay. In these phases, complication rate was lower in the intra group than the extra group (3.9% versus 9.7%). The pain scale was significantly lower post operation day 5 in the intra group. Conclusions: Intracorporeal reconstruction after laparoscopic distal gastrectomy was feasible and safe, and the technique was stabilized after 20th case if the surgeon has sufficient experiences when we compared it with extracorporeal reconstruction.

복강경 위절제환자의 임상적 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on Clinical Health Management of Laparoscopy-Assisted Gastrectomy Patients)

  • 이성란
    • 한국산학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년도 춘계학술논문집 1부
    • /
    • pp.100-103
    • /
    • 2012
  • 본 연구는 복강경 위절제환자의 임상적 건강관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2012년 1월 16일부터 2월 16일까지 수도권 지역의 종합병원 외과에 내원한 환자 201명을 설문 및 면접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수행성과 효율성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r=0.24, p<.01). 둘째, 건강실천정도는 선정된 변수들에 의해 42.7% 설명되었다. 효율성이 0.25로 가장 영향력이 있는 변수였으며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p=.02).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복강경 위절제술환자의 건강실천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이전의 건강관련행위 분석과 건강증진 생활양식을 행하였을 때의 성취감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PDF

조기 위암에서 복강경 보조 하 위 절제술 후 합병증 발생 (Morbidity of Laparoscopic Assisted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 최지은;정오;육정환;김갑중;임정택;오성태;박건춘;김병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3호
    • /
    • pp.152-159
    • /
    • 2007
  • 목적: 복강경 보조 하 위 절제술이 조기 위암의 치료방법으로 광범위하게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복강경 술식이 개복술과 비교하여 장정이 많다는 연구는 많지만 술식의 안전성 및 위험도에 대하여 연구된 바는 많지 않다. 이에 연구자들은 본원에서 조기 위암으로 복강경 보조 하 위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치료를 조사하였으며 수술 후 합병증과 연관된 임상병리학적 인자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수술 전 조기 위암을 진단받고 본원에서 복강경 보조 하 원위부위 절제술을 시행한 332명, 전 절제술을 시행한 44명을 합한 376명의 환자에 대해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합병증은 총 40명(10.6%)의 환자에서 발생하였고 수술 중 합병증은 4명(1.1%), 수술 후 합병증은 36명(9.6%)의 환자에서 39가지 경우가 발생했으며 수술에 의하여 사망한 환자는 없었다. 술 후 대합병증은 문합부 출혈 8명(2.1%), 문합부 협착 7명(1.9%), 복강 내 체액 저류 5명 (1.3%), 문합부 누출 3명(0.8%), 복강 내 출혈 3명(0.8%), 장 폐색 2명(0.5%)의 순이었다. 그 외 소합병증은 11명(2.9%)에서 나타났고 모든 합병증은 장 폐색으로 수술을 시행한 2예를 제외하고 보존적 치료로 해결되었다. 합병증 발생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로는 단변량 분석에서 연령(P=0.004), 체질량지수(P=0.037), 동반 질환 유무(P=0.045)가 통계적인 연관성을 보였으며, 다변량 분석에서는 연령(P=0.021) 만이 독립적인 위험 인자로 나타났다. 결론: 조기 위암 치료를 위한 복강경 보조 하 위 절제술의 술 후 합병증은 높지 않으며(10.6%), 대부분 보존적인 치료가 가능하므로 비교적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술기라고 생각한다.

  • PDF

원형 자동문합기를 이용한 체외문합을 시행한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 한 술자에 의한 연속적인 48명 환자의 수술성적분석 (Laparoscopic Assisted Total Gastrectomy (LATG) with Extracorporeal Anastomosis and using Circular Stapler for Middle or Upper Early Gastric Carcinoma: Reviews of Single Surgeon's Experience of 48 Consecutive Patients)

  • 정오;김병식;육정환;오성태;임정택;김갑중;최지은;박건춘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1호
    • /
    • pp.27-34
    • /
    • 2008
  • 목적: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은 기술적 어려움과 환자수가 많지 않음으로 인하여 복강경 보조 위원위부 절제술에 비하여 연구가 많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본원에서 시행한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의 수술성적과 수술후 경과 및 합병증 발생 예측인자와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의 학습곡선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7년 9월까지 술 전 검사상 위의 중 상부에 위치한 조기위암(cT1N0)을 진단받고 한 술자에 의해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을 시행 받은 연속적인 4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바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중 합병증이나 개복수술로의 전환은 없었고 평균 수술시간은 $212{\pm}67$분이었다. 평균 적출 림프절 개수는 $29{\pm}10$개였고 모든 환자에서 안전한 종양 경계 면이 확보되었다. 수술 후 가스배출, 식이시작, 퇴원시기는 각각 평균 2.98일, 3.67일, 7.08일이었다. 외과적 합병증은 5명(10.4%)에서 발생하였고 모두 보전적 치료로 호전되었다. 단변량 및 다변량 분석에서 합병증 발생에 영향을 주는 유일한 인자는 체질량지순(P=0.035, HR=2.462)였으며 수술 시간을 기준으로 한 학습곡선 분석에서 20예가 학습곡선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은 위의 중 상부에 위치한 조기위암에 대한 적절한 술식이며 수술성적과 수술 후 경과가 양호하다. 그러나 학습곡선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복강경 보조 위원위부절제술의 충분한 경험이 필요하며, 특히 초기경험에서는 수술 후 합병증을 줄이기 위하여 환자 선택에 있어서 체질량지수를 고려하는 게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학습곡선을 기준으로 한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에 대한 결과 (The Learning Curve of Laparoscopy-assisted Distal Gastrectomy (LADG) for Cancer)

  • 김갑중;육정환;최지은;정오;임정택;오성태;김병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4호
    • /
    • pp.232-236
    • /
    • 2008
  • 목적: 최근 조기 위암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이 널리 시행되고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최선의 표준화된 수술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조기 위암으로 진단된 32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의 결과를 보고 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4년 4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복강경 보조 위절제술을 받은 374예 중 원위절제술을 받은 329예를 학습곡선을 극복하는 시점을 기준으로 나누어 임상병리적 특성, 수술 소견, 수술 후 경과 및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329명의 환자 중 남자가 196명, 여자가 133명이었다. 평균 BMI는 23.6이고, 평균 수술 시간은 180.9분이며, 30예 이전은 287.9분이었고, 30예 이후는 170.2분으로, 30예 이후에 평균 수술 시간이 감소하였다(p<0.01). 림프절 절제는 30예 이전에는 D1절제가 5예(16.7%), D1+$\beta$이상이 25예(83.3%)였고, 30예 이후에는 D1절제가 16예(5.4%), D1+$\alpha$가 4예(1.3%), D1+$\beta$이상이 279예(93.3%)였다.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는 22.7개, 30예 이전에는 18.6개, 30예 이후에는 23.1개로 30예 이후에 절제된 림프절의 개수가 많았다(P=0.02). 수술 후 평균 재원 기간은 $7.6\pm4.8$일이었으며, 30예 이전에는 9.3일, 30예 이후에는 7.4일로 30예 이후에 재원 기간이 줄어 들었다(P=0.04). 수술 전과 수술 후의 혈색소 차이는 평균 1.6 g/dl였고, 30예 이전에는 2.3 g/dl, 30예 이후에는 1.6 g/dl로 30예 이후 수술 중 출혈 양이 의미있는 감소를 보였다(P=0.02). 합병증은 출혈, 복강 내 농양, 문합부 누출, 문합부 협착, 수술 상처 감염, 폐렴 등 24예에서 나타났으며 30예 이전에는 3예, 30예 이후에는 21예에서 나타났다(P=0.45). 결론: 학습곡선의 극복 이후 수술시간이 단축되었고, 수술중 출혈양이 감소하였으며, 더 작은 절개창을 이용한 수술이 가능하게 되었다. 복강경 보조 원위절제술은 조기 위암 환자의 치료로 안전하게 시행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한다.

  • PDF

원위부 위암에서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의 수술 성적 (Short-term Surgical Outcomes after Laparoscopic D2 Lymphadenectomy in Patients with Distal Gastric Cancer)

  • 정오;박영규;육정환;김병식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8권2호
    • /
    • pp.79-84
    • /
    • 2008
  • 목적: 복강경 기구의 발달과 시술자의 숙련도가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조기위암 이상으로 복강경 위절제술을 확대 적용하려는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의 적절성 및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7년 2월부터 2007년 8월까지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은 22명의 원위부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임상병리학적 특성, 수술 성적 및 수술 후 경과 등에 대하여 같은 시기에 시행된 38명의 개복 D2 림프절 절제술 환자와 비교하였다. 결과: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은 평균 수술시간이 오래 소요되었으나($160{\pm}25min$. vs. $135{\pm}21min$., P<0.001), 평균 근위부 절제연 거리($6.1{\pm}2.8cm$ vs. $5.8{\pm}2.5$, P=ns), 평균 림프절 절재 개수($25{\pm}11$ vs. $26{\pm}9$, P=ns)에서 개복 수술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수술 후 경과는 복강경 수술군에서 식이개시, 재원일수 등이 유의하게 빨랐다.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을 시행 받은 환자 중 개복으로의 전환은 없었으며, 양군에서 유사한 수술 후 합병증 발생빈도를 보여주었다. 결론: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은 개복수술과 유사한 수술성적을 가지며, 양호한 수술 후 경과를 보인다. 향후 전향적 연구를 통해 복강경 D2 림프절 절제술의 유용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PDF

Short-term Outcomes of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Comparison Between Extracorporeal and Intracorporeal Gastrogastrostomy

  • Alzahrani, Khalid;Park, Ji-Hyeon;Lee, Hyuk-Joon;Park, Shin-Hoo;Choi, Jong-Ho;Wang, Chaojie;Alzahrani, Fadhel;Suh, Yun-Suhk;Kong, Seong-Ho;Park, Do Joong;Yang, Han-Kwa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2권2호
    • /
    • pp.135-144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surgical and oncological outcomes between totally laparoscopic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TLPPG) with intracorporeal anastomosis and laparoscopy-assisted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LAPPG) with extracorporeal anastomosis. Materials and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in 258 patients with cT1N0 gastric cancer who underwent laparoscopic pylorus-preserving gastrectomy using two different anastomosis methods: TLPPG with intracorporeal anastomosis (n=88) and LAPPG with extracorporeal anastomosis (n=170). The following variabl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wo groups to assess the postoperative surgical and oncological outcomes: proximal and distal margins, number of resected lymph nodes (LNs) in total and in LN station 6, operation time, postoperative hospital stay, and postoperative morbidity including delayed gastric emptying (DGE). Results: The average length of the proximal margin was similar between the TLPPG and LAPPG groups (2.35 vs. 2.73 cm, P=0.070). Although the distal margin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the TLPPG group than in the LAPPG group (3.15 vs. 4.08 cm, P=0.001), no proximal or distal resection margin-positive cases were reported in either group. The average number of resected LN was similar in both groups (36.0 vs. 33.98, P=0.229; LN station 6, 5.72 vs. 5.33, P=0.399). The operation time was shorter in the TLPPG group than in the LAPPG (200.17 vs. 220.80 minutes, P=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postoperative hospital stay (9.38 vs. 10.10 days, P=0.426) and surgical complication rate (19.3% vs. 22.9%), including DGE (8.0% vs. 11.8%, P=0.343). Conclusions: The oncological safety and postoperative complications of TLPPG with intracorporeal anastomosis are similar to those of LAPPG with extracorporeal anastom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