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cape manual

검색결과 28건 처리시간 0.021초

분재(盆栽)의 대량재배(大量栽培)를 위한 관수(灌水)시스템과 관리방법(管理方法)의 개발(開發) (Development of Bottom Irrigation System and Management Method for Cultivation of Bonsai)

  • 이기의;정진형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9권1호
    • /
    • pp.48-68
    • /
    • 2003
  • 현재 분재재배의 큰 문제점은 높은 노동력에 비해 생산성이 매우 낮은 것이다 본 연구는 관수시스템과 관리방법의 개발로 고품질의 분재를 대량생산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FRP분상에서 재배된 분재는 직수관수나 스프링클러 관수에 비해 저변관수시스템에서 생육이 매우 좋았다. 또한 저면관수시스템은 노동력을 크게 줄일 수 있었고 짧은 기간에 대량생산을 할 수 있었다. 또한 비닐하우스내(內)에서 저면관수 시스템의 이용은 조기생산은 물론 고품질의 분재를 생산할 수 있었으며 내한성이 약한 수종들도 겨울재배가 가능하였다. 본 연구는 세계시장을 위한 국가경쟁력에 크게 기여하였을 뿐만 아니라 농가 수익에도 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 PDF

환경영향평가 주민참여의 제도적 문제점과 내용분석 (A Study on Public Participation in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 Focused on Systematic Aspects and Content Analysis)

  • 김번웅;이영경
    • 환경영향평가
    • /
    • 제5권1호
    • /
    • pp.1-13
    • /
    • 1996
  • This paper examined public participation in the final Environmental Impact Statement(EIS) in terms of institutional procedures and content analysis. By reviewing EIS Draft Manual and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seven problems were identified in the system. The content of public participation in 14 EISs were analyzed by a developed protocol, most results of which were similar to the identified seven problems. In conclusion, this paper suggested that the systematic problems should be improved to activate more efficient public participation.

  • PDF

서계 박세당(西溪 朴世堂) 색경(穡經)에 표방된 현대 도시농업적 가치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Value of Contemporary Urban Agriculture as Represented by the Saekgyeong(穡經) by Seogye Park Se-dang(西溪 朴世堂))

  • 임정언;성종상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76-87
    • /
    • 2015
  • 본 연구는 조선시대의 농서 색경(穡經-농업에 관한 경서, 1676)과 이를 저술한 학자 서계 박세당(西溪 朴世堂)의 농업사상에 주목하였다. 연구목적은 당시의 농업에 대한 태도와 가치, 땅을 다루고 활용하는 방식 등에 관한 내용을 토대로 현대 도시농업의 가치를 고찰하는 것에 있다. 박세당의 농업사상과 색경을 통해 확인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생산성 향상을 통해 생계가 어려운 소농민의 안정을 추구하고 자립성을 실현하고자 하였던 사회 경제적 가치이다. 둘째, 경험에 의한 탐구, 강학(講學)을 위한 농업실습 현장으로서의 체험적 가치이다. 셋째, 자연의 흐름과 현상을 읽어 땅에 순응하는 농업방식으로 척박한 자연환경을 극복하고자 하였던 환경적 가치이다. 넷째, 땅에 적합한 농업방법과 생활의 지혜를 담은 지침서로서 색경을 편찬하여 널리 공유하고자 했던 활용적 가치이다. 위의 네 가지 가치 측면에서 현대 도시농업의 가치를 고찰해보면 다음과 같다. 사회 소외계층의 복지 수단으로 도시농업 활동을 장려하고 일자리 창출을 도모하는 사회 경제적 효과, 교육적 측면에서 체험활동을 통한 강학의 의미 제고, 자원순환과 재생 그리고 도시 생태성 회복을 위해 갖추어야 할 환경인식 증진, 학문연구와 대중에게 친숙한 접근방식으로 생활의 지혜를 공유하고 사회에 기여하는 실천적 정신이다. 본 연구는 최근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는 도시농업의 가치를 과거 농업에 대해 고민한 선조들의 생각에서 찾아보고자 하였다. 비록 시대적 배경의 차이가 있으나 우리가 추구하고 있는 다양한 농업적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의미를 되새겨보았다는 것에 연구의 의의가 있다.

창덕궁 태액지의 조영사적 특성 (Historical Studies on the Characteristics of Taeaek Pond at Changdeok Palace)

  • 정우진;심우경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6-63
    • /
    • 2012
  • 본 연구는 궁원의 복원 및 창덕궁 태액지의 원형경관 규명을 위한 기초연구로 창덕궁 주합루 일대에서 시대상이 투영되어 형성된 독특한 경관과 한국 전통수경관의 특수성을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창덕궁 태액지는 인조 연간에 용지(龍池)라는 명칭으로 축조되었으며, 숙종 이후 태액지로 개칭되어 불려졌다. 태액지에는 신선도를 의미하는 섬과 청서정, 택수재, 부용정의 수경을 감상하기 위한 정자가 조영되었으며, 방지라는 형태적 특징에 의해 사방에는 건물군락이 비대칭적 균형구조로 배치되었다. 이 일대의 배치에는 정형적 축선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열고관 개유와, 정자, 다리, 섬, 어수문, 주합루가 남북 중축선상에 위치하고, 섬과 어수문은 동서축을 이루는 분기점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태액지 섬과 정자의 변천과정을 분석하여 섬과 정자를 조영하는 방식에서 일정한 규칙성이 제시되었다. 또한 태액지 일대의 이용분석에서는 조망에 의한 정적인 감상이 주를 이루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정조 시대에는 직접 지당에서 다양한 뱃놀이와 낚시하는 동적인 유희활동이 이루어졌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은 태액지의 공간구성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는데, 이 당시 배를 타는 행위가 비중 있게 행하여지자 배의 운행을 위해 태액지와 섬을 잇는 다리가 철거되었고, 섬의 크기도 작아지게 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한편, 태액지 일대에 표현된 상징체계는 어변성룡과 군신주합이라는 두 가지 주제를 이야기 하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공간구성요소로 택수재, 물고기 조각, 어수문, 주합루 등이 도출되었다.

인력고지톱을 이용한 가지치기 작업능률 (The Pruning Works Efficiency of Manual Pruning Saw)

  • 조구현;오재헌;박문섭;차두송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4권1호
    • /
    • pp.47-51
    • /
    • 2008
  • 가지치기 작업은 보통 묘목의 식재 후 수고가 6 m 전후일 때 1차 작업을 실시하고 수고 12~13 m 전후일 때 2차 작업을 실시한다. 옹이가 없고 통직한 목재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도구나 기계에 의하여 가지치기 작업이 필요하다. 가지치기 작업방법에는 자동지타기를 이용하거나 동력 고지톱을 이용하는 등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본 연구에서는 가지치기 작업에 일반적으로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인력고지톱에 의한 가지치기작업을 조사하였다. 조사수종은 강원도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소나무, 잣나무, 리기다소나무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대상 수고는 10~16 m 내외로서 가지치기 후 지하고의 높이는 6.2~6.7 m 내외로서 인력고지톱에 의한 가지치기 작업능률은 4~6 m의 작업높이의 경우 1본당 소나무 3.46분, 잣나무 5.06분, 리기다소나무 4.44분이 소요되었고, 1일 작업능률은 소나무 104본, 잣나무 64본, 리기다소나무 81본으로 나타났다.

  • PDF

충주 및 주변지역 산지습지의 판별 및 식생 구조 (The Discrimination and Vegetation Structure of Several Mountainous Wetlands in Chung-ju and Around Area)

  • 김형국;정영선;구본학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55-65
    • /
    • 2008
  • This study was surveyed to analyze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ous wetlands in Chung-ju city and around area from September to November, 2006. 6 sites of total 15 potential mountainous wetlands were discriminated throughout field survey. By classification system of mountainous wetlands presented in manual of forest wetlands research, types of wetlands were classified into slant and a flat. Many sites were covered with land plants as Pueraria thunbergiana and so on. To understand vegetation structure of mountainous wetlands, Height, DBH (diameter at breast height), DI (Dominance Index), Sociability and Constancy were surveyed and Based on this result, a projection chart was drawn. As results, Salix koreensis in tree layer and Persicaria thunbergii and Impatiens textori in herb layer were surveyed as broadly distributed species. This study is mainly focused on vegetation condition of mountainous wetlands. But, it will be needed studying on classification system of mountainous wetland type and functional assessment for conservation or management of wetlands.

그래픽이론적 알고리즘들을 이용한 2차원 지형도로 부터 DEM 의 자동생성방법 (Automatic Generation of Digital Elevation Model from 2D Terrain Map Using Graph-theoretic Algorithms)

  • 구자영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9권2호
    • /
    • pp.21-34
    • /
    • 1993
  • 디지탈화된 지형 정보는 조망분석, 토목계획이나 설계, 또는 지리정보시스템등 여러 분야 에 필요한 요소가 된다. 또한 컴퓨터에 적절한 형식으로 입력된 지형정보는 모의 비행훈련이나 무인비행장치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지형정보는 지도위에 등고선을 비롯한 여러가지 기호들로 표시되어 있어서 훈련된 요원에 의해 분석된다. 자동분석을 위해서는 컴퓨터에 입력되어야 하는 데 디지타이징 타블렛과 같은 장비를 사용하여 수동으로 입력하는 것은 많은 시간과 인력을 필요 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이차원 지형도로부터 삼차원 지형정보를 자동적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다 루고 있다. 등고선 조각연결 알고리즘을 포함하는 몇 가지 알고리즘들이 제안되었고 실제 지형도 를 사용하여 실험되었다.

Effects of Surface-Applied Dairy Slurry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 I. Orchardgrass, Reed Canarygrass and Alfalfa-Grass Mixtures

  • Min, D.H.;Vough, L.R.;Chekol, T.;Kim, D.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5호
    • /
    • pp.758-765
    • /
    • 1999
  • Comparative studies of the effects of rates and frequency of application of dairy slurry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alfalfa and various forage grasses have not previously been conducted. The results being reported here are part of a larger study having a primary objective of comparing the effectiveness of alfalfa (Medicago sativa L.), various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for utilizing nutrients from applied dairy slurry. The objectives of this part of the study were to evaluate the effects of various rates and frequencies of application of slurry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and alfalfa-orchanrdgreass and alfalfa-reed canarygrass mixtures managed as a 4-cutting management system.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reatments in a split plot arrangement with four replicates was used. The main plots consisted of 9 fertility treatments: 7 slurry rate and time of application treatments, on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and an unfertilized control. The sub-plots consisted of the two grasses and two alfalfa-grass mixture mentioned above. Slurry was composed from stored solids scraped from the alleyways of a free-stall housing barn and water added to form a slurry having about 8% solids. Manure was pumped from a liquid spreader tank into 10.4 L garden water cans for manual application to the plots. Herbage yields within species were generally unaffected by various rates of application in the first production year. Herbage yields of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the second year were generally not affected by frequency of application for the same rate of slurry applied. Slurry application resulted in greater herbage yield increases in grasses than alfalfa-grass mixtures in the 4-cutting management system. In general, herbage dry matter yields of grasses from the dairy slurry treatments equaled or exceeded yields from th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Stand ratings of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were not changed by manure application rates. In this study, the highest rate of slurry ($967kg\;total\;N\;ha^{-1}$ in 1995 plus $2,014kg\;N\;ha^{-1}$ in 1996) was not detrimental to herbage yields or stand persistence of any of the species. It was concluded that applying dairy slurry to these cool-season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managed in a 4-cutting system is an acceptable practice from the standpoint of herbage yield and satnd persistence and by doing so the utilization of inorganic fertilizers can be reduced.

Effects of Surface-Applied Dairy Slurry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II. Alfalfa, Orchardgrass, Tall Fescue and Alfalfa-Orchardgrass

  • Min, D.H.;Vough, L.R.;Chekol, T.;Kim, D.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2권5호
    • /
    • pp.766-771
    • /
    • 1999
  • The first paper of this series compared the effects of rates and frequencies of application of dairy slurry on herbage yields and stand persistence of orchardgrass (Dactylis glomerata L.), reed canarygrass (Phalaris arundinacea L.), and alfalfa (Medicago sativa L.)-grass mixtures managed as a 4-cutting system. This paper compares the effects of rates and frequencies of application of dairy slurry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of alfalfa, orchardgrass, tall fescue (Festuca arundinacea Schreb.), and alfalfa-orchardgrass mixture managed as a 5-cutting system. The results presented here are part of a larger study having a primary objective of comparing alfalfa, various grasses, and alfalfa-grass mixtures for utilizing nutrients from dairy slurry applied to established stands. A 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 with treatments in a split plot arrangement with four replicates was used. The main plots consisted of 9 fertility treatments: 7 slurry rate and frequency of application treatments, on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and an unfertilized control. The sub-plots were the forage species. Manure used for the study was composed from stored solids scraped from the alleyways of a free-stall dairy barn. Water was added to from a slurry having about 8 % solids. Slurry was pumped from the liquid spreader tank into 10.4 L garden watering cans for manual application to the plots. Herbage yields of alfalfa, tall fescue, and alfalfa-orchardgrass were generally not affected by slurry application rates and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 Tall fescue significantly outyielded all other forage species at all manure and the inorganic fertilizer treatments in the second year when rainfall during the growing season was unusually high. Grasses generally had a greater response to manure applications than alfalfa and alfalfa-orchardgrass. Increasing rates of manure did not increase herbage yields of alfalfa and alfalfa-orchardgrass. Herbage yields within each species were not affected by frequency of application of the same total rate. Stand ratings of alfalfa, orcahrdgrass and alfalfa-orchardgrass were significantly lower for the very high manure application rate compared to the control treatment. Based upon the results of this study, multiple annual applications of slurry manure can be made onto these species at rates up to $1,700kg\;total\;N\;ha^{-1}\;yr^{-1}$ without detrimental effects on herbage yield and stand persistence.

소셜미디어 사진 게시물의 딥러닝을 활용한 도시공원 이용자 활동 이미지 분류모델 개발 (Development of Image Classification Model for Urban Park User Activity Using Deep Learning of Social Media Photo Posts)

  • 이주경;손용훈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42-57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의 딥러닝을 활용하여 소셜미디어에서 공유되는 도시공원 이용자 활동사진을 분류하는 기초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 소셜미디어 데이터는 네이버 검색을 통해 수집된 도시공원 관련 사진들을 수집하여 분류모델에 활용하였다. 도시공원 특성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지표인 자연성(naturalness), 잠재적 매력성(potential attraction), 활동(activity)을 기반으로 최종 21개의 분류 항목체계를 만들고, 항목별로 네이버에서 공유되는 실제 도시공원 사진을 수집하여 주석이 달린 데이터 세트를 구축했다. 수집한 사진 데이터 세트에 대해 커스텀(cuntom) CNN 모델과 사전 훈련된 CNN의 전이학습 모델을 설계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장 우수한 성능을 보였던 Xception 전이학습 모델이 최종적으로 도시공원 이용자 활동 이미지 분류모델로 선정되었으며, 그 외 다양한 평가 지표를 통해 모델을 평가했다. 본 연구는 소셜미디어에 공유되는 이용자 사진을 활용하여 도시공원 특성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로서 AI를 구축한 것에 의의가 있다. 딥러닝을 활용한 분류모델은 수동분류에 대한 한계를 보완하고, 대량의 도시공원 사진을 효율적으로 분류할 수 있어서 향후 도시공원의 모니터링 및 관리에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