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sat 7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35초

지하수 부존 가능지역 추출을 위한 LANDSAT TM 자료와 GIS의 통합(I) - LANDSAT TM 자료에 의한 지하수 부존 가능지역 추출 - (The Integration of GIS with LANDSAT TM Data for Ground Water Potential Area Mapping (I) - Extraction of the Ground Water Potential Area using LANDSAT TM Data -)

  • 지종훈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9-43
    • /
    • 1991
  • The study was performed to extraction the ground water potential area using LANDSAT TM data. The image processing techniques developed for the study are contrast transformation, differential filtering and pseudo stereoscopic image methods. These were examined for lineament extraction, lineament interpretation and the integration of vertor data with LANDSAT data. The differential filtering method is much usefull for lineament extraction, and all direction lineaments are clearly shown on the band 5 image of LANDSAT TM. The pseudo stereoscopic image are made in which color differential method is adopted, the pair images are usefull for the lineament interpretati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re i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lineament and cased well in the study area, because 33 wells of the developed 45 cased wells coincide with the lineaments. 2) 21 sites in the study area were selected for pumping test, and as a result 11 sites of them produces over than 200 ton/day.

Spectral Reflectance of Mongsanpo Tidal Flat, Korea, by using Spectroradiometer Experiments and Landsat Data

  • Kim, Bum-Jun;Lee, Sungsoon;Lee, Hoonyol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411-422
    • /
    • 2017
  •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spectral reflectance of intertidal zone and its changes under various environmental conditions. We sampled sand of Mongsanpo tidal flat, Korea, and measured its spectral reflectance by using a spectroradiometer under various water contents, compositions and granularity. We also simulated the reflectance of Landsat 7 ETM+ and compared it with an actual satellite data. Five locations were selected for sampling from the coastline towards the ocean. Grain size diminished stepwise from the coastline to ocean direction, while spectral reflectance differed with wavelength. Water contents lowered the overall reflectance especially at the water absorption bands. Spectral reflectance data were then converted into the simulated one by using Landsat 7 ETM+ spectral reflectance function to be compared with the actual Landsat 7 ETM+ images. It showed the decrease of the spectral reflectance due to the increase of moisture contents from seashore towards the ocean. It is shown that Landsat 7 ETM+ imagery can be efficient to extract moisture contents in the tidal flat while compositional analysis needs satellite sensors with much higher spectral resolution.

수도권 AWS 기온을 이용한 MODIS, Landsat 위성의 지표면 온도 분석 (Analysis of Land Surface Temperature from MODIS and Landsat Satellites using by AWS Temperature in Capital Area)

  • 지준범;이규태;최영진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15-329
    • /
    • 2014
  •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의 지표면 온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Landsat과 MODIS의 지표면 온도, AWS의 기온, 지표면 고도 및 토지이용도를 이용하였다. Landsat과 MODIS 위성의 지표면 온도와 AWS 기온의 분석은 상관계수, 평방근 오차(Root Mean Squared Error, RMSE), 선형회귀분석 등의 통계분석방법을 적용하였다. Landsat과 MODIS 지표면 온도의 상관계수는 0.32이고 RMSE는 4.61 K였다. 그리고 Landsat과 MODIS 지표면 온도와 AWS 기온의 상관성은 각각 0.83과 0.96이며 RMSE는 3.28 K, 2.25 K이었다. Landsat과 MODIS 지표면 온도는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으나 각각의 선형회귀의 기울기는 0.45와 1.02이었다. Landsat 5의 경우 전체 관측소에 대하여 0.5이하의 낮은 상관성을 보였고 Landsat 8의 경우는 일치되는 지점이 다른 위성에 비하여 적었으나 0.5이상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Landsat 7은 대부분 0.8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고 대체적으로 서울중심부에서 높은 상관성이 나타났다. 위성의 지표면 온도와 지표유형에 따른 AWS 기온사이의 상관성은 0.8이상의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Landsat 위성의 지표면 온도의 상관성은 0.84이었고 RMSE는 3.1 K이상이었으며 MODIS 위성의 상관계수는 0.96이상이고 RMSE는 2.6 K이하였다. 결과적으로 두 위성의 지표온도의 차이는 관측시각 차이에 의한 것으로 위성의 해상도에 따라 복사량을 탐지하는 지표면의 면적 차이에 의하여 발생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가로림만의 갯벌 지표온도와 식생지수에 의한 공간분석 (Spatial Analysis of Garorim bay by using Tidal Flat Surface Temperature and NDVI)

  • 정종철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7권1호
    • /
    • pp.27-35
    • /
    • 2017
  • 농경지, 공업지역 개발, 주거지 확장과 같은 인간의 활동은 갯벌생태계에 중요한 위협이 되어 왔고, 연안갯벌 감소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었다. 가로림만은 가장 중요한 습지 서식처 중에 하나이며, 해양수산부는 가로림만을 2016년 7월 해양생태계보호구역으로 지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Landsat 5 (TM), Landsat 7 (ETM+), Landsat 8 (OLI & TIRS)의 위성영상을 통해 가로림만의 공간적인 패턴을 분석하는 것이다. 가로림만의 표층온도와 NDVI는 공간분석기법에 의해 처리하였고, 시계열분석이 25년 동안의 Landsat 영상을 통해 적용되었다. 시계열 온도/식생 분포지도는 위성영상에 의해 몇 개의 갯벌 습지 서식처로 비교되었다. Landsat영상은 1988년부터 2014년까지 습지식생의 변화를 보여주었고, 가로림만 남부지역은 갯벌이 분포된 지역에 연안 습지에서 식생의 공간분포 변화되었음을 보여주고 있다.

위성영상을 활용한 한국 남해의 광학적 특성 연구 : 2013년 8월 발생한 적조 사례를 중심으로 (Analysis on optical property in the South Sea of Korea by using Satellite Image : Study of Case on red tide occurrence in August 2013)

  • 박수호;윤홍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723-728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Landsat-7 ETM+, Landsat-8 OLI 영상과 COMS/GOCI 영상을 이용하여 적조 픽셀의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적조 픽셀을 샘플링하기 위해 Landsat-7, 8 True Color 영상을 활용하였으며, 영상에서 적조 픽셀의 좌표를 획득하였다. 획득된 픽셀의 좌표를 참조하여 동일 해역의 GOCI 영상을 통해 해당픽셀의 흡광 및 수출광량 자료를 획득하였다. 적조가 발생하지 않은 경우 412nm와 660nm 파장대에서 주흡광을 보인 것에 비해 적조 픽셀의 경우 660nm에서 주흡광을 보였으며, 412nm에서는 흡광량이 현저히 줄어든 것을 확인하였다. 수출광량의 경우 스펙트럼 형태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수출광량의 절대값이 적조 픽셀의 경우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660nm와 680nm 파장대에서 수출광량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A STUDY ON INTER-RELATIONSHIP OF VEGETATION INDICES USING IKONOS AND LANDSAT-7 ETM+ IMAGERY

  • Yun, Young-Bo;Lee, Sung-Hun;Cho, Seong-Ik;Cho, Woo-Su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6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6 PORSEC Volume II
    • /
    • pp.852-855
    • /
    • 2006
  • There is an increasing need to use data from different sensors in order to maximize the chances of obtaining a cloud-free image and to meet timely requirements for information. However, the use of data from multiple sensor systems is depending on comprehensive relationships between sensors of different types. Indeed, a study of inter-sensor relationships is well advanced in the effective use of remotely sensed data from multiple sensors. This paper was concerned with relationships between sensors of different types for vegetation indices (VI).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IKONOS and Landsat-7 ETM+ images. IKONOS and Landsat-7 ETM+ image of the same or about the same dates were acquired. The Landsat-7 ETM+ images were resampled in order to make them coincide with the pixel sizes of IKONOS. Inter-relationships of vegetation indices between images were performed using at-satellite reflectance obtained by converting image digital number (DN). All images were applied to topographic normalization method in order to reduce topographic effect in digital imagery. Also, Inter-sensor model equations between two sensors were developed and applied to other study region. In the result, the relational equations can be used to compute or interpret VI of one sensor using the VI of another sensor.

  • PDF

Landsat 7 ETM+ 위성자료로부터 지형과 지표온도의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Correlationship between Topography and Ground Surface Temperature Using Landsat 7 ETM+ Satellite Data)

  • 이진덕;방건준;한승희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2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1-132
    • /
    • 2012
  • 서울지역을 대상으로 하여 Landsat 7 ETM+ 영상의 열적외선 채널을 이용하여 추출한 지표온도를 추출함에 있어서 DEM데이터로 부터 추출한 경사도와 사면방향 등의 지형조건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 PDF

Comparison of the Monitored Forests Results from EO-1 Hyperion , ALI and Landsat 7 ETM+

  • Tan, Bingxiang;Li, Zengyua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307-1309
    • /
    • 2003
  • The EO-1 spacecraft, launched November 21, 2000 into a sun synchronous orbit behind Landsat 7, hosts advanced technology demonstration instruments, whose capabilities are currently being assessed by the user community for future missions. A significant part of the EO-1 program is to perform data comparisons between Hyperion, ALI and Landsat 7 ETM+. In this paper, a comparison of forest classification results from Hyperion, ALI, and the ETM+ of Landsat-7 are provided for Wangqing Forest Bureau, Jilin Province, Northeast China. The data have been radiometrically corrected and geometrically resampled. Feature selection and statistical transforms are used to reduce the Hyperion feature space from 86 channels to 14 features. Classes chosen for discrimination included Larch, Spruce, Oak, Birch, Popular and Mixed forest and other landuses. Classification accuracies have been obtained for each sensor. Comparison of the classification results shows : Hyperion classification results were the best, ALI's were much better than ETM+.

  • PDF

Biorthogonal Wavelets-based Landsat 7 Image Fusion

  • Choi, Myung-Jin;Kim, Moon-Gyu;Kim, Tae-Jung;Kim, Rae-Young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724-726
    • /
    • 2003
  • Currently available image fusion methods are not efficient for fusing the Landsat 7 images. Significant color distortion is one of the major problems. In this paper, using the well-known wavelet based method for data fusion between high-resolution panchromatic and low-resolution multispectral satellite images, we performed Landsat 7 image fusion. Based on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 analyzed some reasons for color distortion. A new approach using the biorthogonal wavelets based method for data fusion is presented. This new method has reached an optimum fusion result - with the same spectral resolution as the multispectral image and the same spatial resolution as the panchromatic image with minimum artifacts.

  • PDF

Landsat-7 ETM+영상을 이용한 안성지역의 불투수도 추정 (Impervious Surface Estimation Using Landsat-7 ETM+Image in An-sung Area)

  • 김성훈;윤공현;손홍규;허준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529-536
    • /
    • 2007
  • 불투수도는 도시화, 환경변화를 추정하기 위한 중요한 지수로서 도시 기후 변화, 홍수기철 도시 범람의 증가, 홍수 모델링에 영향 등 도시의 홍수 기상학과 수문학적인 변화와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안성지역 일대를 대상으로 하여 Landsat ETM+ 영상을 이용한 불투수도 작성을 시도하였다. 학습 및 검수자료는 고해상도 영상인 IKONOS 영상을 이용하였으며, Landsat ETM+ 영상에 대한 위성반사율을 이용하여 tasseled cap과 NDVI로 전환하고 다양한 변수들이 불투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Regression Tree 알고리즘에 따라 불투수도 추정식을 개발하여 지도화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