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mark

검색결과 601건 처리시간 0.029초

Cephalometric landmark variability among orthodontists and dentomaxillofacial radiologists: a comparative study

  • Durao, Ana Paula Reis;Morosolli, Aline;Pittayapat, Pisha;Bolstad, Napat;Ferreira, Afonso P.;Jacobs, Reinhilde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45권4호
    • /
    • pp.213-220
    • /
    • 2015
  • Purpose: The aim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ccuracy of orthodontists and dentomaxillofacial radiologists in identifying 17 commonly used cephalometric landmarks, and to determine the extent of variability associated with each of those landmark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digital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evaluated by two groups of dental specialists, and 17 cephalometric landmarks were identified. The x and y coordinates of each landmark were recorded. The mean value for each landmark was considered the best estimate and used as the standard. Variation in measurements of the distance between landmarks and measurements of the angles associated with certain landmarks was also assessed by a subset of two observers, and intraobserver and interobserver agreement were evaluated. Result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excellent for intraobserver agreement, but only good for interobserver agreement. The least reliable landmark for orthodontists was the gnathion (Gn) point (standard deviation [SD], 5.92 mm), while the orbitale (Or) was the least reliable landmark (SD, 4.41 mm) for dentomaxillofacial radiologists. Furthermore, the condylion (Co)-Gn plane was the least consistent (SD, 4.43 mm). Conclusion: We established that some landmarks were not as reproducible as others, both horizontally and vertically. The most consistently identified landmark in both groups was the lower incisor border, while the least reliable points were Co, Gn, Or, and the anterior nasal spine. Overall, a lower level of reproducibility in the identification of cephalometric landmarks was observed among orthodontists.

각 분할 스핀 영상을 사용한 3차원 얼굴 특징점 검출 방법 (Robust 3D Facial Landmark Detection Using Angular Partitioned Spin Images)

  • 김동현;최강선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5호
    • /
    • pp.199-207
    • /
    • 2013
  • 스핀 영상은 3차원 표면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때문에 3차원 얼굴에서 특징점을 검출하는데 많이 이용된다. 하지만 기존의 스핀 영상은 표면의 법선 벡터 방향에 따라 매우 다른 스핀 영상이 만들어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해당 영역 내에 존재하는 모든 점을 2차원으로 변환하여 고려하기 때문에 3차원 표면 특징이 모호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검색 영역을 분할한 스핀 영상을 이용하는 3차원 얼굴 특징점 검출 방법을 제안하였다. 기준점으로부터 떨어진 각도에 따라 검색범위를 분할하여 분할된 영역 내 점들에 대해 스핀 영상을 구성하여 방향에 따른 특징 추출을 극대화했다. 법선 벡터 평탄화를 이용하여 표면 법선 벡터 방향에 대한 잡음 민감성을 줄여 정확한 형태의 스핀 영상을 얻도록 했다. 실험을 통해 제안한 방법으로 찾은 특징점과 실측 특징점과의 거리차를 비교하여 기존방법에 비해 약 34% 향상된 정확도를 얻음을 확인했다.

키넥트 센서를 이용한 인공표식 기반의 위치결정 시스템 (A Landmark Based Localization System using a Kinect Sensor)

  • 박귀우;채정근;문상호;박찬식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3권1호
    • /
    • pp.99-107
    • /
    • 2014
  • In this paper, a landmark based localization system using a Kinect sensor is proposed and evaluated with the implemented system for precise and autonomous navigation of low cost robots. The proposed localization method finds the positions of landmark on the image plane and the depth value using color and depth images. The coordinates transforms are defined using the depth value. Using coordinate transformation, the position in the image plane is transformed to the position in the body frame. The ranges between the landmarks and the Kinect sensor are the norm of the landmark positions in body frame. The Kinect sensor position is computed using the tri-lateral whose inputs are the ranges and the known landmark positions. In addition, a new matching method using the pin hole model is proposed to reduce the mismatch between depth and color images. Furthermore, a height error compensation method u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ody frame and real world coordinates is proposed to reduce the effect of wrong leveling. The error analysis are also given to find out the effect of focal length, principal point and depth value to the range. The experiments using 2D bar code with the implemented system show that the position with less than 3cm error is obtained in enclosed space($3,500mm{\times}3,000mm{\times}2,500mm$).

지역 랜드마크 인지요인에 대한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인식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erception Differences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Regarding Regional Landmark Cognitive Factors)

  • 최동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53-59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의 랜드마크 인지요인이 관광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지역 랜드마크 인지요인과 관광만족의 영향관계에서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인식의 차이로 인해 그 영향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확인하고 그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광주광역시의 관광지를 찾은 관광객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2019년 9월 1일부터 10월 6일까지 36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389부를 회수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랜드마크 인지요인은 상징성과 역사성으로 관광만족은 단일요인으로 구분되었다. 랜드마크 인지요인은 관광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지역주민과 관광객에 따라 그 영향관계에는 차이가 발생하였다. 그러므로 랜드마크를 통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자 할 때, 지나치게 지역주민의 의견을 반영하게 되면 오히려 관광객들이 외면하는 결과가 있을 수 있으므로 다양한 의견을 적절히 반영하는 것이 중요할 것이다.

소아 환자 대상의 자동 계측점 식별 프로그램의 정확성 평가 (Accuracy of Automatic Cephalometric Analysis Programs on Lateral Cephalograms of Preadolescent Children)

  • 송민선;김성오;김익환;강정민;송제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45-254
    • /
    • 2021
  • 이 연구의 목적은 소아 환자들의 측모방사선 사진을 대상으로 시판되는 3종의 자동 계측점 식별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평가하고 소아치과 임상에서의 사용 가능성을 예측하는 것이다. 영구 중절치가 맹출한 만 7 - 12세 건강한 어린이 60명의 측모방사선 사진에 14개의 계측점을 표시하였다. 1명의 검사자가 3회 반복 측정한 결과의 평균을 기준점으로 정의하여 자동으로 식별된 계측점과의 거리 차이를 계측하였다. 3종의 자동 계측점 식별 프로그램은 평균 2.53 mm의 오차를 나타냈다. Orbitale과 Gonion을 제외한 12개의 계측점에서 3종의 프로그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검사자가 모든 계측점에서 3종의 프로그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정확도를 보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사춘기 전 소아의 측모방사선 분석 시 자동 계측점 식별 프로그램이 검사자를 대체할 정도는 아니나 짧은 소요시간과 임상 허용 가능한 범위 이내의 정확도를 갖는 효과적인 진단 보조기구임을 알 수 있다.

니트 상의 패턴의 맞음새 평가방법 연구 (A Study of Fitness Evaluation System for Knit Bodice Pattern)

  • 천종숙;허지혜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82-492
    • /
    • 1998
  •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a objective fitness evaluation system for knits, the basic bodice pattern for knit was drafted and the suitability of the altered pattern was evaluated. For each of nine different knits, six sleeveless shirts were made with patterns that were altered by different pattern alteration rate: 0%, 30%, 40%, 50%, 60%, or 70% of the stretch rate of the knit. The panel that was composed of 25 clothing specialists evaluated the fitness of the garments. The distance from the dress form landmark to the garment landmark was measured from each experimental garment. And the results of garment fitness evaluation and the measurement of distance from the dress form landmark to garment landmark were com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high correlation(r$\geq$0.9) between the evaluation of the panel about the garment fit and the landmarks distance. The stretch rate of knits affected the evaluation of the garment fit. The stretch rate in course of knits affected on the garment fit at crosswise direction. The suitable pattern alteration rate was lower than 30% for the knits with high stretch rate in course. It was concluded that in order to get the appropriate knit bodice pattern length, the front bodice pattern must be less shorten than the back bodice pattern. The alteration rate at hip line must be lower than for waist or bust line.

  • PDF

보행자 내비게이션 시스템을 위한 랜드마크 추출 방법 (Extraction of Landmarks for Pedestrian Navigation System)

  • 노건일;김지영;유기윤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3-42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보행자가 갈림길을 만났을 때 랜드마크로 활용할 수 있는 건물을 기 구축된 공간정보로부터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각 갈림길에서 보행자의 시야를 바탕으로 랜드마크 후보군을 정의한 뒤, 후보군의 기하 정보와 속성 정보를 상대적 기준과 절대적 기준으로 구분하여 평가함으로써 랜드마크를 추출하였다. 제안된 방법을 도로명 주소 전자지도의 수원 일부지역에 적용하여 추출된 랜드 마크를 기존의 차량용 랜드마크와 비교한 결과 차량용 랜드마크가 추출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선택점에서 주로 보행자의 눈에 띄기 쉬운 모퉁이에 위치한 건물들이 랜드마크로 선정되었다. 따라서 추출된 랜드마크를 활용하여 보행자 내비게이션 시스템에서 보다 정확한 길안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생활지리정보 검색 및 안내를 위한 POI의 구축 및 활용 (A Study of the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Point of Interest Data for Search and Guide)

  • 김대식;김형진;손봉수;유완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3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423-430
    • /
    • 2003
  • Generally, elements of DRM(Digital Road Map) consist of road, background and landmark data. The landmark, expressed as text and symbol, on map and additional search data are processed by GISSD(Geo-spatial Information System Service Data).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 for operating landmark and search data, and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application of the DBMS. To accomplish the two objectives, the following four tasks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First, the working scopes of field survey and specification to construct the GISSD were defined. Second, the suggested process of manufacture and design of database were described. Third, the software for require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of the system were developed. Lastly, the properties of developed system and data were analyzed. Especially, the efforts for the GISS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a direct use and practical application to the creation of landmark in DRM and search data.

  • PDF

부산항에 있어서 묘박을 위한 랜드마크 체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andmark Experience for Anchorage in Pusan port)

  • 이동화;강영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9-64
    • /
    • 1999
  • This study is about gaining orientation through anchorage act of a group of ferryman. In addition, a point acquisition and character of landmark that is closely realated to a point acquisition would be clarified by studying the form of configuration of the earth and object which is used landmark for anchorage. There are 13 anchorage points in the north part of Pusan harbor. 12 anchorage points are used to anchor. A ferryman let a ship which is temporarily anchoring move safely and speedily at the anchorage point. At that time, he uses landmarks by a technique of Overlay View. Between landmarks and viewer would be formed exquisite location combination. A mountain peak, a peak of island, nature configuration of land such as intermitent rock and location, size and form of buildings or structures of a city were variously appeared as landscape elements which were used landmarks. Looking at conditions to be easily captured as a target object, 1. A particular point of a mountain ridge line which was not shield by buildings. 2. In case objects have similar form, the building which was located in the front or the highest. 3. In case of a singular object, whatever there is physical elements, that would be a target object. Through this study a configuration of the ground such as a mountain peak which is become the background of harbor landscape is very important element to find anchorage point in configuration of the ground and object. So, the continuous preservation of the contour line of mountain is needed to do safe and effective anchorage act.

  • PDF

랜드마크 이미지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 설계 방안 연구 (A Study on Designing Metadata Standard for Building AI Training Dataset of Landmark Images)

  • 김진묵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419-434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랜드마크 이미지의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을 위한 메타데이터 표준 설계 방안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이미지 검색시스템의 종류와 각각의 색인 방식에 관한 최신 기술 현황을 포괄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고, AI 머신러닝을 적용한 랜드마크 인식에 필수적인 학습용 공개 데이터셋과 이미지 객체 인식에 관한 기계학습 도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통해, 랜드마크 이미지 AI 학습용 데이터에 최적화된 메타데이터 요소를 선정하고 각각의 요소에 대한 입력 데이터를 정의하였다. 결론 및 제언에서는 랜드마크 인식을 활용한 추천시스템을 포함한 응용서비스 개발 방안을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