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mark

검색결과 601건 처리시간 0.03초

초고층 랜드마크의 공간적 거리 및 인지강도와의 상관성 분석 - 서울시 30층 이상 고층건물을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patial Distance and Cognitive Intensity of High-rise Buildings - Focusing on High-rise Buildings of More than 30 Stories in Seoul -)

  • 변재상;임승빈;주신하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90-104
    • /
    • 2007
  • Landmarks like high-rise building are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for the enhancement of city identity and provides the hierarchy of city streets, playing a central and symbolic role in cities. Research on physical attribute of landmarks, such as height, distance, location and shape, which are suitable for a city scale, can help a city create a distinct image and maintain comprehensible structure. To achieve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patial and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 landmark for the establishment and management of i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level of representativeness of a landmark increases in proportion to the degree of cognitive intensity on it. The relation between representativeness and cognitive intensity can be explained as the log-function as follows: Log(the number of people who respond "It has representativeness")=$-1.2579+1.5908{\times}$(cognitive intensity); 2. There are a few differences based on the attributes of respondents: while gender has no distinct influence, residential period and age show statistically meaningful influence on cognitive intensity of a vertical landmark Cognitive intensity of an individual landmarks especially, differs according to the class of main users. Because of frequent changes in occupation or employment, respondents consider the distance from a residential area more important than the distance from a working area in evaluating cognitive intensity of landmarks; 3. landmark can be classified into two kinds: a district landmark and an urban landmark A district landmark is closely connected with physical attributes of the landmark itself, such as distance, size and height. An urban landmark is mainly related to cognitive attributes such as the image and identity of a city as a whole. As a result, the landmark analysis data in this research provides spatial order and identity in a city. It is difficult to establish and reinforce the image of a city as a single element ike a landmark. However, withy steady follow-up research, this study could be seen as a systematic and logical model to improve urban landscape and image.

구름 검출 성능에 따른 Landmark 정합 정밀도 분석 (Landmark Matching Tests : Sensitivity to Cloud Detection Performance)

  • 강치호;안상일
    • 항공우주기술
    • /
    • 제6권2호
    • /
    • pp.219-228
    • /
    • 2007
  • 구름 검출 시 사용되는 인자들에 따른 Landmark 정합의 정밀도 변화를 추정하기 위한 시험을 수행하였다. 본 시험을 위해서 MTSAT-1R의 7개 영상을 이용하였으며, Landmark 정합의 정밀도는 대략 0.1 화소 이하로 추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능동형 인공표지를 이용한 이동로봇의 위치 인식 (Localization of Mobile Robot using Active Landmark)

  • 이재경;박영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1호
    • /
    • pp.64-69
    • /
    • 2008
  • 이동로봇이 임의의 작업공간에서 임무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에 대한 위치 인식 능력이 있어야 한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능동형 인공표지를 이용하여 이동로봇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능동형 인공표지에는 이동로봇에서 무선통신으로 제어가 가능한 LED가 부착되어 있는데, 제안한 방법은 CCD 카메라로 인공표지의 LED가 점등 및 소등된 두 영상의 차영상을 이용하여 인공표지 여부를 판별하기 때문에 주변 환경의 복잡도에 관계없이 인식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인공표지의 특징점 정보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제안한 방법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험을 하였으며 실험 결과는 제안한 방법이 이동로봇의 위치 인식에 적용될 수 있음을 보였다.

Self Localization of Mobile Robot Using UHF RFID Landmark

  • Kwon, Hyouk-Gil;Kim, Min-Sik;Ryu, Je-Goon;Shim, Hyeon-Min;Lee, Eung-Hyuk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2005년도 ICCAS
    • /
    • pp.1606-1611
    • /
    • 2005
  •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 self localization of mobile robot using UHF RFID landmark. We present landmark, a location sensing archetype system that uses UHF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HF RFID) technology for locating objects inside buildings. The major advantage of landmark is that it improves the overall accuracy of locating objects by utilizing the concept of reference tags. Based on experimental analysis, we demonstrate that passive UHF RFID is a viable and cost-effective candidate for indoor location sensing. We conduct a series of experiments to evaluate performance of the positioning of the landmark System. In the standard setup, we place RF Reader which has two antennas and 25 tags in our lab. This research uses the assumption-based coordinates (ABC) algorithm[3] for determining the localization of robot. Also, we show how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UHF RFID) can be used in robot-assisted indoor navigation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experiments illustrate that passive UHF RFID tags can act as reliable landmark that trigger local navigation behaviors to achieve global navigation objectives.

  • PDF

얼굴 특징점 검출을 위한 적분 회귀 네트워크 (Integral Regression Network for Facial Landmark Detection)

  • 김도엽;장주용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4호
    • /
    • pp.564-572
    • /
    • 2019
  • 최근 딥러닝 기술의 발전과 함께 얼굴 특징점 검출 방법의 성능은 크게 향상되었다. 대표적인 얼굴 특징점 검출 방법인 히트맵 회귀 방법은 효율적이고 강력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단일 네트워크를 통해 특징점 좌표를 즉시 얻을 수 없으며, 히트맵으로부터 특징점 좌표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정확도가 손실된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히트맵 회귀 방법에 적분 회귀 방법을 결합할 것을 제안한다. 여러 가지 데이터셋을 사용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적분 회귀 네트워크가 얼굴 특징점 검출 성능을 크게 향상시킨다는 것을 보인다.

Mobile Robot Path Finding Using Invariant Landmarks

  • Sharma, Kajal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5권3호
    • /
    • pp.178-184
    • /
    • 2016
  • This paper proposes a new path-finding scheme using viewpoint-invariant landmarks. The scheme introduces the concept of landmark detection in images captured with a vision sensor attached to a mobile robot, and provides landmark clues to determine a path. Experiment results show that the scheme efficiently detects landmarks with changes in scenes due to the robot's movement. The scheme accurately detects landmarks and reduces the overall landmark computation cost. The robot moves in the room to capture different images. It can efficiently detect landmarks in the room from different viewpoints of each scene. The outcome of the proposed scheme results in accurate and obstacle-free path estimation.

랜드마크 코너 추출을 적용한 모바일 카메라 기반 위치결정 기법 (Mobile Camera-Based Positioning Method by Applying Landmark Corner Extraction)

  • 이유진;윤완상;이수암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9권6_1호
    • /
    • pp.1309-1320
    • /
    • 2023
  • 모바일 기기의 기술 발전과 대중화는 어디서든 사용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발전되었다. 그러나 실내의 경우 인터넷은 끊김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기능은 활용하기 어렵다. 실내 공공장소인 백화점, 박물관, 컨퍼런스장, 학교, 터널 등 GPS가 수신되지 않는 음영 지역에서 실시간 위치정보 제공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최근의 실내 측위 기술은 랜드마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장비를 기반으로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랜드마크 데이터베이스 구축의 접근성에 초점을 두어 모바일 기기를 기반으로 랜드마크를 촬영한 단일 이미지와 사전에 구축된 랜드마크 데이터베이스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로, 랜드마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랜드마크를 촬영한 모바일 이미지만으로 사용자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서는 모바일 이미지에서 랜드마크 검출이 필수적이고, 검출된 랜드마크에서 고정적인 성격을 가진 지점의 지상좌표 취득이 필수적이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bag of words (BoW) 영상 검색 기술을 적용해 랜드마크 데이터베이스 중 모바일 이미지가 촬영한 랜드마크를 유사한 4위까지 검색하였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scale 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특징점 추출 기법과 Homography random sample consensus (RANSAC)을 통해 검색된 4개의 후보 랜드마크들 중 가장 유사한 하나의 랜드마크를 선정하였고, 이때 임계값 설정을 통해 정합점 수를 기반으로 한 차례 더 필터링을 수행하였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대응된 랜드마크와 모바일 이미지간의 Homography 행렬을 통해 랜드마크 이미지를 모바일 이미지에 투사하여 랜드마크의 영역과 코너(외곽선)점을 검출하였다. 마지막으로, 위치추정 기법을 통해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였다. 해당 기술의 성능을 분석한 결과, 랜드마크 검색 성능은 약 86%로 측정되었다. 위치추정 결과와 사용자의 실제 지상좌표를 비교한 결과, 약 0.56 m의 수평 위치 정확도를 갖는 것이 확인되어 별도의 고가 장비 없이 랜드마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모바일 영상으로 사용자 위치 추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지역 활성화를 위한 랜드마크 개발 (A Study on the Landmark for Regional Revitalization)

  • 임채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3호
    • /
    • pp.560-570
    • /
    • 2016
  • 랜드마크는 지역을 대표하는 이미지로서, 그 곳을 방문하는 관광객에게 지역의 특징을 인식시키기 때문에, 각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상징적인 랜드마크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지역 활성화를 위한 랜드마크 개발에 대한 사례를 연구함으로써, 향후 랜드마크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관광 상품 및 관광 진흥 정책을 개발을 위한 기본지침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현지조사지로서 일본 아오모리 현을 대상하였고, 현지조사와 문헌조사가 병용되었다. 일본은 오래전부터 다양한 관광정책의 수립을 통하여 지방의 국제화 및 활성화를 모색해 왔다. 특히, 아오모리 현은 개발이 늦어진 농촌지역의 관광산업을 발전시키기 위하여 랜드마크를 중심으로 관광 상품과 문화 공간 개발을 통한 지역 활성화를 꾀하였다. 아오모리 현의 사례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랜드마크 개발을 위한 조건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랜드마크의 상징성이나 디자인을 결정함에 있어서 해당 지역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조사가 실행되어야 하며, 시간과 비용을 투자해야 한다. 둘째, 랜드마크로의 접근성을 고려해야 하며, 주변 환경이 랜드마크와 더불어 관광요소로 작용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랜드마크의 방문가치를 높이기 위해서 편의시설 및 다양한 프로그램의 지속적인 운영 및 관리를 통해 랜드마크 내 외부에서 다양한 즐길거리, 볼거리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호텔 로비공간에서 시지각적 인지에 영향을 미치는 랜드마크 공간요소의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ecial property in presentation of spatial factors in a landmark of a hotel lobby, which affects visual cognition)

  • 이효창;하미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7권1호
    • /
    • pp.110-119
    • /
    • 2008
  • A lobby of a hotel is an important space by which the image of a hotel as a whole, the brand-identity, is determined. This study has researched and analyzed the special property in presentation of a landmark in a hotel lobby for its spatial factors, which affects visual cognition, and it i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set out the foundation of space design for the appropriate landmark in a certain hotel lobby corresponding to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a hotel. The regional range of this study includes the lobby spaces of 10 five-star hotels in Shanghai China and Seoul Korea. The types of spatial factors as landmarks and manifestation of those, which affect the visual cognition of the users are the range of context in this study. For this study, field-study and survey were both used in research. The results that have been conclud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manifestational quality of a landmark in a hotel lobby is represented in its size, figure and contrast of 'shape', in its visibility and territory of 'space' and in its symbolic value and historical property of 'meaning', and each of those factors are related to the others. Secondly, the types of spatial factors in a landmark are displayed as being focused on the openness of the space or with large-scaled spatial factors. Light and lumination intensify the manifestation of various spatial factors in a landmark. Thirdly, each representational characteristic of spatial factors in a landmark, which are closely linked to each other should be controlled precisely in order to bring out functional and symbolic feature of a hotel lobby.

다차원 클러스터링 기반의 단백질 2DE 이미지에서의 자동화된 기준점 추출 방법 (Automated Method of Landmark Extraction for Protein 2DE Images based on Multi-dimensional Clustering)

  • 심정은;이원석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2D권5호
    • /
    • pp.719-728
    • /
    • 2005
  • 2DE는 조직 내의 단백질을 규명하는 단백질 분리 기술이다. 그러나 2DE 이미지는 실험 조건, 스캐닝 상태와 같은 환경에 민감하게 영향을 받는다. 이러한 이미지간의 변화를 극복하기 위해서 사용자는 각각의 서로 다른 이미지에 수동으로 기준점을 입력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이 과정은 에러를 발생시키며 긴 시간을 요구하는 작업으로, 빠른 분석에 장애 요인이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기준점 프로파일에 기반 하여 기준점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기준점 프로파일은 이미 확인된 이미지들의 기준점들에 대한 클러스터링 방법을 통하여 생성하며, 각 클러스터의 다양한 속성을 정의한다. 새로운 이미지가 입력되면 기준점의 후보 스팟들을 대상으로 프로파일과 비교하석 기준점을 추출한다. 그리고 $A^*$알고리즘을 이용하여 기준점 선정 과정을 최적화한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 사람의 간 조직 이미지를 이용하여 기준점 추출 방법의 성능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