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fill gas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5초

쓰레기매립장에서의 유해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에 관한 연구 - 황화합물을 대상으로- (The Estimation of Harmful Air Pollutant Emission from Landfill Site - A Subject of Sulfide Compounds -)

  • 노기환;전의찬
    • 환경위생공학
    • /
    • 제16권1호
    • /
    • pp.47-52
    • /
    • 2001
  • In this study, we focused on typically problematic sulfide compounds Gas samples were captured at Unjung-ding landfill site in Metropolitan Kwangju with flux chamber and floating chamber, and analyzed for the amount of hydrogen sulfide($H_2S$), dimethyl sulfide $((CH_3)_2S)$ and dimethyl disulfide$((CH_3)_2S_2)$. From the gas pipe, landfill surface and leachate treatment plant, estimated total amount of $H_2S$ emission are 12.6ton/yr, 0.01ton/yr and 1.04ton/yr; estimated total amount of $((CH_3)_2S)$ 30.7ton/yr, 0.08ton/yr and 1.72ton/yr; and estimated total amount of ($((CH_3)_2S_2)$ 2.2tom/yr, 0.02ton/yr and 1.03ton/yr, respectively. Further in-depth study on co-relation between age, packing characteristics, temperature and humidity of landfill site and gas emission characteristics is needed.

  • PDF

LANDFILL STABILIZATION WITH LANDFILL MINING AND THERMAL TREATMENT PROCESS

  • Gust, Micheal A.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 1996년도 사용종료 매립지의 안정화 에 관한 국제 세미나
    • /
    • pp.97-101
    • /
    • 1996
  • Municipal and sanitary landfills can pose environmental problems due to leachate, landfill gas md unstable geotechnical properties. Most governmental bodies delay the correction of landfill problems or landfill replacement until a crises stage is reached. The replacement of a landfill is often made difficult due to costly regulatory controls, public opposition to siting and the high cost of closure for the previous landfill unit. Solutions to extending landfill life and capacity Involve waste minimization by recycling, refuse compaction and waste-to-energy incineration. Incineration can reduce the volume of refuse by 50-95%. The largest installed bases of municipal waste Incinerators are located in Japan and the U.S. The volume of waste contained in a landfill can be estimated by load count tabulations, weight-and-volume measurements or a material balance analysis based on the trash profile of user categories. for an existing landfill, core samples may be collected and analyzed for use in a material balance analysis. Newly generated refuse contains approximately 50% of the heating value of coal. However, landfill properties vary significantly due to the waste profile of the contributors and biodegradation due to time and weathering. The volume of the Nanji-do landfill

  • PDF

폐기물매립지 굴착사업을 위한 가스치환시 공기공급방법의 효율성 비교 (Comparison of effectiveness of Aeration Modes on the Removal of Landfill Gases for Landfill Mining)

  • 남궁완;박준석;김정대
    • 한국토양환경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9-88
    • /
    • 1998
  • 본 연구는 공기를 주입하여 매립지가스를 치환하고자 할 때 공기공급방법이 매립지가스제거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실시하였다. 공기공급방법으로는 공기를 직접 불어넣는 방법과 매립지가스를 추출함으로써 대기중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되도록 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한 주입정에서 공기를 주입하고 동시에 다른 추출정에서 가스를 추출하는 공정도 실시하여 운전모드에 따른 매립지가스 제거 효율을 비교검토하였다. 공기주입 및 가스추출시 유량은 15$\textrm{m}^3$/min으로 동일하였다. 추출모드나 주입/추출모드로 운전하는 것보다 공기주입모드로 운전하는 것이 매립지가스 제거에 가장 효과적이었으며 추출모드는 매립지가스 제거에 가장 적합하지 못하였다. 공기주입과 추출을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에도 주입모드에 비하여 매립지가스 제거효율을 크게 향상시키지는 못하였다.

  • PDF

건설폐기물 분리매립 및 생활폐기물과의 혼합매립에 의한 매립가스 발생 특성 (Characteristics of Landfill Gas Generation by Separate Landfill of Construction Waste and Mixed Landfill with Household Waste)

  • 박종근;천승규
    • 신재생에너지
    • /
    • 제18권4호
    • /
    • pp.1-11
    • /
    • 2022
  • Landfill gas (LFG) generation characteristics in a construction waste landfill zone (block E) and mixed landfill zone (block A) were analyzed. During the period from October 2018 to April 2022, a total of 936×103 and 1,001×103 tons of waste were disposed in block E and block A, respectively. Out of this, 27.1% and 55.6% were biodegradable waste in block E and block A, respectively. The landfill masses of the two blocks were converted to be comparable. Then, the biodegradable waste and organic carbon were estimated by element analysis, biodegradable carbon by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experiment (DC), and sulfate ion by acid decomposition. Results showed that biodegradable waste, organic carbon, biodegradable carbon, and sulfate ions in block A were 2.1, 1.6, 5.2, and 0.4 times greater than those in block E, respectively. The amount of LFG generated by block A was 4.8 times greater than that by block E.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methane (CH4) were 60.8% and 60.9% in block E and block A, respectively, which were unrelated to the nature of disposed waste. The average concentrations of hydrogen sulfide (H2S) were significantly high in block E (4,489 ppm) and block A (8,478 ppm). As the DC/SO42- of block E and block A were 0.35 and 4.56, respectively, increase in DC/SO42- caused increase in not only the total amount but also the concentration of H2S generated.

매립장 주요 배출경로별 매립가스 표면발산량 및 산화율 분석 (Analysis of surface emission and oxidation rate of landfill gas by major discharge path of landfill)

  • 천승규;박종근;김명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25-434
    • /
    • 2023
  • 수도권에 위치한 S매립장 내 3개의 매립장을 대상으로 매립가스 배출 및 주요 경로별 표면발산과 관련된 분석을 하였다. 전체 매립가스 발생비율 10.9%인 LS1이 총 표면발산 비중은 49.4%를 차지하고 있었다. 3개 매립장에서의 메탄의 총 표면발산은 13.6 Nm3/min로서, LS1 8.4 Nm3/min (61.7%), LS2 4.0 Nm3/min(29.4%), LS3 1.2 Nm3/min(8.9%)이고, 발산경로별로는 상부 7.3 Nm3/min (53.2%), 사면 6.4 Nm3/min(46.7%), 다이크 0.02 Nm3/min(0.1%)이었다. 3개 매립장의 주요 배출경로별 산화율은 다이크가 87.5%로 가장 크고, 상부 72.3%, 사면 71.8% 순이었다. 메탄을 기준으로 표면발산 기여율은 매립장 별로 LS1이 전체의 61.7%로 가장 컸다. 주요 배출경로별로는 LS1의 사면이 전체의 41.7%, LS2의 상부 24.4%, LS1의 상부 20.0%로서 S매립장의 전체 메탄 표면발산량의 86.1%를 차지함에 따라 향후 집중적인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공기주입방식에 의한 매립지가스 안정화에 관한 현장연구 (Field Study on Stabilization of Landfill Gas by Air Injection Mode)

  • 김경;박준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63-7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공기주입 방식과 공기주입 시간이 매립지가스 안정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 매립지굴착사업 진행시 굴착작업 시간을 판단하고자 실시하였다. 간헐주입의 경우 혐기성에서 호기성으로의 전환되는데 연속주입보다 8배 정도 긴 시간이 소요되어 매립지굴착사업과 같이 혐기성 가스를 빠른 시간 내에 호기성 가스로 치환하여 굴착작업을 수행해야 하는 경우에는 연속주입이 더 적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0.2m^3/min$ 유량으로 공기를 연속주입한 후 중단하였을 때 공기주입 시간과 호기성 조건($CH_4$ < 5%)이 유지되는 시간과는 비교적 높은 상관도($r^2$ = 0.95)를 나타내고 있었다. 공기주입 시간을 1이라고 볼 때 공기주입 중단 후 호기성은 약 1.5배 정도의 긴 기간 동안 유지되고 있었다.

  • PDF

매립장 조성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 매립가스의 호흡노출로 인한 인체위해성평가를 중심으로 - (Health Impact Assessment on Construction of Landfill Site - Focused on Human Risk Assessment due to Inhalation Exposure to Landfill Gas -)

  • 김영하;이영수
    • 환경정책연구
    • /
    • 제7권1호
    • /
    • pp.1-29
    • /
    • 2008
  • 환경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환경보건법" 이 2008년 2월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향후 법 제13조(건강영향 항목의 추가 평가 등) 제1항의 규정에 따라 사전환경성검토 또는 "환경영향평가법"에 따른 환경영향평가의 대상이 되는 행정계획 및 개발사업 중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행정계획 및 개발사업에 대하여는 검토 평가 항목에 환경유해인자가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추가하여 평가하도록 하는 건강영향평가제도가 시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요 개발사업 중 인체 건강에 미칠 영향이 클 것으로 예상되는 매립장을 대상으로, 매립장에서 배출되는 매립가스의 호흡노출로 인한 인체위해성평가를 실시하여 향후 추진될 건강영향평가제도의 국내 적용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첫째, 미국 EPA의 매립장 배출가스 산출 추천모델인 LandGEM v. 3.02(Landfill Air Emissions Estimation Model v. 3.02)를 이용하여 매립장에서 배출되는 매립가스의 배출량을 산정하였고, 대기확산모델인 K-SCREEN을 수행하여 매립장 주변지역에 미치는 확산농도를 예측하였다. 마지막으로 K-SCREEN 모델을 통해 예측된 유해 오염물질의 확산농도를 토대로 발암성 물질에 대해서는 여러 노출변수들을 적용하여 인체노출량을 산출한 후 발암위해도 평가를 수행하였고 비발암성 물질에 대해서는 위해도지수를 계산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매립가스의 호흡노출로 인한 인체위해성평가 기법은 향후 매립장 조성사업에 대한 건강영향평가 시행시 의사결정자들과 일반대중이 과학적 기반 위에서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몇 가지 연구의 한계점들은 관련 연구자들의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극복할 필요가 있으며, 이러한 한계점들이 개선된다면 좀 더 신뢰성 있는 결과를 산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stimation of Landfill Stabilization using Carbon-based Mass Balance Evaluation

  • Chun, Seung-Kyu
    • 한국지하수토양환경학회지:지하수토양환경
    • /
    • 제21권2호
    • /
    • pp.22-28
    • /
    • 2016
  • In order to evaluate landfill stabilization based on organic carbon, stoichiometric analysis and a biological methane potential (BMP) test based on modeling were performed at the 2nd Sudokwon Landfill Site. Mass balance analysis through a BMP test proved to be more adaptable for evaluation, and it showed that 28.9% of landfill organic carbon was expected to remain by 2046, 30 years after landfill closure. The organic carbon ratio of total landfill waste for 2046 is forecasted as 2.9% in demolition waste and 5.1% in household waste, and, if one were to consider plastic as an organic waste, the ratios would increase to 15.9% and 28.3%, respectively. Therefore, it seems that organic matter biodegradation facilitating measures such as bioreactor landfill technology and preemptive recovery of combustible waste are necessary to shorten post closure management periods and to meet the landfill stabilization guidelines more safely.

매립가스 자원화를 위한 가스엔진 발전의 수익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ofitability of Power Plant for Landfill Gas)

  • 김오우;이정일
    • 산학경영연구
    • /
    • 제19권2호
    • /
    • pp.69-94
    • /
    • 2006
  • 매립된 패기물의 분해과정에서 생성되는 부산물로서의 매립가스는 악취와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유해한 가스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발열량이 $5,000kcal/m^3$에 달하는 매립가스의 특성은 에너지원으로써의 활용가치가 탁월한데다 지구온난화의 주범으로 떠오르면서 그 회수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어, 재생에너지로서의 매립가스를 대체에너지 자원으로 이용하려는 추세는 매우 고무적인 현상이라 하겠다. 현재 우리나라의 매립가스자원화 사업은 가스엔진을 이용한 전력생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부분적으로 중질가스와 고질가스의 활용에도 관심을 보이고 있다. 가스발전기의 가동률과 전력단가의 변동을 고려하여 매립가스의 경제성을 분석해본 결과, 초기 투자비 회수와 지속적인 수익성 확보를 위해서는 최소한 10년 이상의 발전사업 운영 및 전력판매 단가의 현실화가 요구되고 있다.

  • PDF

비위생매립지 침출수의 안정화 평가 - 노은매립지 사례연구 - (The Assessment of Stabilization of Open-dumping Landfill Leachate - A Case Study of Noeun Landfill -)

  • 홍상표
    • 환경영향평가
    • /
    • 제13권3호
    • /
    • pp.115-124
    • /
    • 2004
  • To utilize a closed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site in environmentally secure conditions, it is necessary to verify the stabilization level of landfill leachate. To assess leachate stabilization of an open-dumping municipal solid waste landfill (Noeun Landfill) which is located at the upper drainage basin of Namhan River which flows into Lake Paldang utilized for Seoul Metropolitan water supplies, the surrounding characteristics of the landfill site was surveyed. After then, leachate, groundwater and soil samples from this landfill were chemically analyzed, and the analysis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Criteria of Landfill Waste Stabilization(CLWS)", "Discharge Criteria of Landfill Leachate", "The Criteria of Domestic Use in Groundwater Quality", and "Soil Contamination Criteria" promulgated by Korean Ministry of Environment. The closed open-dumping landfill was equipped with the final soil cover, 3 groundwater monitoring wells and poor landfill gas extraction devices for the post-closure management of the landfill. BOD/CODcr ratios in leachate were less than or slightly higher than 1/10. This results seemed to imply that the leachate stabilization level of this landfill based on the CLWS was almost completed. Qualities of groundwater sampled from monitoring wells located at outside of landfill were adequate for "The Criteria of Domestic Use in Groundwater Quality". Finally, concentrations of soil contaminants that were likely to be influenced by this landfill site were adequate to "Soil Contamination Crite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