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er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4초

Polarimetry of (162173) Ryugu at the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using the 1.8-m Telescope with TRIPOL

  • Jin, Sunho;Ishiguro, Masateru;Kuroda, Daisuke;Geem, Jooyeon;Bach, Yoonsoo P.;Seo, Jinguk;Sasago, Hiroshi;Sato, Shuji
    • 천문학회보
    • /
    • 제46권1호
    • /
    • pp.45.2-46
    • /
    • 2021
  • The Hayabusa 2 mission target asteroid (162173) Ryugu is a near-Earth, carbonaceous (C-type) asteroid. Before the arrival, this asteroid is expected to be covered with mm- to cm- sized grains through the thermal infrared observations [1]. These grains are widely understood to be formed by past impacts with other celestial bodies and fractures induced by thermal fatigue [2]. However, the close-up images by the MASCOT lander showed lumpy boulders but no abundant fine grains [3]. Morota et al. suggested that there would be submillimeter particles on the top of these boulders but not resolved by Hayabusa 2's onboard instruments [4]. Hence, we conducted polarimetry of Ryugu to investigate microscopic grain sizes on its surface. Polarimetry is a powerful tool to estimate physical properties such as albedo and grain size. Especially, it is known that the maximum polarization degree (Pmax) and the geometric albedo (pV) show an empirical relationship depending on surface grain sizes [5]. We observed Ryugu from UT 2020 November 30 to December 10 at large phase angles (ranging from 78.5 to 89.7 degrees) to derive Pmax. We modified TRIPOL (Triple Range Imager and POLarimeter, [6]) to attach to the 1.8-m telescope at the Bohyunsan Optical Astronomy Observatory (BOAO). With this instrument, we observed the asteroid and determined linear polarization degrees at the Rc-band filter. We obtained sufficient data sets from 7 nights at this observatory to determine the Pmax value, and collaborated with other observatories in Japan (i.e., Hokkaido University, Higashi-Hiroshima, and Nishi-Harima) to acquire linear polarization degrees of the asteroid from total 24 nights observations with large phase angle coverage (From 28 to 104 degrees). The observational results have been published in Kuroda et al. (2021) [7]. We thus found the dominance of submillimeter particles on the surface of Ryugu from the comparison with other meteorite samples from the campaign observation. In this presentation, we report our activity to modify the TRIPOL for the 1.8-m telescope and the polarimetric performance. We also examine the rotational variability of the polarization degree using the TRIPOL data.

  • PDF

저품위(底品位) 휘수연석(煇水鉛石) 정광(精鑛)의 산화배소(酸化焙燒) 특성(特性) (Characterization of the Oxidation Roasting of Low Grade Molybdenite Concentrate)

  • 김병수;이후인;최영윤;김상배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18권5호
    • /
    • pp.19-25
    • /
    • 2009
  • 몰리브덴 산업에서 가장 중요한 광물인 휘수연석($MoS_2$) 정광은 일련의 산화배소정제 공정을 통하여 공업용 산화몰리브덴(technical grade $MoO_3$)으로 제조되어 각종 몰리브덴 화합물의 중요한 원료로서 사용된다. 본 연구에서는 저품위 휘수연석 정광의 산화배소 특성을 조사하였다. 실험은 0.08 atm~0.21 atm의 산소분압과 793~823 K의 배소은도 범위에서 TGA 장비를 사용하여 수행하였으며, 사용한 휘수연석 정광의 입자크기는 평균 $67\;{\mu}m$ 이다. 실험 결과 산화배소 온도 823 K, 시간 60분에서 95% 이상의 휘수연석이 산화몰리브덴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Jander 식이 저품위 몽골산 휘수연석 정광의 산화배소 속도 데이터를 분석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산소 분압에 대해서는 0.11 차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달 기지 건설을 위한 달 현지 자원 및 지형의 공간 분포 분석 (Geographic Distribution Analysis of Lunar In-situ Resource and Topography to Construct Lunar Base)

  • 홍성철;김영재;서명배;신휴성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669-676
    • /
    • 2018
  • 달의 과학적 기술적 경제적 가치가 증대됨에 따라 세계 주요 우주국들은 달 자원 개발 및 달 기지 건설을 위한 로드맵을 수립하여 달 탐사 사업을 단계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또한 달 표면에 전초기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막대한 양의 자원을 지구로부터 수송해야하므로, 달 표면에 존재하는 자원을 활용하는 현지 건설기술(Lunar In Situ Construction Technology)이 개발 중이다. 하지만 달 지형과 자원은 달 내부의 지각 및 화산활동과 달 외부로부터의 태양광, 운석 충돌 등으로 인해 지역별로 다양한 특성을 지닌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달 자원의 공간적 분포분석을 통해 현지 건설기술의 적용을 위한 고려사항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달 기지 건설을 위해서는 달 착륙선의 안정적인 착륙과 로버의 이동 용이성을 고려해야 하므로, 달 건설 후보지역 선정을 위한 지형조건을 함께 제시하였다. 현재 달 궤도선으로부터 주로 관측되는 달 지형 및 자원 정보는 낮은 공간해상력과 함께 달 표면에 국한되는 제약점이 있다. 향후 전개될 로버 중심의 달 탐사는 달 현지 건설기술 개발과 달 기지 건설후보지 선정에 유용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지구-달 전이궤적 및 임무 궤도에서 궤도선과 지상국의 가시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Visibility between a Lunar Orbiter and Ground Stations for Trans-Lunar Trajectory and Mission Orbit)

  • 최수진;김인규;문상만;김창균;류동영
    •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218-227
    • /
    • 2016
  • 대한민국 정부는 2020년까지 달에 궤도선과 착륙선 발사를 계획하고 있다. 두 가지 탐사선을 발사하기 이전에 탐사선의 핵심기술 확보 및 달의 과학 데이터를 획득하기 위해 시험용 궤도선을 2018년까지 발사할 계획이다. 궤도선의 탑재체는 달 표면 촬영 및 과학 데이터를 획득한 후 지상으로 전송한다. 또한 궤도선이 지상국과 교신이 가능하면 S-band 대역으로 원격명령 및 원격 측정 데이터를 전송하고, X-band 대역으로 과학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국형 심우주 네트워크는 궤도선과 주로 S 및 X-band 통신을 수행한다. 지구-달 전이 단계에서 한국형 심우주 네트워크가 가용할지 않을 경우 Deep Space Network 또는 Universal Space Network를 이용하며, 임무 궤도에서는 예비로 이 네트워크들이 사용된다. 본 논문은 임무 시나리오에 따른 궤도선의 일별 교신 횟수를 예측하고 운영 시나리오를 작성하기 위해 다양한 안테나 및 마스크 각도에 따른 가시성 조건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