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use/cover Change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6초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서해안 토지이용의 변화 추적 (A Change Detection of Western Coastal Land-Use using Landsat TM Images)

  • 양인태;박재국;김흥규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11-420
    • /
    • 1999
  • 최근 연안개발과 간척사업은 인구의 집중, 상업지역의 밀집 등 토지이용의 급속한 변화와 갯벌의 파괴, 해양생태계의 파괴와 같은 연안환경오염을 낳고 있다. 따라서 광범위한 토지이용 및 그 변화를 탐지할 수 있는 보다 새로운 기법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이 절실한 실정에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연안지역의 토지피복 분류를 통한 변화탐지 기법을 새롭게 설계하고 적용하여 전체적 변화영상뿐만 아니라 분류항목별 변화영상을 제작하고 정량적인 변화량까지도 추출해 낼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또한 영상이 가지고 있는 각 영상소가 두시기 사이에 무엇으로 변화하였는지를 시각적으로 판독할 수 있게 함으로써 연안개발 및 도시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의 의사결정 자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PDF

GIS와 RS를 이용한 오대산국립공원의 경관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andscape Characteristics of Odesan National Park by using GIS and RS)

  • 한갑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14-122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오대산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수치표고모텔, 용도지구 및 토지피복분류도를 작성하여 경관특성을 파악하고, 가시권분석을 통해 시각적 경관관리방안을 제시하는 것이었다. 분석결과, 용도지구는 자연환경지구의 면적이 감소하고 자연보존지구가 상대적으로 확대되어 보전의 성격이 강화된 반면, 취락지구도 면적이 증가하여 개발 가능성이 증가하였다. 토지피복은 자연환경지구에서 농경지 및 도시지역의 증가가 나타났다. 가시권분석을 통해 가시중복도가 높게 나타난 지역은 대부분 자연보존지구였으며 산림지역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러나 일부지역은 자연환경지구 내에 포함되어 지속적인 경관관리가 요구되었다.

  • PDF

Prediction of Land Use/Land Cover Change in Forest Area Using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 Park, Jinwoo;Park, Jeongmook;Lee, Jungsoo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305-314
    • /
    • 2017
  • This study aimed to predict changes in forest area using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in order to promote effective forest management in the area north of the civilian control line (known as the Minbuk area) in Korea. Time series analysis (2010 and 2016) of forest area using land cover maps and accessibility expressed by distance covariates (distance from buildings, roads, and civilian control line) was applied to a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In order to estimate the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mean and variance were calculated using three methods: area weight (AW), area rate weight (ARW), and sample area change rate weight (SRW). Forest area increases in regions with lower accessibility (i.e., greater distance) from buildings and roads, but no relationship with accessibility from the civilian control line was found. Estimation of forest area change using different distance covariates shows that SRW using distance from buildings provides the most accurate estimation, with around 0.98-fold difference from actual forest area change, and performs well in a Chi-Square test. Furthermore, estimation of forest area until 2028 using SRW and distance from buildings most closely replicates patterns of actual forest area changes, suggesting that estimation of future change could be possible using this method. The method allows 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land cover in the Minbuk area, as well as predictions of future changes in forest area that could be utilized in forest management planning and policymaking in the northern area.

Analysis of Land Use Change Impact on Storm Runoff in Anseongcheon Watershed

  • Park, Geun-Ae;Jung, In-Kyun;Lee, Mi-Seon;Shin, Hyung-Jin;Park, Jong-Yoon;Kim, Seong-Jo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5-4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hydrological impact due to temporal land cover change by gradual urbanization of upstream watershed of Pyeongtaek gauging station of Anseong-cheon. WMS HEC-1 was adopted, and OEM with 200 m resolution and hydrologic soil group from 1:50,000 scale soil map were prepared. Land covers of 1986, 1990, 1994 and 1999 Landsat TM images were classified by maximum likelihood method. The watershed showed a trend that forest & paddy areas decreased and urban/residential area gradually increased during the four selected years. The model was calibrated at 2 locations (Pyeonglaek and Gongdo) by comparing observed with simulated discharge results for 5 summer storm events from 1998 to 2001. The watershed average CN values varied from 61.7 to 62.3 for the 4 selected years. To identify the impact of streamflow by temporal area change of a target land use, a simple evaluation method that the CN values of areas except the target land use are unified as one representative CN value was suggested. By applying the method, watershed average CN value was affected in the order of paddy, forest and urban/residential, respectively.

위성영상을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 검색기법 비교연구 (Comparison of Land Use Change Detection Methods with Satellite Image)

  • 박순호;김우관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7-150
    • /
    • 1999
  • 우리나라에서 위성자료를 이용한 토지이용에 관한 연구는 현황분석이 중심이고, 토지이용 변화에 관한 연구는 분석기법에 대한 적실성 평가 없이 특정기법이 적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변화 검색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다섯 가지 토지이용 변화 검색기법을 선정하여 대구광역시 북구를 사례로 각 검색기법의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핵심데이터는 1994년과 1997년에 촬영한 Landsat TM영상과 항공사진이다. 위성자료를 이용한 토지이용 변화검색에는 pre-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가 post-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보다 효과적이었다. Pre-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s 중에서는 image differencing method가, 특히 임계치 1.0에서의 image differencing method의 DIF2 변화이미지의 경우가 가장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도농통합지역의 녹지환경정비모델에 관한 연구 I - 위성데이타를 이용한 천안시 토지이용 변화 - (A Study on the Urban Fringe Landscape Environment Model -The Analysis of Change in Land Uses of Chonan City using Landsat TM Data-)

  • 심우경;이진희;김훈희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7-248
    • /
    • 1998
  • Landcover has been largely influenced by human activities, especially in recent days. The analysis of the change of land use by urbanized development is useful for determining development plan hereafter. This study aimed to the quantitative analysis about the urban sprawl within 12 years from 1985 to 1996, at Chonan, and for extracting the characteristics of change. For this purpose, this study performed land cover classifications using Landsat TM data . A hybrid classification method was used to classify satellite images into seven types of land cover. Road network digitied from 1:25,000 topographic map was rasterized and overlaid on the landcover map. A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area of forest and paddy decreased due to urban sprawl. Especially from 1993 to 1996, the change of land use progressed rapidly because of merging a city and a country in Chonan. The size of patch in forest had been smaller and irregular form. It is a general progress that size of patch in forest had been smaller and irregular form. It is a general progress that the forest have changed the paddy and bare land paddy and bare land have changed low-density urban or high-density urban. This explained how urbanized Chonan was and applied the suggeston of plan in landuse with the result of this study.

  • PDF

토지피복분류에 있어서 이미지재배열의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Image Resampling in Land Cover Classification)

  • 양인태;김연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81-192
    • /
    • 1993
  • 영상은 어떤 현상이나 대상물의 종류와 현상조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화소값으로 구성되며, 화소값은 전처리 과정인 기하보정으로 변화된다. 이러한 화소값의 변화는 토지피복 분류 결과에 영향을 미친다. 본 논문에서는 기하보정으로 재구성된 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 분류를 함으로서 재배열의 영향을 알고자 한다. 연구대상 지역은 북한강 수계 중에서 가장 다양한 피복형태를 가지고 있는 춘천시를 중심으로 하는 춘천유역을 선정하였고, 전처리과정에서 재배열된 RESTEC 데이타가 이용되었다. 토지피복 분류는 최대우도법을 사용하여 LEVEL I 수준인 여섯개의 분류항목으로 분류되었다. 본 연구에서 두 가지 방법으로 재배열된 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 분류를 실시하였다. 각각의 분류항목을 지형도와 비교한 결과 Bilinear Interpolation법이 나지(BARE-LAND)를 제외한 다섯개의 분류항목에서 정확도가 좋았다. 결론적으로 기하보정의 영상 재배열은 어떤 분류항목에 중점을 두고 분류를 행하느냐에 따라서 재배열 방법을 선택해야 하며 논과 밭의 경우와 같은 분류항목간의 혼돈은 사계절 영상을 이용하면 더욱 더 정확하게 분류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Modeling of LULC Dynamics in Bekasi District-Indonesia by Linking NDVI Measurement and Socio-Economic Indicators

  • Mustafa, Adi Junjunan;Tateishi, Ryutaro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516-518
    • /
    • 2003
  • This study discusses an effort to build a model to link normalized difference vegetation indices (NDVI) and socio-economic indicators derived from village survey (1990, 1993, 1996, and 2000) statistical data in Bekasi, West Java, Indonesia. Socio-economics indicators of sub-district level, in this study the number of agricultural households (AH), are aggregated from village level data. NDVI from Landsat-TM resolution data (1989 and 1997) are computed to detect land use/land cover (LULC) dynamics in the sub-district areas. Attention is mainly paid on the examination of agricultural land cover changing in the sub-district level. NDVI measurements might be used to predict AH dynamics as showed by computed linear regression models.

  • PDF

지표피복변화 연구에서 최적의 공간스케일의 문제 : 가나 북부지역의 사바나 지역을 사례로 (Optimal Spatial Scale for Land Use Change Modelling : A Case Study in a Savanna Landscape in Northern Ghana)

  • 닉반드기슨;폴플렉;박수진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221-241
    • /
    • 2005
  • 토지이용 및 지표피복변화 (Land Use and land Cover Changes, LUCC)는 지구환경변화의 원인으로 중요한 연구대상이 되고 있다. LUCC는 복잡한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상호작용속에서 다양한 시$\cdot$공간적 스케일에서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LUCC를 모델화하기 위해서는 LUCC를 야기시키는 원인(driving forces)과 제한요인(constraints)들의 시$\cdot$공간적인 다양성을 이해하는 작업이 선행되어야 한다. 특히, 특정 지역에서 나타나는 LUCC의 동인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스케일에 따른 그 특성의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급선무이다. 이 연구는 가나(Ghana) 북부지역의 사바나 지역을 대상으로 지난 15년간 나타난 지표피복변화의 공간적인 다양성을 파악한 뒤, 공간적 스케일을 달리하면서 나타나는 LUCC의 원인을 분석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사바나 지역에서 LUCC 과정을 모형화하기 위한 최적의 공간적인 스케일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지역은 지난 15년간 인구증가의 결과로 농업생산활동이 급격하게 증가한 지역이다. 연구지역에서 나타나는 지표피복변화의 정도는 LANDSAT 위성영상에서 추출한 NDVI들을 다변량 통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정량화하였다. 그리고 지표피복변화의 원인을 스케일별로 파악하기 위한 도구로 다축척 계층분석기법(multi-scale hierarchical adaptive model)을 개발$\cdot$제안하였다. 개발된 기법은 지표피복의 변화정도와 원인이 될 수 있는 공간변수들간의 상관성을 공간적인 스케일을 달리하면서 순차적으로 계산해낼 수 있는 기법이다. 이 연구에서 지표피복변화의 원인으로는 '도로에서부터의 거리', 하천으로부터의 거리', '지형특성' 의 세가지 변수를 사용하였다. 지표피복 변화정도와 위의 세가지 변수들간의 상관관계는 공간적인 범위가 10$\times$10km 이하인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 하지만 공간범위가 그 이상이 될 경우에는 그 내부에서 나타나는 다양성으로 인해 통계적인 상관성이 현격하게 낮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지역 및 국가 단위의 환경변화모델에서 모델의 공간적인 구성범위가 일정한 수준을 넘으면, 그 내부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성이 급격하게 증가하여 지표피복변화의 원인과 결과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들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10$\times$10km의 공간적인 범위는 농업생산이 위주가 되는 사바나 지역에서는 주로 개별 마을이 차지하고 있는 공간적인 범위와 대체적으로 일치한다. 따라서 사바나 지역에서 나타나는 지표피복변화의 다양성을 고려하면서 보다 정확하게 모형화하기 위해서는 마을단위에서 나타나는 지표피복변화과정이 최소의 모델단위가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Spatial and temporal dynamic of land-cover/land-use and carbon stocks in Eastern Cameroon: a case study of the teaching and research forest of the University of Dschang

  • Temgoua, Lucie Felicite;Solefack, Marie Caroline Momo;Voufo, Vianny Nguimdo;Belibi, Chretien Tagne;Tanougong, Armand
    • Forest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4권4호
    • /
    • pp.181-191
    • /
    • 201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teaching and research forest of the University of Dschang in Belabo, with the aim of analysing land-cover and land-use changes as well as carbon stocks dynamic. The databases used are composed of three Landsat satellite images (5TM of 1984, 7ETM + of 2000 and 8OLI of 2016), enhanced by field missions. Satellite images were processed using ENVI and ArcGIS software. Interview, focus group discussion methods and participatory mapping were used to identify the activities carried out by the local population. An inventory design consisting of four transects was used to measure dendrometric parameters and to identify land-use types. An estimation of carbon stocks in aboveground and underground woody biomass was made using allometric models based on non-destructive method. Dynamic of land-cover showed that the average annual rate of deforestation is 0.48%. The main activities at the base of this change are agriculture, house built-up and logging. Seven types of land-use were identified; adult secondary forests (64.10%), young secondary forests (7.54%), wetlands (7.39%), fallows (3.63%), savannahs (9.59%), cocoa farms (4.28%) and mixed crop farms (3.47%). Adult secondary forests had the highest amount of carbon ($250.75\;t\;C\;ha^{-1}$). This value has decreased by more than 60% for mixed crop farms ($94.67\;t\;C\;ha^{-1}$), showing the impact of agricultural activities on both forest cover and carbon stocks. Agroforestry systems that allow conservation and introduction of woody species should be encouraged as part of a participatory management strategy of this fo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