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and cover

검색결과 1,415건 처리시간 0.032초

초분광영상의 분광라이브러리를 이용한 토지피복분류의 정확도 향상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Improving Accuracy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Spectral Library of Hyperspectral Image)

  • 박정서;서진재;고제웅;조기성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46권2호
    • /
    • pp.239-251
    • /
    • 2016
  • 밴드 수가 많고 밴드 폭이 좁은 초분광영상은 기존의 다중 분광 영상에 비해 각 픽셀이 함유하고 있는 정보가 많아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분류를 하는데 있어 최적의 영상으로 평가 받고 있다. 하지만 초분광영상의 높은 분광해상도로 부터 증가된 데이터의 용량과 노이즈로 인해 다중분광영상을 분석하는 기법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효용성이 떨어진다. 초분광영상의 분석 기법으로서 벡터의 내적을 활용하는 SAM(Spectral Angle Mapping)은 연속적인 스펙트럼을 보이는 초분광영상의 특성을 해석하는데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분광라이브러리를 이용한 초분광영상의 토지피복분류를 수행하기 위해 SAM기법을 채택하였으나 대기영향의 노이즈로 인해 낮은 정확도를 보였다. 이를 보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Decision Tree 기법을 제안하였고 그 결과, 분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Regional land cover patterns, changes and potential relationships with scaled quail (Callipepla squamata) abundance

  • Rho, Paikho;Wu, X. Ben;Smeins, Fred E.;Silvy, Nova J.;Peterson, Markus J.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8권2호
    • /
    • pp.185-193
    • /
    • 2015
  • A dramatic decline in the abundance of the scaled quail (Callipepla squamata) has been observed across most of its geographic range. In order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land cover patterns and their changes on scaled quail abundance, we examined landscape patterns and their changes from the 1970s to the1990s in two large ecoregions with contrasting population trends: (1) the Rolling Plains ecoregion with a significantly decreased scaled quail population and (2) the South Texas Plains ecoregion with a relatively stable scaled quail population. The National Land Cover Database (NLCD) and the U.S. Geological Survey's (USGS) Land Use/Land Cover data were used to quantify landscape patterns and their changes based on 80 randomly located $20{\times}20km^2$ windows in each of the ecoregions. We found that landscapes in the Rolling Plains and the South Texas Plains were considerably different in composition and spatial characteristics related to scaled quail habitats. The landscapes in the South Texas Plains had significantly more shrubland and less grassland-herbaceous rangeland; and except for shrublands, they were more fragmented, with greater interspersion among land cover classes.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landscape metrics and the quail-abundance-survey data showed that shrublands appeared to be more important for scaled quail in the South Texas Plains, while grassland-herbaceous rangelands and pasture-croplands were essential to scaled quail habitats in the Rolling Plains. The decrease in the amount of grassland-herbaceous rangeland and spatial aggregation of pasture-croplands has likely contributed to the population decline of scaled quails in the Rolling Plains ecoregion.

선분류 후비교법을 이용한 간석지의 토지피복 변화 및 패턴 분석 - 태안반도 지역을 사례로 - (The Land-cover Changes and Pattern Analysis in the Tidal Flats Using Post-classification Comparison Method: The Case of Taean Peninsula Region)

  • 장동호;김찬수;박지훈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275-292
    • /
    • 2010
  • 이 연구는 위성영상 자료(1972~2008년)를 이용하여 인위적인 환경변화에 따른 태안반도 간석지의 토지피복 변화를 시계열분석하고, 그 변화 패턴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선분류 후비교법을 이용한 시기별 토지피복 변화를 분석한 결과, 1972년에서 2008년 사이에 태안반도 간석지의 토지피복은 갯벌에서 습지, 습지에서 논으로의 변화가 발생하였다. 세부적인 토지피복 변화 패턴을 분석하기 위해 변형된 선분류 후비교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영상을 분석한 결과 태안반도 간석지는 갯벌 $\rightarrow$ 습지 호수 및 염전 $\rightarrow$ 나대지 $\rightarrow$$\rightarrow$ 나대지로 변하였음을 분석할 수 있었다. 선분류 후비교법의 적용을 위해서는 각 영상의 정확한 분류가 반드시 요구되는데, 분류된 영상의 전체정확도는 평균 95.33%로 나타났고, 카파값은 평균 0.941로 나타났다.

환경영향평가에서의 대기질 확산모델 적용방법 개선 연구(I) - AERMOD 기상 전처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Improvement of Air Quality Dispersion Model Application Method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I) - Focusing on AERMOD Meteorological Preprocessor -)

  • 김수향;박선환;탁종석;하종식;주현수;이내현
    • 환경영향평가
    • /
    • 제31권5호
    • /
    • pp.271-285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AERMOD 기상 전처리 프로그램인 AERMET에 대표적 지표기상 형식인 CD-144와 ISHD를 적용하여 처리 결과를 비교하고, 환경부 토지피복도를 고려하여 대기확산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knot 단위를 사용하는 CD-144 형식의 경우 단위 변환 오차로 인해 실제 풍속을 고려하지 못하였으나 ISHD 형식은 그대로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점오염원 1시간 최대 농도값은 ISHD가 CD-144에 비해 높았으며, 그 외에는 동일하거나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토지피복도를 반영한 농도값은 토지피복도를 고려하지 않은 경우보다 최대 387% 증가하였으며, 등농도곡선 형태(곡선의 방향 및 길이)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영향평가 및 통합환경허가에서의 모델 사용은 동일한 조건에서의 통일된 판단을 요구하므로 AERMET 사용시 ISHD 형식의 사용과 함께 모델링 지역의 토지피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IKONOS 영상을 이용한 DEM 추출의 정확도 향상을 위한 토지피복도 활용 정합기법 (Matching Techniques with Land Cover Image for Improving Accuracy of DEM Generation from IKONOS Imagery)

  • 이효성;박병욱;한동엽;안기원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9권1D호
    • /
    • pp.153-160
    • /
    • 2009
  • 고해상도 위성영상을 이용한 DEM 자동제작과 관련한 기존연구에 따르면, 토지피복 특성별로 DEM 정확도가 다르게 나타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토지피복 분류영상을 이용하여 IKONOS Geo레벨 입체영상에서 상관계수 정합을 위한 토지피복 특성별 기준영역 크기 자동선택 방법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기준영역이 큰 지역의 경우, 정합시간 단 축을 위해 기준영역과 검색영역내의 일정간격 화소들만 참여하여 상관계수를 계산하게 하였다. 그 결과, 고정된 기준영역으로 정합한 DEM보다 제안방법으로 구한 DEM의 정확도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실험 대상지 중 경작지에서는 제안방법에 의한 DEM 결과가 수치지도와 ERDAS에 의한 DEM의 결과보다는 오히려 우수한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고해상도 중적외선 영상자료의 주야간 지표면 식별 특성 평가 (Evaluating the Land Surface Characterization of High-Resolution Middle-Infrared Data for Day and Night Time)

  • 백승균;장동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13-125
    • /
    • 2012
  • 다목적실용위성 3A호에 탑재되는 고해상도의 중적외선 영상자료에 대한 지표면 식별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고해상도 중적외선 영상 획득이 가능한 AHS(Airborne Hyperspectral Scanner) 자료를 사용하여 중적외선 영상 자료의 지표면 온도 산출 가능성과 토지피복도 분류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먼저 AHS 열적외선 자료로 작성한 지표면 온도 영상과 AHS 중적외선 각 밴드의 화소값을 비교한 결과 주간과 야간 모두 밴드 68(중심파장 $4.64{\mu}m$)의 결정계수가 0.74이상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AHS 중적외선 밴드를 이용하여 토지피복도를 작성한 결과 주간의 경우 지붕, 도로, 초지, 식생, 수역 등이 구분 가능했지만 야간의 경우 초지와 식생, 도로와 수역, 지붕과 도로 등 일부 클래스들이 서로 중복되어 나타났다. AHS 중적외선 밴드의 지표면 식별 능력의 향상 가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주간과 야간자료의 편차 영상을 구하여 토지피복도를 작성한 결과 Zone 1과 Zone 2의 소지역별 분류정확도가 각각 67.5%, 64.3%로서, 주간 또는 야간 중적외선 밴드로 작성된 토지피복도에 비해 10% 이상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고해상도 중적외선 밴드 영상자료는 지표면온도 산출시 지표 피복 특성을 고려한 알고리즘 개발이 요구되며, 지표면 식별 능력은 주간에 비해 야간이 낮으므로 주간과 야간의 편차 영상을 이용할 경우 지표면 식별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Landsat 위성영상을 이용한 도시확장 및 지표온도 변화 탐지 (Detection of Urban Expansion and Surface Temperature Change using Landsat Satellite Imagery)

  • 송영선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9-65
    • /
    • 2005
  • 효율적인 국토관리를 위해서 과거로부터의 토지피복/토지이용 변화를 탐지하고 미래의 도시계획에 반영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시계열 Landsat 영상을 이용하여 토지피복/토지이용 분류를 수행함으로써 도시변화를 분석하고 도시화에 따른 지표온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해상도 30m의 Landsat 영상에서 도시변화 후보지역을 추출하고 자세한 변화 상황을 고찰하기 위해 고해상도 항공사진을 함께 사용하는 계층적 변화탐지기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도시의 발달과 지표온도의 상관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Landsat 영상의 열적외선 파장영역을 이용하여 온도를 계산하여 실제기온과 비교하고 토지피복별 지표온도를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도심지의 팽창을 수치적으로 확인 할 수 있었고 도시화로 인한 온도 상승을 탐지할 수 있었다.

  • PDF

A STUDY ON IDENTIFICATION OF URBAN CHARACTERISTIC USING SPATIAL ARRANGEMENT METHOD

  • Chou, Tien-Yin;Kuo, Ching-Y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984-987
    • /
    • 2003
  • In order to rapidly catch up urban region’s detailed land-use or land-cover information; this research used the post-classification algorithm (Spatial Reclassification Kernel: SPARK) to create a land-use map of Taichung City. We discussed the urban land-use classification model with the IKONOS images. The conclusions may be distinguished as follows:(a) Using the Maximum-Likelihood algorithm to classify seven broad land-cover categories. The overall accuracy in this stage achieves 92.72% and Kappa coefficient will be obtained 0.91; and (b) Using the SPARK method to classify images for detect the land-use, the overall accuracy achieves higher 89.64% and Kappa coefficient will be 0.86. To conclude, the research process in this study can fully and carefully describe local land-use pattern and assist the demand of land management and resources planning reference.

  • PDF

LiDAR DEM과 다중시기에 촬영된 Landsat 영상을 이용한 낙동강 유역 내 토지피복 변화 탐지 (Land Cover Change Detection in the Nakdong River Basin Using LiDAR Data and Multi-Temporal Landsat Imagery)

  • 정윤재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35-148
    • /
    • 2015
  • 본 연구는 LiDAR DEM(Digital Elevation Model)과 다중시기에 촬영된 Landsat 영상을 이용하여 4대강 정비사업이 시행되기 이전 및 이후에 낙동강 유역 내 발생한 토지피복 변화를 탐지 및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우선 LiDAR DEM으로부터 추출된 제방경계선을 이용하여 하천유역 폴리곤을 생성하고, 하천유역 폴리곤을 이용하여 다중시기에 촬영된 Landsat-5 TM(Thematic Mapper) 영상과 Landsat-8 OLI(Operational Land Imager) 영상으로부터 4개의 하천유역 영상을 각각 추출하였다. 그리고 영상분류방법을 적용하여 각 하천유역 영상으로부터 하천유역의 주요 토지피복인 하천, 나지, 초지를 각각 분류하였고, 전체 면적에서 각 토지피복이 차지하는 비율을 계산하였다. 다중시기에 촬영된 하천유역 영상으로부터 분류된 각 토지피복의 변화량을 분석한 결과, 4대강 정비사업이 시행되기 이전과 4대강 정비사업이 완공된 이후에는 계절의 변화에 의해 나지와 초지의 면적은 큰 폭으로 변화하였으나, 하천의 면적은 큰 변화가 없었다. 반면에 4대강 정비사업 전후로, 낙동강 유역 내 저수량의 증가로 인해 하천의 면적이 큰 폭으로 증가하였다. 본 논문은 LiDAR DEM과 4대강 정비사업 이전과 이후에 촬영된 위성영상들을 이용하여 4대강 정비사업으로 인해 발생한 하천 유역 내 토지피복 변화를 탐지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를 위한 생태계 유형분류 방안 검토 - 국내 토지피복분류 적용성을 중심으로 - (A Study on Categorizing Ecosystem Groups for Climate Change Risk Assessment - Focused on Applicability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

  • 여인애;배해진;홍승범
    • 환경영향평가
    • /
    • 제26권6호
    • /
    • pp.385-403
    • /
    • 2017
  • 본 연구는 국내 생태분야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의 공간적 기준이 될 수 있는 생태계 유형분류방안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생태분야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와 적응대책의 특징, 국내외 리스크 평가에서 적용하는 생태계/서식지 유형분류 현황 및 관련 데이터를 조사하였다. 영국을 비롯하여 유럽 등지에서 일반적으로 생물종다양성 및 생태계서비스 평가를 위한 공간정보DB로 토지피복분류가 널리 활용되고 있음에 착안하여, 국내 토지피복분류의 적용성을 정량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결과, 기후변화 리스크 평가 및 적응대책 수립을 위한 생태계 유형분류 시 현재 국내 대분류 토지피복 체계만으로는 분류군별 서식 경향성을 거의 알 수 없기에 대분류를 그대로 적용하는 것은 한계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우리나라 국토 피복 전반을 차지하는 산림 생태계(62.3%) 및 농경지 생태계(25.0%) 유형의 세분화와 함께, 국토대비 면적은 작지만 다양한 분류군이 서식하는 습지생태계(2.9%), 특수 분류군이 서식하는 연안(0.4%) 및 해양생태계(0.6%), 도시생태계(6.1%)에 대한 분류가 고려되어야 한다. 추후 산림, 농경지 피복분류에 있어 중분류 체계 이하의 세분화가 필요하며, 국토 대비 면적에 비해 분류군의 서식지 선호비율이 높은 내륙습지, 해양/해안 서식지, 도시와 자연생태계의 전이지역 등에 대한 반영 역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