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 aquaculture tank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22초

남조류, Mastigocoleus sp.에 의한 한국산 참전보의 패각 괴사증 (Shell Necrosis of Haliotis discus hannai by Mastigocoleus sp. (Cyanophyta) in Korea)

  • 최상덕;윤장택;조용철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465-474
    • /
    • 1998
  • 참전복(Haliotis discus hannai) 양성과정중 치패단계에서 발생된 패각 괴사증의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괴사된 전복패각에서 간균 형태(rod type)와 이질세포를 갖는 남조류가 관찰되었다. 그러나 주사전자현미경(SEM)의 자료에 근거하면 패각과 사증의 원인생물은 천공성 남조류, Mastigocoleus sp.로 나타났다. 천공성 남조류에 감염된 전복의 패각은 녹색에서 회백색으로 탈색되었고, 4~6번째 호흡공은 부서지기 쉬운 상태가 되었다. 양성 60일 후, 패각 괴사증은 갈색의 작은 집락이 산재되어있는 호흡공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양성 후 3년까지 지속되었다. 이러한 패각 괴사증은 바다 채롱식 양식장에서 보다는 육상 수조식 양식장에서 주로 발생하였으며, 참전복의 성장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 결과 3년산 참전복의 각장이 16mm였다.

  • PDF

육상양식장용 자동 먹이 공급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feeding system in an inland aquafarm)

  • 오진석;조관준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7-82
    • /
    • 2010
  • 오늘날 해안의 인구 증가와 산업화로 인하여 해안의 수질오염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생태계가 파괴됨으로써 수산물 양식업에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상 양식장이 육상 양식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본 논문은 육상 양식장에서의 자동 먹이 공급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현재의 자동 먹이 공급 장치는 먹이양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먹이 공급 모터에 의해 먹이가 부서지는 단점을 지닌다. 그러나 제안하는 시스템은 현재의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로드 셀과 밸브의 조합을 사용하여 제어함으로써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먹이를 공급할 수 있으며, 먹이를 육상 양식 수조에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다. 실제 시스템을 통한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모든 상황에서 육상 양식장 수조에 먹이를 공급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

남해 양식산 넙치(Paralichthys olivaceus) 치어에 기생한 스쿠티카 섬모충(scuticociliatids) 동태 및 구제에 관하여 (Study on distribution and extermination of scuticociliatids parasitizing to japanese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in southern Korea)

  • 최상덕;김진만;김성연;조용철;최광규;양한춘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21-29
    • /
    • 1997
  • 1997년 1~2월 사이 저수온기에 남해안 일대의 육상수조식 넙치종묘배양장에서 원생충 스쿠티카 섬모충을 분리하여 이들의 감염률 및 in vitro내 사멸실험을 하였다. 스쿠티카 섬모충은 넙치의 아가미와 체표 점액질 부분에서 60%로 가장 높게 감염되었고, 뇌조직에서는 22%로 가장 적게 감염되었다. 기생된 부위는 출혈과 함께 점액이 다량 분비되었고, 궤양도 형성되었다. 넙치 종묘배양장의 사육 원수, 상층수, 저층수에 있어서 스쿠티카 섬모충의 검출량은 각각 0~1, 0~413, $7\sim7.3{\times}10^4$ 마리/$100m{\ell}$이었다. 사육수조내 저층수의 스쿠티카 섬모충이 사육 원수 및 상층수보다 훨씬 많이 검출되었다. 이 기생충의 사멸된 농도와 시간은 포르말린 및 과산화수소 50~500 ppm에서는 2시간 이내에 모두 사멸되었으며, 10 ppm에서는 48시간만에 전멸되었다. 담수 10~70%에서는 48시간 이내에 전혀 사멸되지 않았으며, 담수 100%에서는 10분만에 완전 사멸되었다. 그리고 천연물질 울리고키토산 50~500ppm에서는 1시간 이내에 모두 사멸되었으며, 10 ppm에서는 80분이내에 사멸되었다.

  • PDF

양식 넙치에서 분리한 Staphylococcus epidermidis의 생물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 (The B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taphylococcus epidermidis Isolated from Diseased Cultured Flounder, Paralichthys olivaceus)

  • 심두생;정승희;박형숙;전세규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7권1호
    • /
    • pp.23-36
    • /
    • 1994
  • 최근 7월부터 9월사이 고수온기에 경남일대의 육상수조식 넙치양식장에서 8균주의 Staphylococcus epidermidis를 분리하여 이들의 생물학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분리균주는 BHIA, HIA, Staphylococcus No. 110 및 ETGP에서 잘 발육하였으며, 식염농도 2.0~3.0%, $30^{\circ}C$ 전후 그리고 pH는 7.0 전후에서 발육상태가 좋았다. 또한 DNase, coagulase에는 전 균주가 음성이었으며, 용혈성은 FSJ-2균주만이 약한 음성을 나타내었고, ureas 양성, novobiocin 저항성에는 음성을 나타내었다. 탄수화물의 분해능에서 전 균주는 가스를 생산하지 않았고 혐기적 조건하에서 포도당과 maltose를 분해하였으며 mannitol은 FSJ-19균주만이 약하게 분해한 것을 제외하고는 전 균주가 음성이었다. 호기적 조건하에서 전 균주는 포도당, fructose, galactose, sucrose, maltose 및 dextrin을 분해하였다. 분리균주의 임상적인 주요 특성에서 8개의 균주는 4가지의 다른 biotype code를 나타내었으며, 약제 감수성 그룹에서도 4가지의 다른 패턴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는 Bergey's manual of systematic bacteriology에 기재된 S. epidermidis의 coagulase, urease, DNase, $\beta$-galactosidase, novobiocin 저항성 및 포도당의 혐기적 분해성과 잘 일치하였고, 또한 Mickelsen et al.(1985)이 기재한 biotype과 약재 감수성 패턴이 잘 일치하여 본 분리균을 S. epidermidis로 동정하였다.

  • PDF

황복 Takifugu obscurus의 성장, 꼬리지느러미 형태, 체조성과 체색에 미치는 조도의 영향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Growth, Caudal Fin Shape, Body Composition and Skin Color of River Puffer, Takifugu obscurus)

  • 강희웅;강덕영;조기채;이진호;박광재;임치원;김규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5-192
    • /
    • 2007
  • 본 연구는 육상양식장에서 황복의 조도별 사육실험을 통해 성장, 꼬리지느러미 정상도, 체성분, 체색, 혈액분석 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조도 0, 500, 1,000, 2,000 lx에서 60일간 사육한 결과, SGR은 0 lx와 2,000 lx구에서 높았으며, FR은 2,000 lx구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FC는 0 lx구에서 다른 실험구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으며, 최종 생존율은 전 실험구에서 $92.5{\pm}5.0{\sim}97.5{\pm}2.5%$로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꼬리지느러미 정상도는 0, 500 lx구에서 59.0~63.6%로 저조도에서 양호하였다. 체성분 조성에 있어서는 조도별로 수분과 조단백질이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체색은 0 lx구에서 L과 a 값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혈액분석 결과, 조도가 높아짐에 따라 혈장내 AST, ALT, GLU 농도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육상양식장에서 황복의 상품성과 스트레스 안정면에서는 고조도보다는 0 lx 전후의 저조도가 적당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