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 Use Demand

검색결과 270건 처리시간 0.022초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적지분석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이용 - 구미시를 중심으로 -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Analyzing Land Use Suitability in a Urban Area - A Case Study of Kumi City -)

  • 이진덕;이현화;김성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9-38
    • /
    • 2001
  • 본 연구는 도시계획의 중요한 의사결정 중의 하나로서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적지분석에 지리정보시스템의 접목을 시도한 것이다. 도 농 통합 이전의 구미시 지역을 대상지역으로 하여 관련 환경인자들과 가중치 등의 분석기준을 결정하고,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위성영상처리를 통하여 추출한 토지이용/피복도와 NDVI 식생도를 데이터베이스에 포함시켰다. 중첩법을 이용하여 주거, 상업, 공업, 녹지지역의 토지용도별 적지를 등급별로 도출하였다. 연구지역의 4가지 기능공간에 대한 적지분석 결과는 기존 토지이용 및 도시기본계획상 토지이용구상도와 비교되었다. 더 나은 분석을 위해서는 실제적인 개발계획, 지가자료, 토양자료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토지 이용별 수요추정 자료를 추가한다면 토지이용별 입지 배분 및 분포면적의 신뢰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공간계획을 위한 토지이용정보 수요 조사 (A Survey on the Demands of Land Use Information for Spatial Planning)

  • 이주일;최창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6권8호
    • /
    • pp.105-113
    • /
    • 2006
  • 합리적인 공간계획을 위해서는 토지이용의 동태적 변화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들의 체계적인 구축 및 활용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공간계획 전문가들이 요구하는 토지이용정보의 종류와 그 갱신주기를 확인하고자 이루어졌다. 문헌조사를 통해 토지이용정보 구축의 필요성을 정리하고, 국내외의 토지이용정보 구축사례 분석을 통해 국내 토지이용정보 구축의 문제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설문조사를 통하여 공간계획 전문가들이 겪고 있는 토지이용정보의 부족현상을 명확히 하고, 필요한 정보의 항목과 그 구축주기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조사를 통하여 토지이용정보의 세부항목별로 그 수요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정보들이 필지나 행정동 단위로 1년 정도의 주기로 갱신되기를 원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는 지자체가 구축하고 있는 전산정보를 제공하는 기준을 제공할 수 있으며, 향후 추가로 필요로 한 토지이용 공간 정보 단위에 대한 이해를 증대시킬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PDF

도시철도역 출입구 유출입 이용자 추정 모형 수립 (Establishment Model of Entrance and Exit User of Urban Railway Station)

  • 김황배;이상화;배춘봉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9권1호
    • /
    • pp.81-91
    • /
    • 2019
  • 도시철도역사 이용자는 철도역 주변의 토지이용계획에 많은 영향을 받으나, 우리나라는 이와 관련된 연구는 미진한 상태로 토지이용계획에 상관없이 일률적으로 출입구 너비를 산정하여 일부 출입구에서는 대기행렬이 발생 하거나 이용자가 거의 없는 등 편차를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철도역 출입구별 이용수요 추정 모형을 정립하고자 하며, 이를 위해 도시철도역 20개소를 대상으로 출입구별 이용수요, 토지이용면적, 사회경제지표 등을 철도역 중심으로 200 m, 500 m로 조사하여 다중회귀모형을 정립하였다. 모형의 종속변수(반응변수)를 1일, 첨두 1시간, 첨두 시간대 5분 동안의 철도역 방향별 유출입 이용수요로 설정하고, 철도역 반경 500 m, 200 m 범위의 토지용도(주거, 상업 업무, 공업, 교육, 공원) 면적과 사회경제지표(인구, 고용자, 종사자, 학생)를 독립변수(설명변수)로 설정하였다. 그 결과 도시철도 중심 반경 500 m 내 토지용도별 이용면적을 독립변수, 철도역 1일 유출입 이용수요를 종속변수로 사용하는 것이 모형의 적합도가 통계적으로 더 유의한 것으로 분석 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철도역의 이용자 및 교통약자의 이동 편의성 개선을 위해 도시철도 출입구 적정 규모 산정을 위한 기초 연구로 추후 교통약자 이용자 수를 반영하여 출입구별 이용자 수 추정, 교통약자 편의시설 적정 규모 산정 시 활용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시 소방구급차(消防救急車)서비스 수요(需要) 결정요인(決定要因) (Determinants of the Demand for Public Ambulance Calls in a Metropolitan Area)

  • 백홍석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29-135
    • /
    • 2008
  • Purpose :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demand for emergency ambulance service and to characteriz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mand. Method : The basis for the model was from the actual demand for public emergency ambulance and socioeconomic and geographic characteristics.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were done for the related characteristics of public ambulance service. Result : The model explained total demand with a high degree of accuracy :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R^2=0.96$). For the regression, the set of variables indicative of low socioeconomic status were all significant. It showed the inappropriate use of public ambulance system. Public ambulance demand increased in higher housing density, low income, male unemployment and female labor force. Conclusion : The demand for public ambulances appeared to be highly predictable, using a simple linear model employing socioeconomic variables, quality of service variables, and land use variables. Low-income families tended, to use the public ambulance system more often than higher income. Area having elderly people or children also made many calls. Estimated demand calls were stable and had a tendency to be similar incident types.

  • PDF

부산시 지역구조변화와 교통수요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rrelativity of the Regional Structure Change and Traffic Demand in Pusan)

  • 오윤표;이원규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7-44
    • /
    • 199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regional structure of Pusan based on socio-economic phenomena in 1979 and 1991, and to analyze correlations between the regional structure change and traffic demend. To formalize the land-use by each zone,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were performed by using 15 socio-sconomic variabl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ve land-use factors(i.e., official, residential, commercial, manufactural, and other functions) in 1979 and four factors(i. e., residential, 3rd industrial, manufactural, and other functions) in 1991 were extracted as main regional structure components. It was proved that there is strong correlations between the regional structure change and traffic demand by using Quantification Theory II and also by testing correlation coefficient.

  • PDF

버스운행관리 및 수송전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us Operation Management and Transport Strategy)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323-332
    • /
    • 1999
  • The bus should supply an equal service to the whole community as feeder trip. However the existing bus route can not supply an effective feeder service in spite of the changes in the latent demand by the variety of regional structural change. This study aimed to establish the concept which frames the bus operation and management to cope with the latent demand to the bus. This study tackled this evidence by analyzing the transportation problems in terms of the urban growth emphasizing the following issues ; First, the strategy to improve the bus operation Second the land use control appropriate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Third economical range to justify the bus operation Second, the land use control appropriate for the public transportation network Third, economical range to justify the bus operation Fourth, the allowance for the private transportation mode On the latter part, the difference on the bus operation was compared to determine the range within which the bus operation could be justified. This study would provide some implications to improve the management for bus operation and fundamental information to develop the bus operation system.

  • PDF

제주도 권역별 농업용수 수요량 산정에 대한 고찰 (Estimation of Regional Agricultural Water Demand over the Jeju Island)

  • 최광준;송성호;김진성;임찬우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39-649
    • /
    • 2013
  • Over 96.2% of the agricultural water in Jeju Island is obtained from groundwater and there are quite distinct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water demand/supply spatially because of regional and seasonal differences in cropping system and rainfall amount. Land use for cultivating crops is expected to decrease 7.4% (4,215 ha) in 2020 compared to 2010, while market garden including various vegetable crop types having high water demand is increasing over the Island, especially western area having lower rainfall amount compared to southern area. On the other hand, land use for fruit including citrus and mandarin having low water demand is widely distributed over southern and northern part having higher rainfall amount. The agricultural water demand of $1,214{\times}10^3\;m^3/day$ in 2020 is estimated about 1.39 times compared to groundwater supply capacity of $874{\times}10^3\;m^3/day$ in 2010 with 42.4% of eastern, 103.1% of western, 61.9% of southern, and 77.0% of northern region. Moreover, net secured amount of agricultural groundwater would be expected to be much smaller due to regional disparity of water demand/supply, the lack of linkage system between the agricultural water supply facilities, and high percentage of private well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nsure the total net secured amount of agricultural groundwater to overcome the expected regional discrepancy of water demand and supply by establishing policy alternative of regional water supply plan over the Island, including linkage system between wells, water tank enlargement, private wells maintenance and public wells development, and continuous enlargement of rainwater utilization facilities.

농업공간조직에서 시장의 영향 (The Influence of Market in Agricultural Spatial Organization)

  • 이상율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1-162
    • /
    • 1997
  • 본 연구는 전통적인 농업입지론에 기초한 생산지향 모델에서 시장원리를 고려하여 토지이용에서 변화와 농작물 가격의 변화를 고찰하기 위한 이론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균형모델은 생산비용, 운송률, 수요의 측면에서 생산지향모델과 비교된다. 시장(도시)의 규모가 농업토지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시나리오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제시된 균형모델이 농업에서 불확실성이란 요소를 그 모델에서 어떻게 수용하는가를 제시하였다.

  • PDF

농지-임야 유역의 비점원 발생 BOD 부하의 추정 (Estimation of BOD Loading of Diffuse Pollution from Agricultural-Forestry Watersheds)

  • 김건하;권세혁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617-623
    • /
    • 2005
  • Forestry and agricultural land uses constitute 85% of Korea and these land uses are typically mixed in many watersheds. Biological Oxygen Demand (BOD) concentration is a primary factor for managing water qualities of the water resources in Korea. BOD loadings from diffuse sources, however, not well monitored yet. This study aims to assess BOD loadings from diffuse sources and their affecting factors to conserve quality of water resources.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of BOD was calculated based on the monitoring data of forty rainfall events at four agricultural-forestry watersheds. Exceedence cumulative probability of BOD EMCs were plotted to show agricultural activities in a watershed impacts on the magnitude of EMCs. Prediction equation for each rainfall event was proposed to estimate BOD EMCs: $EMC_{BOD}(mg/L)=EXP(0.413+0.0000001157{\times}$(discharged runoff volume in $m^3$)+0.018${\times}$(ratio of agricultural land use to total watershed area).

토지이용 특성을 반영한 통행발생모형 추정 연구 (Developing Trip Generation Models Considering Land Use Characteristics)

  • 송재인;나승원;추상호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26-139
    • /
    • 2011
  • 4단계 교통수요 추정법은 순차성에 의해 선행단계의 추정결과에 근거하여 모형을 수립한다. 그러므로 전 단계에서 정확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다음 단계에서의 정확한 분석 결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특히 통행발생은 4단계모형의 첫번째 단계로 이 단계의 추정결과에 따라 전체 수요예측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존 수도권 통행발생모형은 선형회귀 모형식을 이용하여 서울 및 수도권지역의 통행발생모형을 구축하였으나 다양한 토지이용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4단계 모형에서 발생되는 오차를 크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 통행발생모형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토지이용 특성을 반영한 통행발생모형을 구축하고자 한다. 모형 개선을 위해 존의 사회경제지표 및 토지이용을 변수로 사용하였고, 검증을 위해 기존모형식과 RMSE%값을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존모형은 주거 특성이 강한지역의 추정에서는 오차범위가 적으나, 2 3차 산업비중이 높은 지역에서는 설명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각 목적별 모형이 전반적으로 기존모형보다 오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사회경제지표 및 토지이용변수를 활용하여 각 지역별 모형을 추정한 결과가 기존 연구보다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