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 Price

검색결과 481건 처리시간 0.027초

Some Design Approaches for Practical Use of Small Urban Spaces

  • Kim, Do-Kyong;Hong, Hyung-Soon;Suh, Joo-Hwa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International Edition
    • /
    • 제1호
    • /
    • pp.192-201
    • /
    • 2001
  • Today, the availabity of usable pieces of land in urbanized areas is very limited. Specifically, it is very difficult to secure a piece of land to be used as a park for the public, mainly due to the high price of land in cities. However, the City of Seoul has carried out three action plans to secure land deemed for insufficient parks and to vitalize these small piece of land in downtown areas such as following: 1. Ssamzie-park(Korean version of a 'vest pocket park') Development Plan in 1990 through 1991. 2. Modernization Plan for Children's Parks since 1994. 3. Maeul-madang (Korean version of 'community garden')Development Plan since 199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sent some design approaches for practical use of small urban spaces by articulating the concepts of Modernization Plan for Children's Park and Maeul-madang Development Plan of the winning entries and by describing how the concepts were actualized in reality.

  • PDF

Uncertainty Factors affecting Bid Price from Pre-bid Clarification Document of Transport Construction Projects

  • Jang, YeEun;Kim, HaYoung;Yi, June-Seong;Lee, Bum-Sik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9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238-244
    • /
    • 2022
  • Civil projects are associated with many uncertainties because they involve a long duration, many resources, a large area, and many supply chains. Therefore, the price of a civil project is not simply proportional to the quantity and unit price of the item but has a variable value, including uncertainty risk.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nfluence of the uncertainty factors in the pre-bid clarification document on bid price formation during the project bidding phase. To this end, civil projects from the California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Caltrans) were used as research data. This study randomly selected fifty sample data from each of twelve counties from 2008-to 2020: six hundred. The authors observed that each project sample had 0 to n query cases due to uncertainty. Then, this study examined the project uncertainty cases and categorized them into the following four uncertainty factors: 'conflict' (UF1), 'impossibility' (UF2), 'lack' (UF3), and 'missing' (UF4). Under the extracting process, the cases are classified into four uncertainty factors. With the project not containing any uncertainty factors as a control group, the project containing these uncertainty factors was designa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fter comparing the bidder's price, the experimental group's bid price wa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s. This result suggests that uncertainty factors in bid documents induce bidders to set a high bid price as a defense against uncertainty.

  • PDF

공간이웃정보를 고려한 공간회귀분석 (A study on the spatial neighborhood in spatial regression analysis)

  • 김수정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제28권3호
    • /
    • pp.505-513
    • /
    • 2017
  • 최근, 더욱 상세하고 정확한 추정 결과를 위해 소지역추정(small area estimation; SAE)의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그 중 공간회귀모형 (spatial regression model)을 이용한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공간이웃 (spatial neighbor)의 정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공간이웃을 정의하는 방법으로 도로네 삼각망 (Delaunay triangulation; DT)을 소개하고 k-최근접 (k-nearest neighbor; KNN)과 비교하여 분석한다. 두 가지 공간이웃을 정의하는 방법중에서 어떤 방법으로 이웃을 정의하는 것이 효율적인지 알아보기 위해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고, 지가 (land price)데이터를 이용하여 실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도시지역의 토지이용 적지분석을 위한 지리정보시스템의 이용 - 구미시를 중심으로 - (Utilizing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Analyzing Land Use Suitability in a Urban Area - A Case Study of Kumi City -)

  • 이진덕;이현화;김성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4권4호
    • /
    • pp.29-38
    • /
    • 2001
  • 본 연구는 도시계획의 중요한 의사결정 중의 하나로서 토지이용계획을 위한 적지분석에 지리정보시스템의 접목을 시도한 것이다. 도 농 통합 이전의 구미시 지역을 대상지역으로 하여 관련 환경인자들과 가중치 등의 분석기준을 결정하고, GIS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또한 위성영상처리를 통하여 추출한 토지이용/피복도와 NDVI 식생도를 데이터베이스에 포함시켰다. 중첩법을 이용하여 주거, 상업, 공업, 녹지지역의 토지용도별 적지를 등급별로 도출하였다. 연구지역의 4가지 기능공간에 대한 적지분석 결과는 기존 토지이용 및 도시기본계획상 토지이용구상도와 비교되었다. 더 나은 분석을 위해서는 실제적인 개발계획, 지가자료, 토양자료 등이 포함되어야 하며, 토지 이용별 수요추정 자료를 추가한다면 토지이용별 입지 배분 및 분포면적의 신뢰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 PDF

인구 감소 현상에 따른 목포시 빈집 및 공지의 공간적 분포 전망 (Exploring Spatial Distribution of Empty Houses and Vacant Land Due to Population Decrease in Mokpo)

  • 조영우;최유빈;박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3-47
    • /
    • 2020
  • With population losses and stagnant or depressed economies, the local governments embrace shrinkage and accept having a significantly smaller population. Both the initial and ongoing causes of shrinkage hold dramatic effects on the city and its remaining residents. In this context, vacant land increases as an overabundance of unused infrastructure is demolished and municipalities become burdened with increasing maintenance costs of this land. The result is that vacant land often experiences minimal management relative to social norms and have chance to provide a setting for ecological processes with urban rightsizing strategy. Therefore, urban ecosystems undergo major shifts in structure and function. We need to better understand the possibilities of where and how much of houses and land will be abandoned to assist land planners and policymakers to mitigate conflict between optimal ecological and sociological outcomes. This article, therefore, aims to identify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vacant houses and lands with case study of Mokpo. The study found and verified affecting factors of vacant houses and lands by type through the use of a Maxent model and spatial data that explained housing choice and preference theory. We can predict the vacancies with the spatial variables such as land price, the population ratio over 65, and the distance from security facility. Based on the analysis, the ways of managing housing and land vacanc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and ecological restoration method are discussed.

식량 최대생산을 위한 토양자원 이용 (Utilization of Soil Resources for Maximum Production of Food Grains)

  • 신제성;김이열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1999년도 추계 학술대회지
    • /
    • pp.145-167
    • /
    • 1999
  • Our self-sufficiency of food has become less than $30{\%}$ and our nation is highly dependant on world's grain market for food. which is unstable in long term due to the world population growth faster than food production. Therefore, it is a great possibility that food might become a political weapon by way of its global shortage. its purchasing difficulty in international free trade market. and the resultant price rising. Our maximal capability of food production has become the most outstanding problem in the dimension of future food security. It would be the utmost scheme for maximal production of food to realize the maximal utilization of arable land through the enlargement of sufficient farming land and the conversion of rotation system for the more grain production. Extensional enlargement of arable land can be positively execut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farming land in domestic and abroad countries. The readjustment of arable land and the installation or irrigation and drainage system can enforce the farming basement for maximal utilization of arable land through the improved rotation between paddy and upland. The prevention policy against farming land encroachment should be strictly executed through grain production encouragement on resting or marginal lands and regulation of utilization conversion for the other than food production on high grade farming lands. It is also required urgently to develope high yielding and high quality varieties through advanced genetic technology for the improvement of unit area yield, especially of wheat, corn. and soybean we import in large quantity The maximal utilization of arable land for the highest production of food can be realized through rational rotation system, the most adaptable crop cultivation on the suitable land, and the most optimal fertilization through the GIS analysis of agricultural environment information on the basis of the computerized soil resource data on super detailed soil maps(1:5000) surveyed plot by plot of whole nation.

  • PDF

토지평가 디지털컨텐츠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Digital Contents for Land Estimation)

  • 송은지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47-155
    • /
    • 2003
  • 우리나라 부동산의 예측할 수 없는 매매가로 인해 경제가 혼란스러운 최근에 토지정책의 패러다임 전환론과 더불어 토지평가자료의 객관적 적정성에 대한 문제가 심각하게 논의되고 있다. 특히 공시지가자료가 공신력을 인정받지 못함으로서, 토지보상금이나 개발부담금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지가가 별도의 방법으로 산정 되는 등 공적지가 산정의 일원화를 목적으로 도입된 공시지가제도가 기본기능을 수행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공시지가의 적정성을 위해 가장 중요한 사항은 토지평가 항목이 합리적으로 선정되어야 한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정보의 홍수시대에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신뢰할 수 있는 토지평가자료를 제공해주는 디지털컨텐츠의 개발이 시급한 상황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통계적 기법을 이용하여 실거래지가와 형평성을 유지하도록 하는 토지평가모형 개발의 방법론을 제안하고 실거래지가에 기초한 토지평가 디지털컨텐츠를 개발하기 위하여 용도지역별로 실거래지가에 영향을 미치는 항목을 기존의 부동산 웹사이트의 자료를 이용하여 분석한다.

  • PDF

토지적성평가시스템 DB구축을 위한 오류검증 (Errors Verification for Constructing Database of Land Use Suitability Assessment System)

  • 유환희;김원석;박기연;김성삼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7-187
    • /
    • 2005
  •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은 국토이용관리법과 도시계획법이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로 통합되면서 국토의 이용, 관리, 개발을 위하여 최근 소개되었으며, 토지의 공간 입지적 특성, 활용가능성, 주변 개발 여건 등을 고려하여 토지의 용도를 구분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여 준다.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기 위해 산림청, 환경부, 수자원공사 등과 같은 유관기관의 자료와 LMS자료, 공시지가 등이 사용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진주시의 토지적성평가시스템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과정에서 관련 자료간의 정확도 차이, 자료취득 시기의 불일치, 지적공부 미 수정사항 등 다양한 자료오류를 분류하고 검증함으로서 보다 정확한 토지적성평가체계를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토지비축의 필요성 : 프랑스 토지비축기관을 사례로 (The necessity of land banking for urban regeneration projects : A case of land banking agency in France)

  • 김륜희;김미숙;이성근
    • 토지주택연구
    • /
    • 제9권2호
    • /
    • pp.9-19
    • /
    • 2018
  • 본 논문은 프랑스 토지비축 사례를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해서는 토지비축제도가 개선될 필요가 있고 비축대상 토지의 확대가 가능하다는 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프랑스에는 총 35개의 토지비축 기관이 존재하며 지자체의 필요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들 기관의 주요기능은 토지의 매입, 관리, 분할, 토지정비(오염 제거 등), 토지활용계획 검토 등이다. 1960-70년대는 브라운필드, 유휴지 중심의 토지매입 및 정비가 주로 진행되었으나, 2000년 이후에는 주로 부족한 사회임대주택 공급을 위해 토지비축을 하고 있다. 도시재생사업에서 어떻게 토지를 저가에 공급할 것인가에 대한 방안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것이 토지은행의 활용이다. 이를 위해서는 공공개발용 토지비축에 국한된 「공공토지의 비축에 관한 법률」 등 관련법의 개정이 필요하다. 또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토지를 비축할 수 있도록 법 개정이 된다하더라도 재원의 한계로 전국 도시재생사업 대상지의 토지를 비축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주택도시기금이나 지자체 정비기금을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을 위한 토지 비축 재원의 확보 방안도 모색되어야 한다.

북한산국립공원 계획 타당성검토 구역조정의 개발 영향 (Development Impact Based on Area Adjustment of Feasibility Review in Bukhansan National Park Planning)

  • 조우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305-312
    • /
    • 2021
  • 본 연구는 제2차 국립공원 구역조정 시기(2010년~2011년) 해제지역의 건축물 조성 등 건축 행위, 공시지가 등 사회·환경적 요인의 변화를(2011년→2021년), 같은 기간 존치지역과 비교하여 개발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해제지역은 2011년 이후 약 16,431m2 당 1개소의 건축물이 조성되었다. 그리고 건축물의 층수, 높이 모두 증가하였고 주요용도는 제2종 근린생활시설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개별공시지가의 해제지역 증가율은 42.3%이었고 존치지역은 38.6% 로 두 지역 모두 상승하였다. 시도별 분석 결과 서울은 해제 및 존치지역 전체 공시지가가 평균 55.2% 상승하였고 경기도는 평균 9.4% 상승하여 서울지역의 공시지가 상승폭이 훨씬 컸다. 국립공원내 사유재산권에 대한 문제는 제2차 국립공원 구역 조정에 의해 해제됨으로써 상당부분 해결되었으나 향후 공원관리청은 용도지구 및 시설계획에 대한 조정 등 합리적 대안을 제시함으로써 토지 소유자들의 편익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