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nd Management

검색결과 2,966건 처리시간 0.027초

현행 지목제도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도출에 관한 연구 - 지목의 설정과 변경 사례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Derivation of Improvement Method for the Problems of the Current Land Category System - Focused on Land Category Classification and Conversion Cases -)

  • 최대집;신만중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2권2호
    • /
    • pp.67-80
    • /
    • 2022
  • 본 연구는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온 실제 토지이용현황과 지적공부상 지목 불일치에 대하여 지적소 관청인 시·군·구청의 행정적·관리적 입장에서의 법률적 한계와 토지소유자 등 민원인의 입장에서 지목제도의 현실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적공부를 등록·관리하는 법령에서 토지의 용도에 따라 지목을 어떻게 구분하고 있는지와 토지의 용도와 이용을 제한하는 법률에 대하여 알아보고 이들 법률에 의하여 지적공부상 지목과 현실에서의 사실 지목이 불일치하는 상황이 어떻게 발생하는지 살펴보고, 지목의 통폐합과 세분화를 통한 지목체계 개편방안과 지목제도 운영에 있어서 지목설정 단일화와 지목변경 대상을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토지소유자 등 국민의 재산권행사 제한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법률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무방류시스템 도입에 따른 환경규제효율화 방안 (Reformation of Environmental Regulation through introduction of the Zero Liquid Discharge System)

  • 최지용
    • 환경정책연구
    • /
    • 제2권1호
    • /
    • pp.31-49
    • /
    • 2003
  • It is difficult to examine the causal relation of pollution damages because the time gap between pollution cause and effect is large and new pollutants are continuously being produced. Their many environmental effects are not promptly studied. As both the study of causal relation about pollution and the pollutant treatment are becoming highly advanced by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environmental technology, both the economy and balance on environmental regulation may be discussed. It is reasonable to decide environmental policy in consideration of close relation between both the generation and resolution of environmental problems an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s because environmental problems are related to complicated social problems and scientific technologies. First item in policy decision about environmental control and management is preferentially to consider the way of prevention. It is necessary to prevent pollution by regulating the installment of environmental pollution facility into the environmentally sensitive areas, like water supply source and to regulate land utilization as a method to achieve pollution prevention. Second is a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technology development. This is a solution which can accomplish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technology and the reinforcement of economic competition. Third is the coexistence of environment and econom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economy in connection with environmental problems and environment in economic problem. Then, we can enjoy a healthy life as well as economic affluence. Fourth is the enlargement of environmental management means. Environmental management means must be diversified because environmental cause and effect are varied. For Improving the land use regulation syste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oth land use regulation status and pollutant toxicity with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technology. Land use must be approached by classifying land to 3 levels; water source protection zone and water front zone, special zone 1 and 2, rancus and other zones. Land regulation policy to prevent any accident in water source protection zone, waterfront zone, and special zone must be continuously upgraded. However, economical consideration in other zones is required by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technology.

  • PDF

산림전용에 따른 폐잔목의 임산바이오에너지 잠재적 공급량 분석 (Biomass Energy Potential of Wood Waste due to Forest Land Conversion)

  • 권순덕;손영모;박영규
    • 임산에너지
    • /
    • 제25권2호
    • /
    • pp.16-21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산림전용에 따라 발생되는 폐잔목의 임산바이오에너지 이용 가능량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최근 5년간(2001-2005) 연평균 약 7,806ha의 산림이 타용도로 전용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연평균 $266,551m^3$의 입목이 벌채되었다. 산림전용에 따른 폐잔목의 임산바이오에너지 이용가능량(바이오매스)을 분석한 결과, 지난 5년간 침엽수림의 경우 연평균 약 57,945ton, 활엽수림은 44,379ton으로 나타나, 우리나라에서 전체적으로 연간 102,325ton을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산림전용시 발생하는 단위면적당 이용 가능한 임산바이오에너지량은 매년 증가추세를 보였으며, 지난 5년간 연평균 발생량은 약 13.0ton/ha으로 나타났다.

  • PDF

경관평가 기반 수변구역의 경관관리 전략 - 경안천 수변구역을 대상으로 - (Landscape Management Strategies Based on Landscape Assessment of Riparian Buffer Zone in the Han River: Focused on Gyeongan Stream)

  • 박창석;배민기
    • 환경영향평가
    • /
    • 제21권6호
    • /
    • pp.903-916
    • /
    • 2012
  • We need to use aesthetic landscape assessment(ALA) as the means of riparian buffer zone(RBZ) management. This study verified the political validity of designation policy of RBZ and land purchase poli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pose RBZ landscape management strategies through ALA of RBZ in Gyeongan Stream for the better attractive and healthy riparian landscapes. The natural type landscape units(LUs) covered 40.9% of the entire area and the cultivated land type LUs covered 20.58%. Landscape assessment consisted of landscape quality and landscape integration assessment. The criteria for assessing landscape quality(LQ) were naturalness, interest, uniqueness, and landscape function. LQ was ranked into five grades using a matrix. The landscape integration assessment consisted of an inner integration assessment in each LU and outer integration assessment among LUs. To review the propriety of designating the riparian area and the riparian ecological belt, differences in ecological appraisal and aesthetic valuation were reviewed through a t-test, Oneway ANOVA, and logistic analysis. The results of ALA, 29.15% of the entire area scored at grade 1 in LQ, while 31.95% scored at grade 5, indicating that grade 5 areas occupied a high share. Surveyed areas were divided into designated RBZ and undesignated RBZ. Results indicated that designated RBZ scored grade 1 in LQ took up 33.2% of the total,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23.3% taken up by undesignated RBZ. When examined according to buffer distance, grade 1 areas within 50m took up 50.2% of the total area, lower than the 32.7% at buffer distances of 500m-1km. Results indicated a 1%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ly, analysis was undertaken for the expansion of designation of the riparian area and the selection of appropriate land for formation of a riparian ecological belt, and was designated at priority 1 and 2 for land purchase. This study can also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a riverine eco-belt through discovery of design factors for upgrading the ecology, aesthetics, and landscape of the riparian area and application in determining land purchase priorities.

환경공간정보와 InVEST Carbon 모형을 활용한 탄소저장량 추정 방법에 관한 연구: 세종시를 중심으로 - 생태·자연도, 국토환경성평가지도, 도시생태현황지도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Estimation Method of Carbon Storage Using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and InVEST Carbon Model: Focusing on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 Using Ecological and Natural Map,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and Urban Ecological Map -)

  • 황진후;장래익;전성우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15-27
    • /
    • 2022
  • Climate change is considered a severe global problem closely related to carbon storage. However, recent urbanization and land-use changes reduce carbon stocks in terrestrial ecosystems. Recently, the role of protected areas has been emphasized as a countermeasure to the climate change, and protected areas allow the area to continue to serve as a carbon sink due to legal restrictions. This study attempted to expand the scope of these protected areas to an evaluation-based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theme map. In this study, the area of each grade was compared, and the distribution of land cover for each grade was analyzed using the Ecological and Nature Map, Environmental Conservation Value Assessment Map and Urban Ecological Map of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Based on this, the average carbon storage for each grade was derived using the InVEST Carbon model.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high-grade area of the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generally showed a wide area of the natural area represented by the forest area, and accordingly, the carbon storage amount was evaluated to be high. Howev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purpose of production, evaluation items, and evaluation methods between each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there are differences in area, land cover, and carbon storage. Through this study,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based on the evaluation map can be used for land use management in the carbon aspect, and it is expected that a management plan for each grade suitable for the characteristics of each environmental spatial information is required.

토지자원관리를 위한 낙동강 유역의 잠재적 토양유실량 산정 (Potential Soil Loss Prediction for Land Resource Management in the Nakdong River Basin)

  • 오정학;정성관
    • 농촌계획
    • /
    • 제11권2호
    • /
    • pp.9-19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otential soil loss and hazard zone by the Revised Universal Soil Loss Equation(RUSLE) for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land resources which is the base of ecosystem, and to grasp the relationship between RUSLE factors in the Nakdong River Basin. All thematic maps used in RUSLE are constructed through GIS and spatial analysis method derived from digital topographic maps, detailed soil maps, land-cover maps, and mean annual precipitation of 30 years collected respectively from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and Ministry of Environment. The slope length of LS-factor that takes much times by the study area's wideness was calculated automatically through AML(Arc Macro Language) program developed by Van Remortel et al.(2001, 2003).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soil loss estimation by the RUSLE, it shows that approximately 82% of the study area have relatively lower possibility of soil loss which is the 1 ton/ha in annual soil loss. While, 9.4% ($2,228km^2$) needed intensive and continuous management for soil loss. Because the amount of their annual soil loss was greater than 10 ton/ha that is optimum level suggested by Morgan(1995). For these areas, the author believe that a new approach which can minimize environmental impacts from soil loss through improvement of cultivation process and buffer forest zone should be applied. Second, according to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RUSLE factors, topographical(LS-factor) and cover management(C-factor) conditions have a lot of influence on soil loss in case of the Nakdong River Basin. However, because of RUSLE factor's influence that affect to soil loss might be different based on the variety of spatial hierarchy and extent, it is necessary to analyze and evaluate factor's relationship in terms of spatial hierarchy and extent through field observations and further studies.

전사적 품질관리 접근에 의한 지가변동률통계의 품질평가 연구 (Quality Evaluation of Official 'Land Price Change and Land Price Index' Statistics by TQM Approach)

  • 김용창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4권5호
    • /
    • pp.553-572
    • /
    • 2008
  • 1990년대 중반 국제금융위기를 계기로 경제협력개발기구, 국제통화기금, 유럽연합통계국 등 국제기구와 개별국가의 통계작성기관에서 통계품질관리 운동이 활발하게 전개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2006년부터 정부승인통계에 대한 품질상태를 정밀 진단하는 국가통계품질 제고일정을 추진하고 있다. 통계품질에 대한 이러한 움직임은 전사적 통계품질 관리 접근에 입각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확성, 시의성 / 정시성, 관련성 접근성 / 편의성, 비교성 / 일관성, 서비스성 / 해석성, 효율성이라는 품질평가 차원을 중심으로 통계작성환경, 작성절차의 적합성, 현장조사의 정확성, 공표자료의 충실성, 이용자 만족도, 품질개선노력 등 5개 부문에 걸쳐 평가하는 통계청 품질관리 시스템에 근거하여 지가변동률 통계를 대상으로 전사적 품질관리 접근에 의한 통계품질을 평가한다.

  • PDF

토지관리정보체계 시스템구축방안 -시스템개발을 중심으로- (Development of Land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LMIS))

  • 서창완;문은호;최병남;김대종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9권1호
    • /
    • pp.73-89
    • /
    • 2001
  • 최근 급변하는 기술환경에서 향상된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지자체 또는 중앙 정부차원에서 막대한 예산을 투입하여 GIS를 활용한 행정업무의 전산화를 추진하고 있거나 추진할 예정이다. 이러한 시점에서 예산의 중복투자 방지, 기 투자재원의 재활용을 극대화한다는 측면에서 지자체의 GIS 시스템 개발은 매우 신중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모든 지방자치단체의 다양한 전산환경에서 자료를 공유하고 서비스하기 위한 토지관련정보체계의 개발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서는 토지관리정보체계가 관련응용시스템간의 상호운용성(Interoperability)을 갖는 개방형시스템(Open System)으로 구축되어야 하며, 이에 따른 개방형 토지관리정보체계의 틀을 제시하는데 초점을 두어 설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최근의 기술 동향에 맞추어 토지관리정보체계의 전국 확산을 앞두고, 유지관리의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개방형 시스템으로서 개발을 시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건교부 주관사업인 「토지관리정보체계 구축사업」에서 시스템 개발부문으로 그 개발방법으로는 RUP(Rational Unified Process), 시스템 설계는 UML(Unified Modeling Language), GIS시스템의 개발은 OpenGIS의 CORBA기반으로 만들어지며, 토지관리업무는 크게 시·군·구의 토지행정업무와 시·도의 공간계획지원업무 그리고 건교부의 토지정책수립업무로 세 가지로 나누어 개발하였다.

  • PDF

1980년대 후반 이후 중국 농촌 토지제도의 변화 (Changes of Land-Use Policy in Rural China)

  • 문순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58-576
    • /
    • 1996
  • 1978년 이후 중국은 농촌지역의 개혁을 통해 개혁. 개방이 시작되었다. 인민공사의 집체경제 체제에서, 농가를 단위로 하는 '가정연산승포제'로 변화하여 노동 의욕이 고취되고 생산성의 증가를 이루었다. 하지만 1980년대 이후 생산의욕 유인 효과가 줄어들고, 보다 확대된 시장 메카니즘에 적합하지 못한 토지이용 방식으로 농업생산의 정체와 노동력의 비농업으로의 이전 과정을 겪었다. 이에 농가의 수요에 맞춘 새로운 토지제도가 필요하게 되어, 流轉의 확대, 토지의 생활보호 기능과 상업적 기능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兩田制, 토지의 분산성을 극복하여 토지 생산의 능률을 높이려는 規模經營, 토지 소유관계의 불명확성을 극복하려는 股役合作制(주식제), 열등한 토지의 개간과 이용을 위한 '四荒' 경매 등의 제도가 시행되었다. 이러한 정책은 중국의 전반적인 시장경제의 도입으로 인한 농촌지역의 적응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그 시행으로 급격한 변화를 피하면서도 기존의 모순을 해결할 수 있었으며, 특히 지역적 차이에 따라 정책은 상이하게 전개된 것이 특징이다.

  • PDF

산주와 비산주 및 귀농·귀촌인을 대상으로 한 산지은행제도 도입 타당성 설문조사 (Feasibility Survey on the Introduction of Forest Land Bank System focusing on Forest Owners, Non-forest Owners, and People Who Return to the Farm)

  • 김종호;김원경;권순덕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2호
    • /
    • pp.278-286
    • /
    • 2014
  • 우리나라 산림의 소규모 분산적 임업경영 여건 개선과 산주의 고령화, 부재산주 증가 등으로 인한 임업경영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으로 산림의 매매, 임대차 등을 통해 임업경영 규모의 확대와 방치된 산림의 효율적인 경영관리와 산림을 담보로 한 임업인 노후생활 안정지원을 위해 산지은행제도 도입이 필요한 시점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지은행제도의 도입 타당성 및 수요 등을 파악하기 위해 산주, 비산주 및 귀농 귀촌인을 대상으로 산지은행제도 도입의 필요성, 기대효과, 이용의향, 도입방안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재산주 262명, 부재산주 152명, 비산주 427명, 귀농 귀촌인 10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산지은행제도 도입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산주 77.5%, 비산주 63.8%로 나타났으며, 산주와 비산주 모두 산지은행제도에서 이용의향이 있거나 수행하기를 기대하는 사업으로 연금과 임대사업을 선호하였다. 귀농 귀촌인의 설문조사에서도 약 75%의 귀농 귀촌인들이 산지은행제도가 농산촌 생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하였으며, 임차와 매수사업에 대한 사업이용 의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한 산지은행제도 도입의 타당성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산지은행 정책수립에 필요한 자료제공은 물론 산지은행제도의 기본방향, 주요기능, 사업종류와 범위 설정 등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