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ke shallowing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7초

Historical Changes of Sediment Accumulation in Lake Shirarutoro Due to Land Use Development in the Forest Catchment, Kushiro Mire in Northern Japan

  • Ahn, Young-Sang
    • 생태와환경
    • /
    • 제42권4호
    • /
    • pp.413-421
    • /
    • 2009
  • Eleven lake sediment core samples were obtained and analyzed to develop a chronology using $^{137}Cs$ (in 1963) and two tephra layers (Ko-c2 in 1694 and Ta-a in 1739). Sedimentation rates estimated for the past ca 300 years in Lake Shirarutoro indicated that catchment development has influenced the shallowing process in the lake by increasing sediment production. The sediment yield under initial land-use development conditions for the first two periods was estimated as 514 tons $yr^{-1}$ from 1694 to 1739 and 542 tons $yr^{-1}$ from 1739~1963. The development of the Shirarutoro catchment intensified in the 1960s with deforestation and agriculture activity leading to an increased sediment yield of 1261 tons $yr^{-1}$ after 1963. The sediment yields after intensified land use development, such as forestry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were about 2 times higher than that under initial development conditions, leading to accelerated lake shallowing over the last ca 50 years. Sedimentation rates differed with location in the lake because of spatial variation in the sediment flux from the contributing rivers and their catchments. The sedimentation rates before 1963 were low in all sites except for one site close to the Shirarutoroetoro River. The sedimentation rate in 1739~1963 was accumulated mostly at the inflow of the Shirarutoroetoro River by sediment production associated with forestry for charcoal production and initial agricultural development. The sedimentation rate after 1963 increased. In particular, the southern zone of the lake near the conjunction with the Kushiro River had a high sedimentation rate, which is attributable to sediment inflow back from the Kushiro River during floods.

산림과 농업 개발로 인한 쿠시로습원 타호부호수의 최근 토사동태 (Status of Sediment Dynamics in Lake Takkobu of the Kushiro Mire, Japan, Associated with Forestry and Agricultural Development in the Watershed)

  • 안영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755-763
    • /
    • 2010
  • 농지 개발로 인한 다량의 세립토사 유입은 타호부호수의 생태계를 악화시키고 있다. 호수 퇴적물의 물리적 특성, $^{137}Cs$, 과 화산재를 이용한 연대측정을 위해 호수 퇴적물 시료 15개를 채취하였다. 타호부호수에서 과거 300년간 토사퇴적속도를 조사한 결과, 유역에서 인위적 개발이 없는 1898년 이전 자연상태에서는 토사퇴적량이 0.1-1.1 mm $year^{-1}$였고, 인위적 개발이 시작된 1898년 이후에는 0.6-12.8 mm $year^{-1}$로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즉, 산림벌채, 하천공사와 농지개발 이후 토사퇴적량은 자연상태보다 6-12배 증가하여 호수의 수심이 얕아지는 현상을 가속시켰다. 1898년부터 1963년 사이의 호수 토사퇴적속도는 개별 소유역으로부터 토사유입 영향에 따라 공간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특히 1898년부터 1963년 사이의 호수 남쪽부분의 토사퇴적량은 산림벌채에 의한 숯 생산과 생산된 숯을 수송하기 위한 운하공사로 인해 호수 중앙과 북쪽부분보다 많았다. 하지만 1963년 이후 남쪽부분의 토사퇴적량이 감소하고 중앙과 북쪽부분에서 토사퇴적량이 증가하여 호수 안에서 토사퇴적의 공간적 변화는 없었다. 왜냐하면 호수 남쪽부분에서 많은 양의 토사퇴적은 호수 수심을 얕게 하여 토사를 침전시키는 능력을 감소시켰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특히 하천 출구에 위치한 지점의 토사퇴적량은 자연상태에 비해 5-32배 높았다. 그리고 쿠시로강(평상시 타호부호수는 쿠시로강으로 배수)은 홍수시 탁수가 역류하여 호수로 유입하기 때문에 토사 유입 증가에 공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0Pb 연대측정에 의한 일본 타호부호수의 토사퇴적속도 변화 분석 (Recent Changes of Sedimentation Rate in Lake Takkobu, Northern Japan, Determined 210Pb Dating)

  • 안영상;안기완;이계한;나카무라 후쯔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1호
    • /
    • pp.80-86
    • /
    • 2014
  • 산림유역의 토지이용 변화가 호수의 토사퇴적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210}Pb$ 연대측정을 수행하였다. 평상시 타코부호수는 쿠시로강으로 유출되지만 쿠시로강의 수위가 증가하면 역류현상으로 인해 쿠시로강에 유출된 다량의 세립토사가 호수로 유입되고 있어 호수 유출지점의 토사퇴적속도를 증가시키고 있었다. 그래서 호수에서 유출입하는 하천 주변의 토사퇴적물에서 $^{210}Pb$ 농도는 많은 양의 토사 퇴적의 영향으로 $^{210}Pb$ 농도가 희석되어 비교적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지수함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도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CRS 모델의 $^{210}Pb$ 연대측정법을 사용하였고, CRS 모델의 연대는 $^{137}Cs$ 연대(1963년)와 잘 일치하였다. 타코부호수에서 과거 100~150년 정도의 토사퇴적속도를 조사한 결과, 유역에서 인위적 개발이 없는 1880년대 이전 자연상태에서는 토사퇴적량이 $0.01{\sim}0.03g/cm^2/year$였고, 산림벌채와 하천공사가 시작된 1880년대~1940년대에는 $0.03{\sim}0.09g/cm^2/year$으로 토사퇴적이 증가하였다. 특히 유역에서 산림벌채, 하천공사, 농업개발과 임도 개설이 진행된 1980년대 이후에는 토사퇴적속도가 $0.09{\sim}0.84g/cm^2/year$로 자연상태보다 9~28배 증가하여 호수의 수심이 얕아지는 현상을 가속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