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ke Sihwa

검색결과 90건 처리시간 0.026초

시화호에서 보름달물해파리 Aurelia aurita (s.l.)의 개체군변동 (Population Dynamics of Jellyfish Aurelia aurita (s.l.) in Sihwa Lake)

  • 홍현표;한창훈;유정규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35권3호
    • /
    • pp.205-217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population dynamics of Aurelia aurita in Sihwa Lake from April to October in 2009. Salinity ranged from 5.9 to 30.7 psu at the surface. Abundance of mesozooplankton ranged from 3 to 111,874 indiv. $m^{-3}$. Ephyrae occurred from April to May with the peak in abundance occurring on 17 April. Maximum density of ephyrae was observed near the power transmission towers that are known to be habitats of polyps. Mortality of ephyrae was lower than in other areas because of the abundant prey concentration and the absence of predators. Young medusae occurred from April to July with the peak in abundance occurring on 8 May. Adult medusae occurred from May to July with the peak in abundance on 25 June and they disappeared before the rainy season. Planula occurred only in May and June with the peak in abundance on 25 June. Growth rates of Aurelia aurita ranged from -0.06 to 0.34 $d^{-1}$, and decreased rapidly after May. The period in which adult medusa occurred was restricted, compared with those in other area in Korea (e.g., Masan Bay) and Japan (e.g., Tokyo Bay). In the period of this study, the available food was limited in June and salinity decreased to ca. 20 psu in May because of the beginning of the wet season. We assumed that the exceptionally short period of occurrence of the medusa may be a response of adults to changes in temperature, salinity or food limitation which leads to the precocious maturation of young medusa and the release of planula and that the brief occurrence of medusa was caused by an abrupt decrease in activity after the release of planula.

시화호에서 하계 섬모충류의 초식압에 미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영향 (Influence of Mesozooplankton on the Grazing Pressure of Planktonic Ciliates in Sihwa Lake During Summer)

  • 홍현표;최중기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4호
    • /
    • pp.265-271
    • /
    • 2014
  • 시화호에서 식물플랑크톤 및 섬모충류의 포식자인 중형동물플랑크톤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하계에 섬모충류의 초식압에 미치는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희석실험과 요각류 첨가 배양 실험을 병행하였다. 희석실험에서 섬모충류는 식물플랑크톤 생산량의 104%를 하루에 소비하였으나, 요각류 Acartia sinjiensis를 첨가한 실험구에서 섬모충류의 초식압은 19%로 크게 감소하였다. 이는 미소형식물플랑크톤의 주요 초식자인 $>20{\mu}m$ 빈섬모충류에 대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의 선택적 섭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중형동물플랑크톤에 의해 섬모충류의 개체수가 강하게 지배되는 시기에는 섬모충류의 실제 초식압은 과대평가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시화호에서 요각류 개체수가 크게 증가하는 춘계와 하계에는 식물플랑크톤의 초식자로서 섬모충류의 역할은 크게 감소될 것으로 판단되며, 초식자로서 섬모충류의 역할을 더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서는 섬모충류에 대한 중형동물플랑크톤의 포식압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퇴적물로부터 인 용출 저감을 위한 Brucite 처리 (Brucite Treatment to Reduce Phosphorus Release from Polluted Sediments)

  • 이미경;최광순;김세원;오영택;권혁재;김동섭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8권11호
    • /
    • pp.1180-1185
    • /
    • 2006
  • 오염된 퇴적물로부터 인 용출 저감을 위한 최적의 capping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 lab-scale 실험을 25 L 아크릴 컬럼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퇴적물 내 입도는 8.8 $\Phi$로 매우 세립한 clay로 조성되어 있으며, 유기탄소 함량($C_{org}$)은 2%로 높다. Batch 실험에 사용된 capping 소재는 Brucite($Mg(OH)_2$), Sea sand($SiO_2$), Granular-gypsum($CaSO_4{\cdot}2H_2O$), Double layer(brucite+sand)와 Control을 30일 동안 비교 평가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용출된 인의 flux는 14.6 $mg{\cdot}m^{-2}{\cdot}d^{-1}$, 9.5 $mg{\cdot}m^{-2}{\cdot}d^{-1}$, 5.2 $mg{\cdot}m^{-2}{\cdot}d^{-1}$, 4.2 $mg{\cdot}m^{-2}{\cdot}d^{-1}$, 3.1 $mg{\cdot}m^{-2}{\cdot}d^{-1}$로 Control>Sea sand>Granular-gypsum>Double layer>Brucite 순으로 각각 나타났다. Brucite를 적용한 컬럼의 경우, 인 용출 제어 효율이 70% 이상 높게 나타났으며, Sea sand를 적용한 경우에는 35%의 효율만을 보였다. 특히, Brucite를 적용한 컬럼의 표층 퇴적물내 pH는 $8.0{\sim}9.5$로 다소 높게 유지되었으며, 이러한 효과는 퇴적물을 약알카리성으로 유지하여 황산염환원균이 증식할 수 없는 환경을 조성하여 생물에 독성이 있는 $H_2S$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Gypsum을 적용할 경우, 퇴적물내 빠른 초기 속성화작용의 진행과 충분한 $SO_4^{2-}$-의 공급으로 methanogenesis 진행를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Brucite와 Gypsum을 적용할 경우, 퇴적물 내 인의 존재형태가 광물(mineral)의 형태인 $Mg_5(OH)(PO_4)_3$, pyrite, apatite-mineral의 형태로 진행되어 퇴적물로부터 인의 용출을 줄일 수 있다.

하천수 정화를 위한 시화인공습지의 초기 수질 정화능 (Early-Year Performance of the Sihwa Constructed Wetland for Stream Water Treatment)

  • 권순국;이경도;조영현;김성배;전기설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1호
    • /
    • pp.93-102
    • /
    • 2005
  • A prototype surface flow constructed wetland was built in the upstream area of Sihwa reclaimed tidal lands to improve the water quality of Lake Sihwa by treating severely polluted stream water. In this study, we monitored hydrology, macrophyte (Phragmites communis Trin,) growth, and water quality in the Banwol and Donghwa wetlands to evaluate their performance during the initial period after the completion of wetland construction, The average removal efficiency($\%$) in each wetland was relatively low compared with the performance data from the North America Wetland Treatment System Database (NADB), which mainly includes urban sewage-treatment wetlands. However, the average removal rates per unit area ($g/m^{2}/day$) were 0.72, 0.72 and 0.51 (BOD), 2,04, 2.46 and 0.70 (SS), 0.89, 0.43 and 1.09 (TN) and 0.02, 0.02 and 0.02 (TP) in the Banwol and Donghwa wetlands and NADB, respectively. The overall performance of the Banwol and Donghwa wetlands was within the expected range of the wetland system processes contributing the reduction of the pollutant load to Lake Sihwa during the initial period of wetland operation. Considering the low influent concentration, high hydraulic loading rate, and insufficient macrophyte growth since the wetland was constructed, better performance is expected if an improved operational scheme is adopted.

시화호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농도와 매질별 분배 특성 (Concentration and Partitioning of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PAHs) in the Lake of Sihwa)

  • 김종국;김형섭;김경심;이동수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7호
    • /
    • pp.690-696
    • /
    • 2005
  • 시화호를 대상으로 수계 중 다환방향족탄화수소(PAHs)의 농도와 분포특성을 조사하였다. 용존상과 입자상으로 분리된 물시료와 저질 시료를 분석한 결과 시화호의 상류인 반월지역과 하류인 시화지역의 물 시료 중 PAHs 농도는 각각 $21.9{\sim}49.6\;ng/L$, $19.4{\sim}99.7\;ng/L$로 나타났으며, $85{\sim}90%$ 정도가 용존상에 존재하였다. 또한 저질시료에서는 반월지역이 $51.7{\sim}325\;ng/g-dry$, 시화지역이 $13.4{\sim}72.3\;ng/g-dry$으로 다소 지역적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중 용존상은 저분자와 중간 분자량대 화합물이 주를 이루고 수중 입자상과 저질은 중간 분자량과 고분자량대 화합물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옥탄올/물 분배계수에 대한 수중 용존상/입자상 분배계수로부터 얻어진 회귀직선의 기울기는 $0.73{\pm}0.12$로 나타났으며, 물/저질 분배계수로부터 얻어진 기울기는 $0.59{\pm}0.10$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저질/물 사이의 분배현상 뿐만 아니라 수중 용존/입자 상 분배 현상도 평형에 도달하고 있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세가시육질꼬리옆새우(단각류)의 생물교란이 시화호 퇴적물 내 황화합물과 산소 농도의 수직적 분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ioturbation of the Amphipod Monocorophium uenoi on the Vertical Distribution of Sulphides and Oxygen within Sulphides-Rich Sediments of Lake Sihwa)

  • 구본주;권개경;신상호;제종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79-89
    • /
    • 2006
  • 시화호의 우점종 중의 하나인 세가시육질꼬리옆새우의 염분구배 (1, 5, 10, 15, 20, 25, 30, 35, 40‰)에 따른 생존율 및 튜브형성 개수 실험을 하였다. 그리고 수층 내 산소농도가 충분할 경우 황화합물 농도가 높은 퇴적물 속에서 대상 종의 생존율과 이들의 생물교란 활동이 퇴적물 내 산소농도와 황화합물의 수직구배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대상 종은 20~30‰ 염분 조건에서 생존율이 높았으며 튜브형성 개수 또한 많았다. 수층 내 산소 농도가 충분할 경우, 대상 종은 황화합물 퇴적물에서 높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M. uenoi의 생물교란 활동은 퇴적물 내로 산소를 확산시킴으로써 황화합물을 제거하였다. 산소 확산과 황화합물이 제거되는 깊이는 대상 종의 서식밀도가 높을수록 증가하였다. 시화호 퇴적물에는 황화합물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며, 특히 여름철에는 밀도성층의 강화로 저층수에 빈산소층이 형성되어 저서동물이 서식하지 못하는 무생물대가 형성된다. 가을 무렵에는 성층의 약화로 저층수에도 산소가 충분히 공급되며 M. uenoi가 높은 밀도로 출현한다. M. uenoi의 생물교란 활동은 저서동물 군집이 재형성될 수 있는 서식지를 조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시화간척지에 도래하는 물새류 현황 및 보전 방안 (Conservation and Status of Waterbirds on Sihwa Reclaimed Area)

  • 이시완;송민정;이한수;최종인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73-87
    • /
    • 2004
  • 시화간척지에 도래하는 물새류는 70종에 최대개최수 합계가 169,351개체이었다. 군집별로는 오리류가 22종, 도요류 20종, 백로류 9종 및 갈매기류 5종순으로 나타났다. 월별 개체수는 3월이 95,465개체로 가장 많았으며, 2월과 11월에도 70,000개체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지만, 4월~6월에는 7,000개체 이하로 나타났다. 연중 1회 최대 출현개체수에서 최우점종은 58,627개체로 34.6%를 점유한 고방오리(Anas acuta)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24.5%인 청둥오리(Anas platyrhynchos), 13.6%인 흰죽지(Aythya ferina), 6.1%인 괭이갈매기(Larus crassirostris), 5.0%인 흰뺨검둥오리(Anas poecilorhyncha) 및 2.69%인 검은머리흰죽지(Aythya marila)순이었다. 시화간척 지에는 노랑부리백로(Egretta eulophotes), 저어새(Platalea minor), 노랑부리저어새(Platalea leucorodia), 혹고니(Cygnus olor), 큰고니(Cygnus cygnus) 및 검은머리물떼새(Haematopus ostralegus) 등의 희귀조류가 서식 및 번식하고 있었다. 주로 시화호의 수변부에서 먹이활동을 하고 있었으며, 수변부 뒤쪽의 간척지(배후습지)를 휴식 및 서식공간으로 활용하고 있었다. 특히 검은머리물떼새는 칠면초(Suaeda japonica)와 퉁퉁마디(Salicornia herbacea) 등이 자라고 있는 간척지를 번식지로 이용하고 있었다. 시화호가 매립과 간척, 수변부에 조성되는 해안도로, 송전철탑 건설 및 농지확보를 위한 방조제 조성 등으로 물새류의 서식 및 번식지가 훼손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곳에 도래하는 물새류를 번식조류, 통과조류 및 겨울철새로 구분하여 각각에 대한 보전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특히, 먹이원 확보, 서식지인 수변부와 번식지인 수변부 뒤쪽의 배후습지의 유지 및 외지섬, 형도, 음섬과 시화 상류갯골이 연계되는 생태계 벨트 구축 등에 의한 물새류 보전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