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ke Sediments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4초

팔당호의 질소거동과 수지 (The Nitrogen Behavior and Budget in Lake Paldang)

  • 이장호;박혜경;이규;김은미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1-80
    • /
    • 2010
  • We studied the nitrogen behavior and budget of Lake Paldang from March to December 2008. The particulate nitrogen (PN) concentrations ranged from 7 to 13% of the total nitrogen concentration (TN) in the stream inflows, the downstream outflow, and the lake water. The nitrate nitrogen ($NO_3-N$) concentration ranged from 67 to 78% of the TN. In the three rivers of Lake Paldang, Gyeongan River (In3 site) had the highest average of the TN, 5.037 mgN/L, but North Han River (In2 site) had the lowest average TN, 1.683 mgN/L. South Han River (In1 site) had the average TN of 2.399 mgN/L. In the dam discharge, TN showed the average 2.063 mgN/L. In the lake water, L4 site (Gyeongan River area) had the highest average TN, 3.781 mgN/L, but L3 site (North Han River) had the lowest average TN, 1.587 mgN/L. Total input of nitrogen loads to Lake Paldang was about 30,875 ton/year in 2008. Inflow rivers contributed 30,643 ton/year (South Han River: 18,111 ton/year (59%), North Han River: 11,333 ton/year (37%), and Gyeongan River: 1,199 ton/year (4%)). The atmospheric deposition had 135 ton/year, the nitrogen release from the bottom sediments had 88 ton/year, and macrophytes had 9 ton/year. Total output of nitrogen loads from Lake Paldang was about 31,256 ton/year. The downstream from dam contributed 29,877 ton/year, and the sediment deposition was 1,379 ton/year.

Holocene Climate Change as Recorded in Mongolian Lake Sediments

  • Khosbayar, P.;Peck, John A.;Ariunbileg, S.;Fowell, Sarah J.;Narantsetseg, Ts.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5-32
    • /
    • 2003
  • Mongolia, a land-locked country in Central Asia, is located in the region of the highest degree of seasonal contrast on Earth. This paper presents sedimentologic and geomorphic data used to infer Holocene climate change in North-Central Mongolia. Correlation of data show that the climate was cold and dry before 10500 years BP. The post glacial warming occurred from 10500 to 8700 yr BP. The climate was characterized by becoming warmer and dry from 7300 to 6090 radiocarbon years. Between 6100 and 5500 years ago, conditions were hyper arid. Increased effective moisture balance but still arid conditions prevailed between 5500 and 3900 years ago. Since 3900 years ago, generally more humid conditions prevailed and originated varved sediment accumulation. Between about 2300 to 1300 years ago, greater than present day effective moisture balance. Since 1200 years ago climate was cooler and since 600 years ago becoming warmer.

  • PDF

Hydrocyclone을 이용한 호소 퇴적물의 분급특성 (Classification of Lake Sediment by Hydrocyclone)

  • 노성혁;조영민;오종민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3호
    • /
    • pp.265-273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원심력을 이용한 하이드로싸이클론을 준설된 호소 퇴적물의 처리 공정에 적용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준설된 퇴적물의 안정화 및 위생적 처리를 위해서는 경우에 따라 탈수 및 분급공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공정에 하이드로싸이클론을 적용하였으며, 실온에서 실제 호소 퇴적물과 폐 석탄회를 이용하여 분리효율을 실험하였다. 본 연구 결과 하부배출구의 크기는 한계분리입경(d(sub)50)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비중이 큰 입자일수록 좀 더 분리가 효과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Correlation Analysis of General Parameters and Metals in the Lake Sediments of Geum River Basin

  • Lee, Jun-Bae;Cho, Yoon-Hae;Huh, In-Ae;Khan, Jong-Beom;Oh, Da-Yeon;Yang, Yoon-Mo;Gil, Gi-Beom;Lee, Soo-Hyung;Cheon, Se-Yeok;Lee, Bo-Mi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84-696
    • /
    • 2017
  • An investigation of grain size, organic compounds and metal distribution in lakes from Geum river basin (Republic of Korea) was conducted in two years (2014 and 2015). The samples of sediment were collected from the 3 lakes (12 sites). The samples were analyzed the concentration of metals (Pb, Zn, Cu, Cr, Ni, As, Cd, Hg, Al, and Li) and general indices including grain size.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determined using general indices and metal concentrations respectively. The organic qualities of sediments were improved in 2015 compared with 2014. The concentrations of metals were lower than Sediment Criteria of Lakes in Korea. The significant Spearman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presented only sand-clay, clay-water content, COD-TOC, Cu-Ni, Cd-Li, Zn-Li, and Cr-Ni of general and metal parameters in 2014, 2015 and both of two years.

시화호 유역 하천 퇴적물에서의 중금속 오염도 평가에 관한 연구 (Sediment Quality Assessment for Heavy Metals in Streams Around the Shihwa Lake)

  • 정혜령;김경태;김은수;나공태;이승용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36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시화호 유역 하천퇴적물 내 중금속의 시 공간적인 분포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다양한 오염지수를 활용하여 오염도 및 위해 영향을 평가하였다. 조사지역별로 살펴보면 1간선수로(S1)에서는 Co, Zn 및 Cd이 최대농도를 보였으며, 2간선수로(S2)와 3간선수로(S3)는 각각 Ni과 As, 4간선수로(S4)는 Cr, Cu, Pb 및 Hg이 최대농도를 나타내고 있어 조사지역에 따라 오염되는 중금속 원소가 다른 특성을 보였다. 산업지역 내 하천에서의 중금속 농도가 농업/도심지역에 비해 3.3(Co)~83(Cu)배 높은 결과를 보였다. 농집지수(Igeo)를 통한 각각의 중금속 원소의 오염도 평가는 Cd과 Cu는 highly polluted, Zn, Pb은 moderately to highly polluted의 오염상태를 나타냈다. 본 연구에서 분석된 중금속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오염부하지수(PLI)는 산업지역이 10.5로 심각한 오염상태였으며, 농업/도심지역은 오염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계조사시기가 다른 조사시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오염된 결과를 보였다. 퇴적물 기준과의 비교를 통하여 산업지역 내 하천은 Cr, Ni, Cu, Zn 및 Pb의 85%가 PEL을 초과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mPELQ와 SQI를 통하여 퇴적물 내 중금속의 종합적인 오염도 및 위해 영향을 고찰한 결과, 산업지역 내 하천퇴적물은 독성 영향이 크며 매우 나쁨(very poor)에 해당되는 오염상태를 보였으며, 하계 조사시기에 오염도가 심해지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소옥천 호소 저서퇴적물의 인 용출률 산정 (Calculation of Phosphorus Release Flux from Benthic Sediments in Sookchun Lake)

  • 유병로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8권1호
    • /
    • pp.9-21
    • /
    • 2015
  • 본 연구는 소옥천 호소화 수역의 퇴적물 깊이별 오염도를 조사하고, 표층 퇴적토양을 대상으로 인 용출특성을 실험한 것이다. 퇴적물의 총인 농도는 전 구간에서 대청호 준설 환경기준 1.5mg/g을 초과하였고, T-N은 팔당호 준설기준 1.1 mg/g은 초과하였으나 대청호 준설기준 3.0mg/g보다는 낮게 나타났다. 준설구역은 소옥천 추소수역(WS-6~WS-12)이 적절하다고 판단하였다. 퇴적물 깊이별 오염도 조사 결과 강열감량은 깊이에 따라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총질소는 깊이에 따른 농도 분포 패턴은 나타나지 않았다. 총인 역시 지점과 깊이별로 농도 변이가 적고 특별한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소옥천 호저 퇴적물에서 총인의 용출률은 혐기성 조건에서 $7.2{\sim}15.4mg/m^2/d$, 호기성 조건에서는 $0.5{\sim}2.0mg/m^2/d$, 통기성 조건에서는 $2.0{\sim}4.1mg/m^2/d$의 범위로 산정되었다. 혐기성 조건에서 퇴적 표토층의 총인 농도와 용출률의 관계는 결정계수($R^2$)가 0.7871로 나타나 정상관성을 보이고 있다. 또 반응조의 용존산소 농도와 총인 용출률의 관계는 결정계수($R^2$)가 0.8824인 높은 역상관성을 보였다. 퇴적물의 오염도와 반응조건에 따라 용출률이 크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추소수역에 대한 수중 용존산소 농도 및 퇴적 표토층의 총인 함량과 총인 용출률과의 관계를 해석하였다.

팔당호 수변부 퇴적물이 수층의 산소소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ttom Sediments on Oxygen Demand of Overlying Water in Onshore of Lake)

  • 강양미;송홍규
    • 생태와환경
    • /
    • 제33권1호통권89호
    • /
    • pp.23-30
    • /
    • 2000
  • 초록(한글) 입력자 : 퇴적층 산소요구는 수중의 퇴적층에서 생물학적 호기성 대사와 화학적 산화에 소모되는 용존산소량으로 1999년 4월부터 11월 사이에 팔당호 현장에서의 SOD는 조사시점에 따라 $4{\sim}5$ 시간동안 $1.57{\sim}12.55$ mg $O_{2}m^{-2}h^{-1}$로 나타났다. 또한 SOD는 퇴적유기물의 양과 퇴적층 내로의 산소 확산의 영향이 컸다. 초기 30분 동안에 물과 퇴적층의 산소요구를 비교하면 SOD가 수층 전체 산소소모의 $63.8{\sim}94$%를 차지하였다. 실험실 내의 SOD 측정에서 화학적 퇴적층 산소요구는 크게 일어나지 않았으며 퇴적층의 탄소성 산소요구는 전체 SOD보다 적게 나타났다. 이 결과로부터 팔당호의 SOD는 주로 생물학적 산소요구에 의한 것이며 질화작용에 의한 산소요구가 SOD에 큰 비중을 차지함을 알 수 있었다. 퇴적층의 두께가 SOD에 미치는 영향은 퇴적물의 특성에 크게 좌우되며 유속을 2배로 빠르게 한 경우에는 SOD가 $1.4{\sim}1.9$배 증가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SOD가 수층의 용존산소를 감소시키는 주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었으며 상수원으로 이용되는 호수에서 이를 감안한 수질관리가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Rapid Climate Change During the Deglaciation of Lake Hovsgol, Mongolia

  • Chun, Jong-Hwa;Cheong, Dae-Kyo
    • 한국제4기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55-58
    • /
    • 2005
  • A 120-cm core recovered from Lake Hovsgol, the northern Mongolia provides evidence for climate variability since the Marine Isotope Stage 3, representing a sharp lithological change. The lowermost part of the core consists of diatom-barren calcareous silty clay without coarse sands, framboidal pyrite, and biogenic components deposited during the MIS 3. Following the last glacial maximum, in-situ moss is included in the sediments, as lake-level was retreated by cold and dry environment with low precipitation. The AMS radiocarbon ages of the plant fragments match a marked lithologic boundary between 14,060 and 14,325 $^{14}C$ yr BP. The contents of coarse sands abruptly increase, indicating probably wind-derived sandy dust or coarse grains contributed from floating icebergs. And abundant framboidal pyrite grains were deposited in an anoxic environment, as reflected by high accumulation of organic matters at a low lake stand. During the deglaciation, quantities of coarse sands, ostracod, shell fragments, framboidal pyrite, and diatom markedly varies by regional and global scale climate regimes. Some allochthonous coarse sands were probably ice-rafted debris derived from floating icebergs. A rapid increase in diatom productivity probably marked the onset of Bolling-Allerod warming. Subsequent high concentration of framboidal pyrite probably represents a dry and cold condition, such as Younger Drays events. Consistent warm period with high precipitation at Holocene is documented by diatomaceous clayey ooze without framboidal pyrite, coarse sands, and ostracod.

  • PDF

퇴적물 내 입도와 유기물 함량이 영양염류 및 중금속 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ean Grain Size and Organic Matter Contents in Sediments on the Nutrients and Heavy Metals Concentrations)

  • 김석구;이미경;안재환;강성원;전상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7권9호
    • /
    • pp.923-931
    • /
    • 2005
  • 팔당호 표층퇴적물의 오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경안천을 중심으로 팔당호 전반에 걸쳐 40개 지점에 대해 입도, 유기물 함량, 총질소, 총인, 중금속의 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입도(Mz, mean grain size)의 분포 특성은 유입량 및 유속이 강한 북한강과 남한강 합류지점부터 팔당댐 지역에 걸쳐 사질(Mz, $1{\sim}3\;{\phi}$)로 분포하며, 경안천 하부 및 팔당호 하부 지역에서는 세립한 silt(Mz, $5{\sim}10\;{\phi}$)로 구성되어 이 지역의 수리 특성을 반영한다. 입도(Mz)와 유기물 함량(LOI)의 상관관계는 습지 근처인 St. 36을 제외하고, $r^2\;=\;0.88$로 세립토일수록 유기물 함량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퇴적물 내 T-N과 T-P의 농도 역시 입도와 유기물 함량이 높은 지역에서 높은값을 나타내었다. 특히, T-P의 농도 분포는 $216{\sim}1,623\;{\mu}g/g$(Avg. $769\;{\mu}g/g$)의 범위로 팔당호 퇴적물내 인(phosphorus)의 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Fractionated-P를 통해 환경 변화에 의해 수체로 용출될 가능성이 큰 Adsorbed-P와 NAI-P(Non-apatite inorganic P)가 약 20%로 나타났다. 또한, 20개 항목의 결과를 토대로 통계학적 기법인 주성분 분석(Principle Component Analysis, PCA)을 실시한 결과, 입도가 세립하고, 유기물 함량이 높은 지역에서 T-N, T-P, 친유기성 중금속(Cd, Cu, Pb, Zn)이 높게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중금속 오염 정도는 입도를 고려한 $I'_{geo}$(Geoaccumulation Index)로 분석한 결과 상대적 오염도가 0 이하 및 Class 1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나 중금속 오염은 없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납 동위원소를 이용한 안동호 퇴적물 중의 납 오염 기원 (Tracking lead contamination sources of sediments in Lake Andong using lead isotopes)

  • 박진주;김기준;유석민;김은희;석광설;신형선;김영희
    • 분석과학
    • /
    • 제25권6호
    • /
    • pp.429-434
    • /
    • 2012
  • 본 연구는 안동호 퇴적물 중의 납 오염 기원을 조사하기 위해 안동호 퇴적물, 안동호 유역의 토양, 광미퇴적물 및 아연제련시설의 부산물 중의 납 동위원소를 분석하고 국내 외 결과와 비교하였다. 안동호 퇴적물 중의 $^{207}Pb/^{206}Pb$$^{208}Pb/^{206}Pb$$0.827{\pm}0.004$$2.041{\pm}0.015$로서 광미퇴적물의 $0.815{\pm}0.002$$2.016{\pm}0.006$와 유사한 값을 나타내었으며, 토양 중 $^{207}Pb/^{206}Pb$$^{208}Pb/^{206}Pb$는 0.756~0.881 및 1.872~2.187로 퇴적물 및 광미퇴적물에 비해 넓은 범위의 납 동위원소 분포를 나타냈다. 아연 광석의 $^{207}Pb/^{206}Pb$$^{208}Pb/^{206}Pb$는 0.816~0.956(평균 0.832), 2.029~2.219(평균 2.059)로서 비교적 넓은 범위의 동위원소 조성변화를 보였으며, 폐수 및 슬러지 중의 $^{207}Pb/^{206}Pb$$^{208}Pb/^{206}Pb$는 0.883~0.905(평균 0.887), 2.127~2.156(평균 2.133)로 나타났다. 안동호 퇴적물은 연화광산의 광상과 유사한 납 동위원소 분포특성을 보였으며, 광미퇴적물과 토양에 의한 혼합 특성을, 아연제련시설의 경우, 캐나다 및 호주 등으로부터 수입된 아연 광석에 의한 납 동위원소 분포와 유사한 분포 특성을 나타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