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ke Saemangeum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5초

간척지 논 농업배수 처리에 적합한 인공습지 설계 기법 (Constructed Wetland Design Method to Treat Agricultural Drainage from Tidal Reclaimed Paddy Areas)

  • 장정렬;신유리;정지연;최강원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8권1호
    • /
    • pp.4-17
    • /
    • 2011
  • The standard design methodology was suggested to construct wetland system for reducing non-point source pollution from Saemangeum reclaimed paddy land. To set for the design flow and concentrations, runoff and water quality survey were conducted during the irrigation period in 2008 at Gyehwa reclaimed paddy land located at near Saemangeum lake. It is rational that 1ha is the optimum constructed wetland size. To meet this size, the moderate drainage area of reclaimed paddy field was 50ha under the conditions that rainfall is 30mm, average runoff coefficient is 0.83, and runoff capture ratio is 0.6. At these condition, the runoff volume from 50ha was 10,520 $m^3/d$ including base flow during irrigation period. To select the optimum wetland system, several case studies were conducted by focusing on the tidal reclaimed land areas having wetland systems in Seokmun. Pond-Wetland system was selected as the standard model because of showing the highest reduction efficiency. Single variable regression equation were delivered to estimate effluent water concentrations from the designed wetland by using long-term monitoring data from the Seokmun experiment site. The effluent concentration from the designed wetland using these equation were showed moderately range.

  • PDF

새만금 방조제 체절 이후 초기의 수질변화에 관한 연구 (The Early-Stage Changes of Water Qualities after the Saemangeum Sea-dike Construction)

  • 양재삼;정용훈;지광희;김현수;최정훈;김원장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1권4호
    • /
    • pp.199-213
    • /
    • 2008
  • 2006년 4월 새만금의 외곽 방조제가 완전히 체절됨에 따라 방조제 내부수역은 염수호수로 전환되었다. 방조제가 조성되는 과정 동안 호수의 수질 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1999년부터 2007년까지 4회의 고정 관측과 13회의 공간 관측이 이루어졌다. 조사 기간 동안 염분, 부유물질, 영양염(DIN, DIP, DISi), 엽록소-$\alpha$를 분석하여 방조제 조성 이후 초기의 수질 변화를 집중적으로 검토하였다. 방조제 체절로 인해 내측의 호수에서 조석의 약화는 저층 퇴적물의 재부유현상을 약화시켰고, 수중의 부유물질 농도를 감소시켰다. 이로서 태양광이 수층의 깊은 곳까지 침투할 수 있게 되었고, 자연히 식물플랑크톤의 광합성이 증가되었을 것이며, 이러한 현상은 엽록소-$\alpha$의 농도가 약 2배 정도 증가하는 결과로 나타났다. 식물플랑크톤의 급격한 성장과 수중의 부유물질의 농도 감소는 표층수의 DIP 농도를 더욱 감소시키는 결과로 나타났고, 이에 반해 표층수의 DIN과 DISi는 방조제 체절 이후 새만금호 내에서 확장된 담수의 영향과 저층에서의 공급으로 인하여 식물플랑크톤의 소비에도 불구하고 체절 이후에 증가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에 따라 수중의 N/P 비율이 급격하게 증가하게 되었고, DIP가 일차생산의 제한인자로서 작용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새만금호는 방조제의 체절로 인하여 과거에 전형적인 대조차 연안환경에서 DIP가 일차생산의 제한인자로 작용하는 기수환경으로 전환되었다. 금강 하구언 조설 이후 금강하구에서도 동일한 현상이 나타났으나, 새 만금호수의 경우 현재까지 해수 유통이 계속되고 있기 때문에 염수쐐기현상을 통해 저층으로 유입한 해수로 인해 염분 성층이 발생한다면 여름철에 저층에 국부적인 빈산소층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이에 대비한 집중적인 감시가 필요하다.

  • PDF

혼합모델을 이용한 새만금호 저층수 내 영양염의 공급과 제거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Addition and Removal Processes of Nutrients from Bottom Water in the Saemangeum Salt-Water Lake by Using Mixing Model)

  • 정용훈;김창식;양재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6-317
    • /
    • 2014
  • 이 연구는 새만금 방조제가 조성된 이후 새만금호에서 영양염($NO_3$-N, $NO_2$-N, $NH_4$-N, TN, $PO_4$-P, TP, DISi)의 거동을 이해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특히 2008년~2010년까지 새만금호의 표층과 저층에서 매월 관측된 환경인자(수온, 염분, 용존산소, 부유물질, Chl-a)와 상호 비교하여 특징을 논의하였다. 표층에서 $NO_3$-N, TP, $PO_4$-P, DISi는 제거현상을 보였고, $NO_2$-N, $NH_4$-N, Chl-a는 첨가현상을 보였다. 저층에서는 $NO_3$-N을 제외하고 모든 항목들이 첨가현상을 보였다. 따라서 $NO_3$-N을 제외한 나머지 영양염들은 저층수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혼합모델을 이용하여 저층수에서 영양염의 거동을 분석한 결과, 생지화학적 과정에 의해 $NO_3$-N이 주로 하계에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NH_4$-N과 $PO_4$-P는 하계에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PO_4$-P와 $NH_4$-N의 증가는 강하구 쪽에서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고, 표층과 저층 사이의 DO의 농도 차이와 강한 양의 상관성을 보였다. DISi도 저층수에서 지속적으로 공급되고 있음을 보였으나, $NH_4$-N과 $PO_4$-P와는 다르게 하계뿐만 아니라 춘계에도 공급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NH_4$-N과 $PO_4$-P가 방조제 쪽보다 하구 쪽에서 더 많이 공급되는 것과는 다르게 DISi는 양쪽에서 유사하게 공급됨을 보였다. 이러한 DISi의 특징은 퇴적물로부터 분자확산에 의한 flux를 계산한 결과, 저층수에서 공급되는 영양염은 퇴적물로부터 용출되는 것 이외에 SGD 등 다른 유입기원이 있는 것을 암시한다.

방조제 체절이후 새만금호의 장기적인 수질변화 (The Long-term Variations of Water Qualities in the Saemangeum Salt-Water Lake after the Sea-dike Construction)

  • 정용훈;양재삼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51-63
    • /
    • 2015
  • 새만금 방조제 건설로 조성된 새만금호의 장기적인 수질의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2002년부터 2010년까지 총 40회에 걸쳐 현장조사를 수행하였다. 호 내 표층수의 염분은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 감소하여 장기간 감소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에 표층수의 SPM은 감소하였으나, 이후 호 내 수위 변동과 관련하여 증가하다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표층수의 Chl-a는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부터 증가하여 장기간 동안 계속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였다. 표층수의 DIN 항목들은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에는 변화가 없었으나, 이후 $NH_4-N$은 증가(90%)하였다. 표층수의 DIP는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에는 감소하였으나, 이후 증가(264%)하였다. $NH_4-N$과 DIP의 증가는 새만금호의 장기적인 유기물의 축적과 관련된 것으로 판단된다. 표층수의 $NO_3-N$은 방조제 끝물막이 이후 변화가 없는 반면, DISi는 방조제 끝물막이 직후부터 증가하여 계속 증가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담수 기원 이외의 다른 유입원으로부터 공급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새만금 방조제 끝물막이 이후 호 내의 수질은 공간적으로 강하구와 나머지 지역들로 뚜렷하게 구분되는 특징을 보이고 있으며, 성층은 방조제 쪽보다 강하구 쪽에서 더 강하게 관측되었다. 특히 하계에 강하구 쪽에서 강한 염분 성층과 함께 표층에서 약 1 m 이하로 저산소 상태가 관측되었다. 저산소층의 형성은 퇴적물로부터 영양염 및 중금속 등의 용출을 유발시킴으로서 수질악화를 가속화시킬 우려가 있음으로 이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게 필요하다.

새만금사업의 친환경개발지표 설정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co-friendly Environmental Indicators for Saemangeum Project)

  • 류재홍;이상훈;구자건
    • 환경영향평가
    • /
    • 제15권4호
    • /
    • pp.279-288
    • /
    • 2006
  •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was started in 1991 with the purpose of eco-friendly reclamation, but without clear definition of eco-friendlines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find out the environmental indicators to define and evaluate the eco-friendliness of Saemangeum project. The methodology to identify the indicators included the analysis of similar reclamation projects, professional discussions, and Delphi survey. The eco-friendly indicators are theoretically based on the five elements of eco-friendliness; 1) resource consumption, 2) energy consumption, 3) pollution emission, 4) bio-diversity, 5) social amenity. The 69 indicators were explained in detail for the convenient use of the indicators by the potential users. The 69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three categories such as pre-evaluation, process evaluation, and post-evaluation. In terms of spatial consideration, the 69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two categories such as direct influence area and indirect influence area. Also the 69 indicators were classified into 7 categories: 1) sea, 2) lake, 3) agricultural land use, 4) industrial land use, 5) residential land use, 6) tourism land use, and 7) environmental land use. Twenty core indicators were selected from the 69 indicators by surveying the importance of each indicator. The core indicators are recommended in case of time and budget strain. When there are few quantitative data accumulated for the reclamation project, 5 macro indicators are recommended to be used. Macro indicators are qualitative in nature, and may be used in order to evaluate the overall eco-friendliness of a reclamation project.

시화호 내 수질 및 어패류의 중금속 분포 연구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Seawater, Fish, and Shellfish at Lake Shihwa)

  • 이규영;이승훈;오세훈;최민지;이용우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57-163
    • /
    • 2018
  •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pollution levels of nine kinds of heavy metals (As, Cd, Cu, Cr, Hg, Mn, Ni, Pb, and Zn) in Lake Shihwa, which is susceptible to the inflow of pollutants, and the levels of heavy metal exposure in its fish and shellfish. Shihwa Lake's water quality did not exceed the short-term standard for protection of marine ecosystems, but concentrations of As, Cu, Cr, Hg, Ni, and Zn exceeded the long-term standard for protection of a marine ecosystem. In comparison to findings in prior research, performed in 2010, levels of Cr, Ni, As, and Zn are now 4.1 times lower. However, when compared to Saemangeum Lake, the environment is similar to that of Lake Shihwa, Cu, Ni, Hg, Mn, and Zn were 244.4 times higher. The levels of Pb, Cd, and Hg in fish's muscles did not exceed the average values set by the marine safety standard. However, when compared to the fish from the Korean coast, the levels of heavy metals were 9.7 times higher, on average. The levels of heavy metals in fish's livers were on average 26.8 times higher than in the muscles. In the case of shellfish, the levels of Pb, Cd, and Hg did not exceed the standard values, but in comparison to the shellfish from the south coast, the levels of heavy metals were 6.2 times higher on average. In particular, Mn (153.5 times higher) from fish and Cd (14.7 times higher) from shellfish were found in high amounts, indicating a concerning level of these specific heavy metals.

새만금지역 내방수제 착공 이후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분류군 (Taxonomic Groups of Phytoplankton Communities after the Commencement of the Construction of a Waterproofing Dike in Saemangeum Region)

  • 여환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895-899
    • /
    • 2015
  • 새만금수역 내부의 방수제 착공시점(2011년)으로부터 2013년까지 새만금 수역을 담수역, 하구역, 만경호와 동진호 수역, 방조제 밖 외해역 등 4개의 수역으로 나누어 연 4회씩 식물플랑크톤 군집을 조사하였다. 2011년 조사(3월, 6월, 9월, 11월)에서는 각 시기별로 48-59종씩의 식물플랑크톤이 출현하였으며 만경호 및 동진호 수역에서 6월의 결과는 담수종이 우세하였으나 9월에는 담수종과 해수종의 공존이 관찰되었다. 2012년 조사(4월, 6월, 9월, 11월)에서는 각 시기별로 45-65종이 출현하였고 9월에 가장 다양하였는데 그 원인은 담수정점들을 중심으로 남조류의 출현종수가 증가한 것에 기인한 결과였다. 2013년 조사(3월, 6월, 9월, 11월)는 56-69종이 출현하여 연구수역은 최근으로 오면서 오히려 출현종수는 증가하고 있었다. 특히 6월의 결과에서 최대 출현종수를 보였는데 해수영향을 받는 곳에서는 와편모조류 출현종의 증가, 그리고 담수역에서는 남조류와 녹조류 출현종의 증가에 의한 결과였다.

전작.원예단지 조성을 위한 새만금 인근 주요 저수지의 수질조사 및 용수이용 가능성 연구 (Investigation of Water Quality and Irrigation Water Use Possibility of Reservoirs Near Saemangeum for Upland and Horticultural Fields)

  • 송재도;손재권;최진규;김영주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4권2호
    • /
    • pp.214-224
    • /
    • 200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of water quality and irrigation water use possibility of reservoirs near Saemangeum for upland and horticultural fields. Water samples were taken at 6 reservoirs for 5 months from June, 2006 to November, 2006. The water temperature, pH, EC, EC, chlorophyll - a of 6 reservoirs were ranged 8.7-$31.2^circC$, 6.9-9.2, 73.0-637.0$\mu$S/cm, 0.9-443.2mg/$m^3$,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DO, BOD, COD, T-N, T-P and SS were ranged 5.7-11.7mg/L, 0.5-8.9mg/L, 2.9-18.0mg/L, 0.07-6.52mg/L, 0.002-0.406mg/L, 0.5-54.0mg/L Also, storage ratio and storage capacity of Mije reservoir, Okgu reservoir, Oknyeo reservoir, Neungje reservoir were decreased between June and April, but those of Oksan reservoir was kept high during irrigation period. Water supply of reservoirs was 4,474,100$m^3$(Oksan), 6,165,900$m^3$(Mije), 13,209,900$m^3$(Okgu), 4,675,600$m^3$(Oknyeo), 7,682,000$m^3$(Neungje), 19,231,000$m^3$(Cheongho) in 2006, respectively. It is resevoirs for upland and horticultural fields that use main irrigation water resources before Saemanguem fresh-water lake development, and use assistance irrigation water resources in emergency after Saemanguem fresh-water lake development. In the meantime, for continuous use of reservoir as irrigation water resource for upland and horticultural fields, we must examine about surplus water capacity, and need investigation about supply possibility of irrigation water, condition of irrigation water, water quality.

  • PDF

식물플랑크톤 일차생산력의 새로운 시간 적분 알고리즘 (Time Integration Algorithm for the Estimation of Daily Primary Production)

  • 박종규;김응권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5권3호
    • /
    • pp.124-132
    • /
    • 2010
  • 해양 식물플랑크톤 일차생산력의 전 지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자료 처리상의 어려움 때문에 국내에서는 신뢰할만한 자료가 많지 않다. 식물플랑크톤 일차생산력은 시간-수심 적분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단위 면적당 하루 일차생산력을 구하지만, 시간 적분에 대한 연구결과는 많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에서는 단위 시간당 일차생산력을 시간 적분하여 하루 일차생산력을 계산하는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새만금호를 대상으로 모델의 실효성을 검정해 보았다. 검정 결과, 시간 적분 모델이 일사량 실측치를 대입하여 합산한 결과와 잘 일치하였다. 일차생산력 계산을 위한 기초 광량 자료는 변화가 심한 일 자료보다 한 달 또는 한 주간 평균 자료를 대입하는 것이 더 신뢰성 있는 결과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일차생산력 수직적분은 수직적으로 불균일한 식물플랑크톤 분포 때문에 어려움이 있으나, 엽록소 분포를 몇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수식화한 다음, 각 수식을 시간 적분한 일차생산력 모델과 합성하여 적분하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새만금 간척사업 후 주민의 삶 (Human Life in Saemangeum after Reclamation)

  • 함한희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13-326
    • /
    • 2010
  • 1991년에 시작된 새만금 간척사업으로 인한 주변 어촌마을의 변화를 연구하였다. 새만금 사업은 시대에 뒤떨어진 개발논리에 의해 시작되었기 때문에 적절하지도 효과적이지도 못하다. 간척사업으로 인해 수많은 종류의 해양생물자원들이 사라졌으며 어부들은 이로인한 고통을 겪어야 했다. 가장 큰 문제는 어로활동 제약으로 인해 생계유지가 곤란해진 것이다. 어부들에게 수산자원은 가장 소중한 자산이며 보물상자이고 예금통장이다. 간척사업 시작부터 지금까지 정부는 어부들의 생활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이는 한국의 전통적인 중앙집권적 의사결정의 결과다. 최근까지도 정부는 간척사업의 목적이 농지를 확보하는 것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았다. 2009년 7월 23일에 새만금 신개발계획이 발표됐다. 신계획은 구계획과는 달리 산업단지 조성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어촌주민들의 삶은 이미 상당히 피폐된 상태다. 대부분 어촌마을은 더 이상 어로활동에 의존할 수 없는 상황이다. 많은 어부들이 새로운 직장을 구하거나 다른 어촌에서 어로활동을 계속하기 위해 고향을 떠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