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obacillus pentosus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3초

저염 물김치의 미생물균총 특성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Low Salt Mul-kimchi)

  • 오지영;한영숙;김영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502-508
    • /
    • 1999
  • 염 농도$(0{\sim}3%)$와 발효 온도$(4,\;15,\;25^{\circ}C)$를 달리 하였을 때 물김치의 미생물 균총의 특성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무 물김치의 경우 총 균수는 숙성온도가 높을수록, 염 농도가 낮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나, 배추 물 김치의 경우 염 농도별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Lactobacillus, Lenconostoc 속 균수는 염 농도 1.0% 숙성 김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배추 물김치는 $4^{\circ}C$에서 염 농도 3.0% 시료가 가장 낮은 값을 보였으며, 그 외 시료들은 온도별, 염 농도별 큰 차이가 없었다. Streptococcus 속과 Pediococcus 속은 Leuconostoc, Lactobacillus속 보다 낮은 분포를 보였고, 염 농도 1.0% 숙성 김치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배추 물김치에서도 같은 경향을 보여주었다. 대장균수와 Gram (-)균수는 염 농도 3.0% 김치가 균수도 적었고 초기에 증가하였다가 젖산균이 증식하여 산도가 증가하면 그 수가 감소되었다. 효모는 발효 초기에는 발견되지 않다가 발효 후기에 증가하였으며 온도와 염 농도가 높을수록 균수가 증가하였다. 배추 물김치에서도 $15,\;25^{\circ}C$에서 염 농도가 높은 시료에서 비교적 높게 계수되어 무 물김치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나 배추 물김치의 경우 초기부터 효모가 계수되어 주재료간 차이를 보였다. 각각의 선택배지에서 순수분리, 동정된 균은 무 물김치의 경우 젖산균류는 염 농도 0.2% 김치에서는 Lactobacillus plantarum, L. pentosus, Leuconostoc citrum, 염 농도 1.0% 김치에서는 L. plantarum, L. pentosus, Leu.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eptococcus facium이 동정되었고, 염 농도 3.0% 김치에서는 L. plantarum, L. brevis, Leu. 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 facium이 각각 분리 동정되었으며 Pediococcus는 미확인되었다. Gram (-)균과 효모는 공통적으로 Gram (-)균으로는 Aeromonas hydrophila, 효모로는 Candida pelliculosa가 각각 분리 동정되었다. 배추 물김치의 경우 Lactobacillus plantarum, Leuconostoc citrum, Leu. mes.ssp.mesenteroides/dextranicum, Streptococcus facium이 동정되었으며, Pediococcus는 역시 미확인되었다. Gram (-)균은 Pseudomonas fluorescens, Pseu. aureofaciens가 각각 분리 동정되어 주재료간 차이를 보여주었다.

  • PDF

유산균발효애엽이 독성물질들로 유발된 대식세포의 일산화질소생성 감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actobacillus pentosus-Fermented Artemisiae Argi Folium on Nitric Oxide Production of Macrophage impaired with Various Toxicants)

  • 박완수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89-96
    • /
    • 2009
  • 목적:이 연구의 목적은 유산균발효애엽 물추출물이 에탄올 등으로 약화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애엽을 유산균으로 발효시켜 시료(AFL)를 만들고 만들어진 시료를 10, 50, 100, 200, 400 ug/mL의 농도로 에탄올, 갈릭산, 아세트아미노펜, 아세트알데히드, 니코틴과 함께 24시간동안 마우스 대식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 NO 생성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결과:1. AFL은 400 ug/mL의 농도에서 갈릭산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2. AFL은 200, 400 ug/mL의 농도에서 에탄올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3. AFL은 400 ug/mL의 농도에서 니코틴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4. AFL은 200, 400 ug/mL의 농도에서 아세트아미노펜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5. AFL은 200, 400 ug/mL의 농도에서 아세트알데히드에 의한 마우스 대식세포의 NO생성억제를 유의하게 회복시켰다. 결론:유산균발효애엽추출물(AFL)은 에탄올, 갈릭산, 니코틴, 아세트알데히드, 아세트아미노펜 등에 의해 약화된 대식세포의 NO생성을 회복시킴으로서 다양한 독성물질에 의하여 약화되는 식세포의 항병능력을 회복시키는 면역강화물질로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

Lactobacillus plantarum을 이용한 산양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 Rg1 및 Rg5의 함량 증대 (Enhancement of Ginsenoside Rg1 and Rg5 Contents in an Extract of Wood-cultivated Ginseng by Lactobacillus plantarum)

  • 권훈주;조윤지;김명동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05-310
    • /
    • 2017
  • 발효식품으로부터 분리한 젖산균 중 ${\alpha}$-rhamnosidase 효소활성을 보유한 젖산균 12점을 선별하였다. 효소활성이 우수한 Weissella confuse 1점, L. pentosus 1점과 효소활성이 우수하였던 4점의 L. plantarum 균주를 사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b1과 Re를 Rg1, Rg5로 각각 생물전환하였다. L. plantarum MBE/L2990 균주를 사용한 생물전환반응에서 Rg1과 Rg5의 함량이 각각 0.58 mg, 0.24 mg 가량 증가하였으며, 대조구로 사용한 L. plantarum KCTC21004 균주에 비해 약 56% 및 42% 우수한 생물전환 효율이었다. L. plantarum MBE/L2990 균주는 한국미생물자원센터에 KCTC18529P로 기탁하였다.

발효법제에 의한 감초의 Flavonoid 무배당체의 생산 (Production of Flavonoid Aglycone from Korean Glycyrrhizae Radix by Biofermentation Process)

  • 나인수;박민주;노종훈;민진우;방면호;양덕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69-574
    • /
    • 2008
  • The GUE6 was isolated from ethyl acetate fraction of Glycyrrhiza uralensis and confirmed as liquiritin. Liquiritin(LQ) treated with ${\beta}$-glucosidase from plant(Prunus dulcis) and bacteria(Lactobacillus pentosus) crude enzymes. The ${\beta}$-glucosidase activities of crude enzymes were 229.8 U/g(Prunus dulcis) and 19.17 U/ml(Lactobacillus pentosus), respectively. Liquiritin(LQ) biotransformed into liquiritigenin(LQG) by ${\beta}$-glucosidase from crude enzymes. The EtOAc fraction(GUE6) and the converted product were identified as liquiritin and liquiritigenin, by TLC chromatogram, $^{1}H$-NMR and $^{13}C$-NMR.

Aflatoxin B1에 대한 유산균의 결합력에 영향을 미치는 배양조건과 물리화학적 인자 (Incubation Conditions and Physico-Chemical Factors Affecting Aflatoxin B1 Binding of Lactic Acid Bacteria)

  • 임성미;안동현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3-261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숙성된 된장으로부터 분리된 유산균에 의한 aflatoxin $B_1$의 결합 정도를 배양조건에 따라 측정하였고, 물리화학적 처리조건이 aflatoxin $B_1$에 대한 유산균 세포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Enterococcus faecium DJ22, Lactobacillus fermentum DJ35, Lactobacillus rhamnosus DJ42 및 Lactobacillus pentosus DJ47는 19.3-52.1% 정도의 aflatoxin $B_1$ 결합 효과를 나타내어 균종에 따라 결합력에 차이가 있었다. 하지만 E. faecalis DJ14, Lactobacillus panis DJ29 및 Pediococcus halophilus DJ50 균주는 aflatoxin $B_1$에 대한 결합력을 나타내지 않았다. Aflatoxin $B_1$에 대한 유산균의 결합력과 결합속도는 독소의 농도, 반응시간 및 온도와 초기 세포수 등의 배양 조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Aflatoxin $B_1$의 결합력은 세척 횟수에 따라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감소율은 살아있는 세포와 가열 처리한 세포에서 비슷하게 나타났다. 가열, 산성 pH, ${\alpha}$-amylase, protease, lysozyme 혹은 sodium metaperiodate의 처리에 의해 결합력이 유의하게 감소된 것으로 보아 주로 세포벽에 존재하는 당이나 단백질에 aflatoxin $B_1$이 결합되며, urea의 처리에 의해 결합력에 낮아지는 것은 이들 사이에는 소수성 결합이 작용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김치로부터 Lactobacillus sakei 생육저해 Leuconostoc 및 Weissella 속 균주의 분리 (Isolation of Leuconostoc and Weissella Species Inhibiting the Growth of Lactobacillus sakei from Kimchi)

  • 이광희;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75-181
    • /
    • 2011
  • Kimchi is a group of traditional fermented vegetable foods in Korea and known to be the product of a natural mixed-fermentation process carried out principally by lactic acid bacteria (LAB). According to microbial results based on conventional identification, Leuconostoc mesenteroides and Lactobacillus plantarum were considered to be responsible for the good taste and over-ripening of kimchi, respectively. However, with the application of phylogenetic identification, based on 16S ribosomal RNA gene similarities, a variety of Leuconostoc and Lactobacillus species not detected in the previous studies have been isolated, together with a species in the genus Weissella. Additionally, Lactobacillus sakei has been accepted as the most populous LAB in over-ripened kimchi. In this study, Leuconostoc and Weissella species inhibiting the growth of Lb. sakei were isolated from kimchi for future applications to do with kimchi fermentation. From 25 kimchi samples, 378 strains in the genera Leuconostoc and Weissella were isolated and 68 strains identified as Lc. mesenteroides, Lc. citreum, Lc. lactis, W. cibaria, W. confusa, and W. paramesenteroides exhibited growth inhibition against Lb. sakei. Most of the strains also had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Lb. brevis, Lb. curvatus, Lb. paraplantarum, Lb. pentosus, and Lb. plantarum. Their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Lb. sakei were more remarkable at lower temperatures of incubation.

가축 소화기 병원성 세균을 저해하는 유산균의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hibiting Gastro-intestinal Pathogenic Bacteria of Domestic Animal.)

  • 이재연;황교열;김현수;김근;성수일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129-134
    • /
    • 2002
  • 토종닭 소장으로부터 가축 소화기 병원성 유해세균의 분리를 위하여 무작위 선별법과 중층-도말법을 사용하여 총130주의 유산균을 1차 분리하였다. 1차 분리한 130주를 paper disc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살모넬라 균, 포도상구균, 대장균에 대하여 저해능이 우수한 7주를 분리하였다. 분리 균주의 동정을 위하여 1차로 API CHL kit를 사용하였고, 동정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하여 2차로 16S rRNA sequenc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BD14 균주는 Pediococcus pentosaceus로 동정되었으며 나머지 6주는 Lactobacillus sp.로 동정되어 모두 안전성 있는 유산균임을 확인하였다. 여러 병원균에 가장 항균력이 큰 유산균은 L. pentosus K34이었으며, 이 유산균은 염산과 담즙산에 대한 내성에서도 가장 우수한 균주로 나타났다. 10종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을 조사한 결과 ciprofloxacin에 대하여 모든 균주가 내성을 보였고, BL 균주를 제외하고 모든 균주가 colistin, streptomycin에 대하여 내성을 보였다. 또한 BD14, BD16, K34 균주가 gentamicin에 대한 내성을 보였다.

Enzymatic 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Rb1 by Lactobacillus pentosus Strain 6105 from Kimchi

  • Kim, Se-Hwa;Min, Jin-Woo;Quan, Lin-Hu;Lee, Sung-Young;Yang, Dong-Uk;Yang, Deok-Chun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6권3호
    • /
    • pp.291-297
    • /
    • 2012
  • Ginsenoside (ginseng saponin), the principal component of ginseng, is responsible for the pharmacological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inseng. We isolated lactic acid bacteria from Kimchi using esculin agar, to produce ${\beta}$-glucosidase. We focused on the bio-transformation of ginsenoside. Phylogenetic analysis was performed by comparing the 16S rRNA sequences. We identified the strain as Lactobacillus (strain 6105). In order to determine the optimal conditions for enzyme activity, the crude enzyme was incubated with 1 mM ginsenoside Rb1 to catalyse the reaction. A carbon substrate, such as cellobiose, lactose, and sucrose, resulted in the highest yields of ${\beta}$-glucosidase activity. Biotransformations of ginsenoside Rb1 were analyzed using TLC and HPLC. Our results confirmed that the microbial enzyme of strain 6105 significantly transformed ginsenoside as follows: Rb1${\rightarrow}$gypenoside XVII, Rd${\rightarrow}$F2 into compound K. Our results indicate that this is the best possible way to obtain specific ginsenosides using microbial enzymes from 6105 culture.

RecA 유전자 특이적 PCR을 이용한 전통 침채류 유래 유산균의 검출 (PCR-Based Detection of Lactic Acid Bacteria in Korean Fermented Vegetables with recA Gene Targeted Species-Specific Primers)

  • 심상민;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96-100
    • /
    • 2008
  • recA 유전자를 특이적으로 증폭하는 PCR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전통 침채류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의 다양성을 검토해 보았다. 김치에서 많이 검출되는 유산균 7종 및 대조군으로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검출할 수 있는 특이적 PCR primer pair을 이용하여 전통 침채류 5증(갓김치, 동치미, 배추김치, 오이소박이, 총각김치로부터 추출한 DNA를 template로 PCR을 수행한 결과, 5종의 침채류 모두에서 Lactobacillus plantarum과 Lactobacillus sakei가 검출되었지만, Lactobacillus paraplantarum, Lactobacillus pentosus와 대조군인 Lb. acidophilus는 검출되지 않았다. Lactobacillus brevis와 Leuconostoc citreum은 배추김치에서만 검출되었으며, Leuconostoc mesenteroides의 경우 갓김치, 동치미, 배추김치, 오이소박이에서 검출되었다. 주재료의 종류에 따라서 발효에 관여하는 유산균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며, Lb. plantarum과 Lb. sakei가 우리나라 침채류 발효에 가장 널리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Lactobacillus pentosus에 의한 발효 전후 마가목 가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Matrix Metalloproteinases 발현 억제 효과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Matrix Metalloproteinases Inhibitory Effects of Sorbus commixta Twig Extracts before and after Fermentation with Lactobacillus pentosus)

  • 박영민;박소현;차미연;강희철;박수남
    • 공업화학
    • /
    • 제28권6호
    • /
    • pp.696-70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마가목 가지 비발효 추출물과 발효균주 Lactobacillus pentosus를 이용하여 발효시킨 발효 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 및 MMPs 발현 억제 효과를 조사하고 유효 성분을 분석하였다. 마가목 가지 비발효 추출물과 발효 추출물의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FSC_{50}$)에서 비발효 추출물은 $41.0{\mu}g/mL$, 발효 추출물은 $58.2{\mu}g/mL$이었다. $Fe^{3+}-EDTA/H_2O_2$계에서 활성산소 소거 활성($OSC_{50}$)은 각각 2.6, $3.0{\mu}g/mL$로 나타났다.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세포내 활성산소 소거활성은 $10{\mu}g/mL$에서 각각 35.3, 40.2%를 나타났다. 진피 섬유아세포에서 MMPs (MMP-1, MMP-2 및 MMP-3) 발현은 $10{mu}g/mL$에서 비발효 추출물은 각각 68.3, 35.0 및 24.2%이었고, 발효 추출물은 각각 84.3, 70.5 및 69.2% 억제되었다. 마가목 발효 전후 추출물의 성분 변화는 TLC, HPLC 및 LC/ESI-MS/MS를 이용하였다. 그 결과, caffeic acid, (-)-epicatechin, isoquercitrin 및 quercetin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L. pentosus를 이용한 마가목 가지 발효 추출물은 비발효 추출물보다도 ROS 소거 활성이 크게 나타났고 또한 MMPs 발현 억제 효능도 보여주었다. 따라서 마가목 가지 발효 추출물은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