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ctic acid production

검색결과 1,045건 처리시간 0.028초

Conversion of Unsaturated Food Fatty Acids into Hydroxy Fatty Acids by Lactic Acid Bacteria

  • Kim, Myung-Hee;Park, Mee-Seung;Chung, Chang-Ho;Kim, Cheong-Tae;Kim, Youn-Soon;Kyung, Kyu-Ha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3권3호
    • /
    • pp.360-365
    • /
    • 2003
  • The ability of 19 lactic acid bacteria to produce hydroxy fatty acids (HFAs) from unsaturated food fatty acids (USFAs) was tested. HFAs are related to human ailments, including steatorrhea. All the cultures produced HFAs from USFAs, unless their growth was inhibited by free USFAs.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KFRI 131 converted oleic, linoleic, and linolenic acid into 10-hydroxyoctadecanoic acid (10-HODA), 10-hydroxyoctadecaenoic acid (10-HODEA), and 10-hydroxyoctadecadienoic acid (10-HODDEA), respectively. Both a USFA and a surfactant were needed for the bacterium to convert the fatty acid into the corresponding HFA. It was apparent that the production of 10-HODA was growth-related, while that of 10-HODDEA was not. It was unclear whether the production of 10-HODEA was growth-related.

시판용 요구르트와 Lactobacillus acidophilus 요구르트의 생화학적 활성의 비교 (Comparison of the Biochemical Activities of Commercial Yogurts and Lactobacillus acidophilus-containing Yogurt)

  • 류재기;이형선;구본경;김현경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59-64
    • /
    • 2015
  • Lactobacillus spp.같은 유산균은 탄수화물을 발효하여 ATP를 생성하며, 시판되는 요구르트 생산에 이용되고 있다. Lactobacillus spp.는 장관계 건강에 유익한 균으로, 특히 Lactobacillus acidophilus를 함유하는 요구르트는 대장암 초기단계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형 요구르트와 액상 요구르트, 그리고 Lactobacillus acidophilus 세 그룹의 유산균을 배양하였다. 먼저 Lactobacillus spp.의 최적의 배양조건을 조사하였고 세 그룹의 생장능과 젖산생성을 비교하기 위해 혼탁도와 pH를 측정하였다. 배양 상층액의 젖산을 비교하기 위해 HPLC를 시행하였으며 Staphylococcus aureus와 Escherichia coli에 대한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Lactobacillus spp.의 최적의 배양조건은 $25^{\circ}C$의 온도로 MRS배지에서 24시간 배양이었다. 혼탁도와 젖산 생성은 L. acidophilus가 가장 높았고 액상 요구르트, 고형 요구르트 순으로 나타났다. Paper disk법을 이용한 항균력 시험에서는 S. aureus에 대해서는 세 그룹 모두 항균력이 없었으며 E. coli에 대해서는 L. acidophilus에서 1.8 mm의 억제대를 보였다. 이 연구결과로 L. acidophilus는 높은 젖산 생성 능력과 항균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Continuous Cultivation of Lactobacillus rhamnosus with Cell Recy-cling Using an Acoustic Cell Settler

  • Yang, Yun-Jeong;Hwang, Sung-Ho;Lee, Sang-Mok;Kim, Young-Jun;Koo, Yoon-Mo
    •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BBE
    • /
    • 제7권6호
    • /
    • pp.357-361
    • /
    • 2002
  • Continuous production of lactic acid from glucose by Lactobacillus rhamnosus with cell recycling using an acoustic cell settler was carried out. The performance of the system, such as the concentration of cell and product were compared with the control experiment without recycling. The acoustic settler showed cell separation efficiency of 67% during the continuous operation and the cell concentration in the fermentor with recycle exceeded that of the control by 29%. Com-pared with the control, tactic acid production was increased by 40%, while glucose consumption was only increased by 8%. The higher value of lactic acid production to substrate consumption (Yp/s, product yield coefficient) achieved by cell recycling is interpreted to indicate that the recycled cell mass consumes less substrate to produce the same amount of product than the control Within system environmental changes due to the longer mean cell residence time induced the cells maintaining the metabolic pathways to produce Less by-Product but more product, lactic acid.

가루녹차가 요구르트 균주의 증식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een Tea Powder on Growth of Lactic Culture)

  • 정다와;남은숙;박신인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25-333
    • /
    • 2005
  • 가루녹차를 첨가한 기능성 요구르트를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 가루녹차의 농도별 첨가가 요구르트 균주의 증식 및 산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루녹차를 첨가한 skim milk 배지에 Streptococcus thor-mophilus,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casei 를 단독 균주 및 혼합 균주로 접종하여 배양하면서 생 균수와 pH 및 적정산도를 측정하였다. 단독균주의 경우 가루녹차의 첨가 농도($0.5\%,\;1.0\%,\;1.5\%,\;2.0\%\;and\;2.5\%$)를 달리하였을 때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는 가루녹차 첨가에 의해 증식 효과는 아주 미비하였으나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배양 9시간부터 가루녹차 첨가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높은 균수를 보이며 약간의 생육 촉진 효과를 보였고, 배양 12시간부터 pH가 하락하였고 적정산도는 상승하였다. 그러나 가루녹차의 첨가량에 따른 생육과 산 생성 정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혼합 균주의 경우, 단독균주로 배양하였을 때보다 가루녹차에 의한 유산균의 증식이 촉진되었다.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acidophilus는 가루녹차 $0.5\%$$1.0\%$ 첨가시, 배양 15시간 후에 각각 $1.5\times10^9$ CFU/mL, 또한 Streptococcus thermophilus와 Lactobacillus casei는 가루녹차 $0.5\%$ 첨가시 배양 12시간 후 $1.4\times10^9$ CFU/mL, $1.0\%$ 첨가시에는 배양 15시간 후에 $1.5\times10^9$ CFU/mL로 최대 균수를 나타내었으며, pH 저하와 적정산도 상승이 뚜렷하였다. 따라서 가루녹차 첨가 기능성 요구르트 제조시 가루녹차를 $0.5\~l.0\%$ 첨가하여 유산균을 혼합균주로 사용하는 것이 이들 유산균의 증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밤 용액의 젖산발효 (Lactic Acid Fermentation of Chestnut Broth)

  • 진효상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162-168
    • /
    • 2001
  • 분변과 요구르트에서 10주의 젖산균을 분리하여 이중 6주는 Bifidobactria로 4주는 Lactobacilli로 동정하였다. 이들은 이용하여 8% 증숙밤용액을 발효시켰을 때 발효액의 산도는 요구르트보다는 낮았으나 두유를 비롯한 식물성 요구르트보다는 2배이상 높았다. 산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Yeast extract 와 tryptone peptone를 첨가할 때 0.2%와 0.4%의농도에서 가장 높았다. 포도당을 0.5-0.8% 범위의 첨가하였을 때 lactobacilli에 의한 발효액에서는 산생성이 촉진되었으나. bifidobacteria 에서는 그렇지 않았다. 시험된 과일과 채소즙 중에서는 당근즙의 첨가가 가장 큰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다. 25% 밤용액에서는 고지추출액에 의한 가수분해는 젖산생성을 크게 촉진하였으나 가수분해하지 않은 8% 밤용액에서는 젖산생성량과 비교하였을 때 산생성 순증가량은 그다지 크지 않았다.

  • PDF

전분의 첨가가 호상요구르트에서 젖산균의 산생성과 요구르트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tarch Addition on Acid Production By Lactic Acid Bacteria and Quality of Curd Yogurt)

  • 엄성신;유지창;고영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747-752
    • /
    • 1993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탈지분유 또는 4종의 전분(쌀전분, 밀전분, 옥수수전분, 감자전분)을 각각 첨가하고 젖산균(Lactobacillus 4종)으로 발효하여 호상의 요구르트를 만든 후, 전분의 첨가가 젖산균의 산생성 및 요구르트의 품질(점도, 관능성, 휘발성 향기 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전분의 첨가로 젖산균의 산생성이 대조군(우유로만 만든 요구르트)보다 현저하게 촉진되었으며, 접종된 4종의 젖산균 중에서는 L. jugurti의 산생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전분이 첨가된 호상요구르트의 점도는 대조군보다 대체적으로 유의성있게 높았다(p<0.05). 호상요구르트는 전단속도를 증가시킴에 따라 점도가 감소하였으며 thixotropic flow의 특성을 나타냈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옥수수전분 첨가시료와 쌀전분 첨가시료가 표준시료보다 다소 우수하였고 감자전분 첨가시료가 가장 저조하였다. GC에 의한 휘발성 향기 성분 분석에서는 호상요구르트에 함유된 휘발성분 가운데 acetaldehyde, acetone, ethanol 및 butanol의 4가지 성분이 확인되었다.

  • PDF

Microb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the Traditional Steeping Process of Waxy Rice for Yukwa (a Korean Oil-Puffed Snack) Production

  • Chun, Hyang-Sook;Lee, Myung-Ki;Kim, Hyun-Jung;Chang, Hyun-Joo
    • Preventive Nutrition and Food Science
    • /
    • 제9권2호
    • /
    • pp.113-120
    • /
    • 2004
  • Selected microb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teeping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yukwa, a traditional Korean oil-puffed snack made of waxy rice, were investigated during steeping of waxy rice in water for 15 days. The lengthy steeping process was largely predominated by lactic acid bacteria (LAB), particularly, Lactobacillus and Leuconostoc. The predominat type of bacterium isolated was the Y26 strain tentatively identified as Lactobacillus plantarum. The titratable acidity of the steeping medium increased from 0.01 to 1.13%, in parallel with the decrease in pH ranging from 6.3 to 4.2 as the steeping period increased from 0 to 15 days. A high amount of lactic acid and to a much lesser extent, butyric acid, acetic acid, propionic acid, and succinic acid were detected during the steeping process. The amount of reducing sugars in the steeping medium increased from 0.61 to 10.43 mg/mL, whereas sucrose decreased from 0.46 mg% to an undetectable level. Starch degradation products including glucose, maltose and oligosaccharides ranging G3-G7 were not initially noticed, but their content increased during the steeping process until completion. However, no oligosaccharides larger than G8 were detected in the steeping medium. The activities of $\alpha$-amylase, $\beta$-amylase and protease in the steeping medium of waxy rice tended to rise increase with time during the steeping process. From these results, the lengthy steeping process in yukwa production can be characterized as the spontaneous fermentation, dominated by lactic acid bacteria, which is a necessary process for inducing biochemical modification of waxy rice.

B. amyloliquefaciens 세포 성장에 미치는 포도당과 맥아당 농도의 영향에 관한 연구 (Effects of Concentrations of Glucose and Maltose on the Growth of Bacillus amyloliquefaciens)

  • 차월석;박승규김종수
    • KSBB Journal
    • /
    • 제9권4호
    • /
    • pp.428-435
    • /
    • 1994
  • 탄소원으로 초기 glucose 농도와 초기 maltose 농도를 5g/$\ell$, 109/$\ell$, 20g/$\ell$ 로 한 후 Bacillus a amyloliquefaciens(ATCC 23350 ) 균주를 이용하여 플라스크 배양시의 세포 성장과 생성물 생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균주의 최대 건조세포농도는 초기 maltose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나, glu­c cose에서는 초기 농도가 109/$\ell$일 때 가장 높았다 최대 비성장속도는 초기 glucose농-토가 109/$\ell$ 일 때 $0.060(hr^{-1})$로 가장 높으며, maltose에서는 초기 농도가 5g/P 얼 때 $0.042(hr^{-1})$이였다. 균주에 의해 생성되는 최대 a-amylase 생산은 초기 maltose 농도가 109/P 얼 때 l49.0unit/ml로 가장 높았으며, 초기 maltose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최대 비생성속도는 초기 maltose 농도가 5g/$\ell$ 일 때 3.26unit/ mg- hr로 가장 높았으며 , glucose보다는 maltose에서 더 높았다. 균주에 의해 생성되는 최대 ${\alpha}$-acetic acid는 탄소원의 초기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며, 초기 glucose 농도 109/$\ell$ 일 때 0.94g/$\ell$ 로 가장 많이 생성되였고, lactic acid는 탄소원의 초 기 농도가 증가할수록 증가하였으며, 초기 maltose 농도가 20g/$\ell$일얼 때 8.20g/$\ell$ 로 가장 많이 생성되였 다.

  • PDF

Effect of Moisture Content and Storage Periods on Nutrient Composition and Organic Acids Change in Triticale Round Bale Silage

  • Ilavenil Soundharrajan;Jeong-Sung Jung;Hyung Soo Park;Hyun Jeong Lee;Ouk‐Kyu Han;Ki-Choon Choi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4호
    • /
    • pp.270-275
    • /
    • 2022
  • Livestock production costs are heavily influenced by the cost of feed, The use of domestically grown forages is more desirable for livestock feed production. As part of this study, triticale, which is an extremely palatable and easily cultivable crop in Korea, was used to produce low moisture silage bales with lactic acid bacteria (LAB) and then stored for different periods. We examined the nutrient content of silage, such as crude protein (CP), acid detergent fiber (ADF) and neutral detergent fiber (NDF), as well as their organic acids, including lactic acid, acetic acid, butyric acid, at different storage periods. The nutrient content of silages, such as crude protein, ADF, and NDF, did not change significantly throughout storage periods. Organic acid data indicated that lactic acid concentrations increased with increasing moisture contents and storage periods up to nine months. However, further extending storage to 12 months resulted in a reduction in the lactic acid content of all silages as well as an increase in their pH. Based on the present results, it suggested that the production of low moisture silage with the LAB may be able to preserve and maintain its quality without altering its nutritional composition. Also, the lactate content of the silage remained significant for at least nine months.

난백분말 첨가 우유에서 젖산균의 산생성, 요구르트의 관능성 및 휘발성 향기 성분의 경시적인 변화 (Changes in Acid Production, Sensory Properties of Yogurt and Volatile Aroma Compounds during Lactic Fermentation in Milk added with Egg White Powder)

  • 고영태;경현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12-617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우유에 난백분말을 첨가하고 Lactobacillus acidophillus로 30시간까지 발효시키면서 난백분말 첨가 우유에서 젖산균의 생육과 산생성, 요구르트의 관능성, 휘발성 향기성분의 경시적인 변화를 조사하였다. 난백분말이 첨가된 우유에서 젖산균의 산생성은 30시간까지 완만하게 증가하고, pH는 서서히 저하하며, 생균수는 9시간을 전후로 하여 stationary phase에 도달하였다. 한편 우유에 첨가된 난백분말은 젖산균의 산생성을 촉진시키며 이와 같은 촉진 효과는 1%보다 2%가 다소 높았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우유에 난백분말 2%를 첨가하고 젖산균으로 발효시켜 만든 호상요구르트의 적정 발효 시간은 15시간 전후였다. GC에 의한 휘발 성분 분석의 결과를 보면 acetone과 butanol은 30시간까지 점차적으로 감소하고, ethanol을 30시간까지 증가하고, diacetyl과 acetoin은 접종 직후에는 존재하지 않았으나 각각 6시간과 9시간에 처음 탐지되어 30시간까지 증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