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or Movement

검색결과 131건 처리시간 0.031초

한국 노동운동의 뉴 패러다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New Paradigm of Korea Labor Movement)

  • 박민생;변상우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5권
    • /
    • pp.407-428
    • /
    • 2008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a new paradigm of Korea labor movement so that Korea labor union may adapt itself to change of labor environment and raise its organizing rate. Examining assignments to have to practice for a new paradigm of a labor union in the 21st century. First, common industrial relations should be constructed. To achieve it, it is necessary that labor and management have a strong partnership as a group sharing common destiny on the basis of mutual confidence. Second, unionism in the side of social reform should be settled down. Labor and capital should grope coexistence and co-prosperity through conversation and negotiation, escaping from opposition and fighting. Third, service function of a labor union should be strengthened. A labor union should offer service as pursuit of diversity, self-management and autonomy in work for laborers. Fourth, labor and management should try to stabilize industrial relations followed by industrial-level negotiations. Fifth, labor and management should try to develop human resources in cooperation between the two. Labor and management should participate in developing human resources on the basis of cooperation. If a labor union has a positive practice for a new paradigm of labor movement as above and recognition about a labor union is changed, industrial relations will realize more developmental relation.

  • PDF

1987년 이후 민주노조운동의 동학 (Dynamics of Democratic Labor Union Movement since 1987 in South Korea)

  • 조효래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1호
    • /
    • pp.29-64
    • /
    • 2018
  • 이 글은 민주노조운동의 성장과 쇠퇴의 동학을 운동의 '제도적 통합'을 둘러싼 투쟁과 갈등, 이후 정치적 기회의 변화 속에서 노사관계 '제도의 변형'과 유연안정성의 범위를 둘러싼 행위자들의 복잡한 상호작용이라는 시각에서 검토한다. 민주노조운동의 '제도적 통합'을 위한 협상은 불확실하고 유동적인 상황에서 1997-98년 노동법으로 마무리되었다. 이후 1997년 노동법 제도의 변형을 위한 투쟁과 갈등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었고, 이는 노사관계 제도화게임과 유연안정성 게임의 형태를 띠었다. 그러나 이미 형성된 노동법체계는 제도의 지속적 영향과 경로의존성을 보여주었다. 2008년 이후 운동의 사이클은 쇠퇴국면에 접어들었다. 운동의 쇠퇴는 운동 제도화 및 정치적 기회의 변화와 관련이 있고, 장기적으로 운동주체의 세대 변화와 맞물려 있다. 이제 민주노조운동의 과제는 민주노조운동이 새로운 집합적 정체성의 성장에 어떤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인가에 모아지고 있다.

노동운동의 새로운 시도 혹은 제도적 포섭? 비정규노동센터의 성과와 과제 (A New Experiment or Institutional Subsumption? The Outcomes and Tasks of Contingent Worker Center for Korean Labor Movement)

  • 노성철;정흥준;이철
    • 산업노동연구
    • /
    • 제24권2호
    • /
    • pp.137-179
    • /
    • 2018
  • 노동시장의 이중화에 직면하여 노동조합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기존의 노동운동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함께 새로운 노동운동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다. 그 중 하나로 본 연구는 노동자지원센터, 노동인권센터, 비정규센터 등 다양한 이름으로 활동하고 있는 지역의 비정규노동단체에 주목하여 이들 조직이 어떤 경로를 통해 성장 발전해 왔으며 어떻게 외연을 확장할 수 있었는지, 정체성은 무엇인지를 심층적으로 다룬다. 이 글의 핵심적인 내용은 비정규노동단체의 성장과 발전을 통시적인 접근법을 통해 비정규운동을 둘러싼 제도적 맥락의 변화와 그에 따른 운동의 특성 변화 및 정체성 형성의 과정을 재구성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비정규노동센터운동이 시기적으로 기존 운동으로부터의 차별화, 탈정당화, 네트워크를 매개로 한 복합화과정 등 크게 3단계로 진화해 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아가 각 과정에서 비정규노동센터들 사이의 내적관계 그리고 이들이 기존의 노사관계행위자들과 맺는 운동외적관계를 분석적으로 고찰할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는 최근 주목받고 있는 비정규노동센터운동의 이론적 함의 및 비정규 노동운동의 성공적 사례로 남을 수 있을지 아니면 또 다른 실패로 귀결될 것인지를 토론하였다.

청년층 취업자 및 미취업자 노동시장 이동 연구 (A Study on the Movement of the Young Employed and Unemployed in the Labor Market)

  • 장유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5호
    • /
    • pp.307-313
    • /
    • 2022
  • 우리나라 청년층에서는 경제활동참가와 실업이 동시에 나타나면서 더욱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어 노동시장이동에 대한 연구는 청년층의 실업을 극복하기 위한 연구라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고용패널 중 청년패널조사 자료를 통해 청년층 취업자와 미취업자의 노동이동이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살펴보고, 취업자와 미취업자의 이동 경로와 이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취업자의 경우 전문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었고, 안정적이지 않은 종사상 지위의 경우 취업 후에도 안정적인 지위 변화를 위해 노동이동 노력하였으며, 정규직이어도 적성과 일치하지 않으면 비정규직을 택하기도 하였으며, 평균임금이 노동이동의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미취업자의 경우 일자리 경험이 없거나, 구직활동기간이 길어질수록, 취업노력을 하지 않을수록 미취업 가능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미취업의 경우개인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도 중요하지만 동시에 부모의 학력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가정환경이 직·간접적으로 노동시장 이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은 여전하였다. 한편 학력이 높을수록 안정형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도권지역에 안정형이 가장 많았다. 이는 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의 산업체, 지역대학의 유기적인 관계를 통한 지역노동시장의 활성화 전략이 지역균형발전과 더불어 어느 때 보다 시급하게 모색되어야 한다.

노동개혁국면에 있어 노조운동의 대응전략에 관한 평가: 박근혜정부의 노동시장 구조개혁에 대한 양노총의 대응을 중심으로 (Evaluating the Strategic Reaction of Labor Union Movement toward Labor Reforms: The Two National Centers' Reaction toward Park, Guen-Hye Government's Labor Market Restructuring)

  • 이병훈
    • 한국사회정책
    • /
    • 제23권1호
    • /
    • pp.1-23
    • /
    • 2016
  • 이 글에서는 박근혜 정부가 적극적으로 추진해온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둘러싼 노동정치의 국면에서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보여온 정책대안과 활동전략을 중심으로 우리 노조운동의 전략적 역량을 검토하며 비판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정부 주도의 노동시장유연화 정책이 계획대로 성사된 것은 아니지만, 노동계가 그들이 바라는 고용안정성을 강화하는 진보적인 노동개혁을 관철시키는'파워의 역설'을 이뤄내지 못하였을 뿐 아니라 정부의 개혁정책에 대해 전략적 역량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였다. 특히, 양노총은 조합원대중의 결집된 동원(조직연대자원)과 시민사회 친노동정치 세력과의 광범한 연대(연결망자원), 우호적 지지여론의 확보-강화(담론자원), 그리고 활동체계 조직자원 등의 효능적 집행(인프라자원)을 이뤄낼 수 있는 전략적 역량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해온 것으로 평가된다. 노동시장 구조개혁을 둘러싼 노동정치에 있어 행사되는 노조운동의 전략적 역량에는 대중적 담론의 형성과 확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왜냐하면, 제한된 운동자원과 불리한 권력지형의 제약에 놓여 있는 노조운동으로서는 조직 안의 대중적 결집과 강력한 동원을 이뤄냄과 동시에 조직 밖의 시민사회로부터 대중적 지지와 동참을 이끌어낼 수 있는가의 여부가 그들의 정치적 협상력이나 사회적 영향력을 더욱 중요하게 좌우하기 때문이다. 노동개혁을 둘러싼 노동정치의 국면에서 노조운동으로서는 조직안팎에 대한 프레밍 조정 총화 학습의 전략적 능력을 효과적으로 행사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진다. 최근의 노동개혁국면에서 우리 노조운동은 보유한 자원을 제대로 가동-활용치 못하고 타성적 방식으로 저항운동을 전개함으로써 스스로 조직 안팎의 대중으로부터 운동적 효능감을 잃어가고 있는 것에 대해 깊은 성찰이 요구된다. 또한, 노동시장의 진보적 개혁을 도모함에 있어 정 경 언의 보수 권력연합 앞에서 분열된 조직노동과 야당 및 시민사회의 각개적 대응이 무기력할 수 밖에 없는 만큼, 친노동 세력과 집단들간에 유기적 연대-공조 네트워크를 만들어내는 것이 필요하다.

시민사회의 연대운동 네트워킹 사례연구: 희망버스를 중심으로 (The Solidarity Networking between Labor and Civil Society Movements: the Case Study of Hope Bus)

  • 이병훈;김진두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2호
    • /
    • pp.109-139
    • /
    • 2017
  • 노동의 위기와 노동운동의 위기를 맞아 연대운동의 중요성이 강조되는 작금의 상황에서 희망버스가 돋보이는 연대운동의 성과를 이뤘다는 점에 주목하여 이 연구에서는 그 성과를 만들어낼 수 있었던 핵심조건으로서 연대네트워킹에 초점 맞춰 분석하였다. 희망버스 연대네트워킹의 성공적인 작동조건에 대해 크게 촉발-형성-실행의 3개 측면으로 나눠 살펴본다. 희망버스 연대운동의 촉발조건으로 한진중공업 정리해고의 부당성과 이에 맞선 김진숙 지도위원의 목숨건 고공농성, 그리고 그 농성장(85호 크레인)의 비극적 상징성 등이 주되게 작용하였다. 형성 조건으로는 초동주체들의 운동적 신뢰관계와 (희망버스 기획에의) 의기투합, 다양한 사회운동 네트워크의 활용과 확산, 그리고 SNS의 대중적 파급력 등이 이바지하였다. 그리고, 주요 실행조건으로는 기획단의 개방적이며 수평/탈위계적 운영방식과 참가단위의 자발적 연대활동 그리고 참가자들에 대한 연대적 감수성의 체험적 기회 제공 등이 역할하였다. 이같이, 희망버스의 연대네트워킹은 촉발 형성 실행의 세가지 조건들이 선순환으로 연계되어 사회운동단위들의 결집과 다중적 동참 그리고 유의미한 운동 성과를 이뤄냈던 것이다.

한국 노동조합의 발전과정과 노동운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process and Union movements of Korea's Union.)

  • 채규옥;한기수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18권33호
    • /
    • pp.185-197
    • /
    • 1995
  • Labor union movements brought wage workers into being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y were started with efforts to solve a variety of special problems, brought up in the industrial society by systematic activities. Labor union shows us many differences in the direction of the movement according to its philosophical tendency. Objectiv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 To find out the problems of labor union movements for democratization of management to present the direction of labor movements based on the democracy of Industry. Accordingly chapter II examines on the Labor union literall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labor union movements Chapter III deals with the structure, characteristic and development process of our country's labor union chronologically. And on the basis of the development process chapter IV suggests the roles on the union, management and government for better union movements. Chapter V reaches a conclusion.

  • PDF

윌리엄즈의 '감정구조' 개념과 계급에 대한 제(諸) 개념들의 검토: 현대 일본의 '계급지향적' 노동운동을 위한 이론적 틀 고찰 (Williams' "Structure of Feeling" and Theories on the Working Class: Examination of a Theoretical Framework for a "Class-Oriented" Labor Movement in Contemporary Japan)

  • 정유정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8호
    • /
    • pp.130-143
    • /
    • 2017
  • 본 연구는 'B'지역노조라는 현대 일본의 '계급지향적' 노동운동을 검토하기 위해, 우선 그 이론적 틀을 모색하는 작업이다. 현재 일본에서 '계급지향적'인 노동운동은 주변에서 '잔여적인' 노동운동으로 설정되지만, 그럼에도 그 활동은 활발히 계속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그 '계급지향적' 노동운동을 분석하기 위한 이론적 틀을 살펴보았다. 먼저 윌리엄즈에 의한 개념의 변화를 검토하고, 마르크스주의의 계급 계급의식 개념과 '언어적 전회'의 새로운 주체 개념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B'지역노조의 사례에 맞게 '감정구조' 개념을 재해석하였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본 연구에서는 'B'지역노조의 '집단적 노동자'와 '개인화된 노동자', '노동자'와 '비노동자'가 물질적 공간 혹은 비물질적 공간에서 집단화를 이룬다고 보았고, 그 '감정구조'는 '''계급지향성''을 둘러싼 모순과 절충'이라고 정리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그에 대한 '감정구조'의 모형을 제시했다.

인정투쟁: 한국노동운동과 경계에 선 사람들 (Struggle for Social Recognition in Labour Movement)

  • 유범상
    • 산업노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65-195
    • /
    • 2017
  • 본 논문은 부조리한 삶의 경계에 선 사람들을 인정투쟁의 관점에서 다룬다. 경계인은 1970년대부터 노동운동에 뛰어 든 사람들이다. 그리고 인정투쟁은 사랑, 권리, 가치부여의 측면에서 사회구성원으로부터 인정받기 위한 투쟁이다. 본 논문은 이들이 인정을 위한 열정으로부터 좌절된 과정을 분석한다. 경계인들은 인정을 위해 민주노조를 건설했고, 진보정당으로 결실을 맺었다. 그런데 부조리한 세상에 맞섰던 사람들은 개혁과 혁명의 경계인에서 무기력과 우울증이라는 갈림길에 있다. 열정이 식고 우울증의 현상이 심화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본 논문은 혁명을 꿈꾸면서 의인이었던 이들이 인정되지 못하고 여전히 밖에서 경계인이 되고 좌절과 무기력에 있는 핵심적인 이유로 내부와 외부와의 다양한 측면에서 균열을 지적했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균열을 극복하기 위한 소통을 대안으로 제시했다.

도서원현상을 통해 본 공공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인식의 문제 (Problems in defining public library users as viewed through the 'book-room' phenomenon in Pusan)

  • 김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19권
    • /
    • pp.145-209
    • /
    • 1992
  • This study, that is made by an on-the-spot survey and a library survey, is aimed at finding some problems in the recognition regarding public library users and suggesting the clue to solve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way of having compared with 'Book-Room' and Public Library. Poor material was always a troublemaker in this study. Especially the part of 'Book-Room' phenomenon is wholly dependent upon a field survey, that is, interview with a 'book-room' clerks, gathering the advertising leaflets, a close observation on 'Book-Room', etc. There are little printed materials, much less precedent research theses. In the other parts of this paper, there are needed good statistical materials, but the nortion presented in the public library user statistics-for example pupil, students, housewives, old men, the generality of people, etc.- is so vague that it is insufficient and unhelpful for this study. In my judgment, with all these limitations, this article gets some results as follows : 1. 'Book-Room' is the cultural organization which is being operated by, for, of the community inhabitants and it takes on the character of movement - labor movement, cultural movement, and community movement. 2. The pioneer of the Book-Room is 'Yangso Hyupdong chohap' (which means good book- cooperative association) lasted from 1978 to the next year. 3. 'Arom'(means learning) Book-Room is the first real Book-Room at Seomyon district in Pusan established in 1987. 4. Book-Room can be classified by its character as 'Labor BookRoom' and 'Cultural Book-Room'. There are 10 Labor BookRooms and 4 Cultural Book-Rooms in Pusan. 5. Labor Book-Rooms organized themselves to 'Labor Book-Room conference'. 6. Book-Rooms have done their best to extort the needs and interests of the community inhabitants, but relatively public libraries do not, hence the majority of residents are neglected from the public library service. This is at Book-Rooms' back to have been spread so quickly. 7. There is a very large gap between the component ratio of community inhabitants by class and that of public library users by same criterion, that is, in the case of the former, the labor class goes beyond a half point, in the latter, the majority of public library user is composed of students and housewives. 8. Researchers and librarians have concentrated their attention and effort not upon whole residents in community but upon existing users at present time. They do not try to develope potential users. So, researchers' and librarians' recognition regarding the public library users needs to be changed. 9. The concept of 'core-user' may be the key to solve the problems related with public library users. For the purpose of ensuring the 'core-user',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community and inhabitant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