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ab scale

검색결과 1,181건 처리시간 0.04초

SSC(Small-Scale Chemistry)실험이 과학영재의 과학적 태도, 창의적 성격 특성 및 과학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SC(Small-Scale Chemistry) Lab Program on Scientifically Gifted Students' Scientific Attitude, Creativ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nd Science Inquiry Skills)

  • 유미현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2호
    • /
    • pp.487-502
    • /
    • 2010
  • 이 연구의 목적은 SSC 실험을 과학영재 수업에 적용한 후 얻을 수 있는 효과를 조사하는 것이다. 연구 참여자는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 선발되어 교육받고 있는 15명의 중학생 과학영재 학생이다. SSC 실험 프로그램은 3개월간 5가지 주제로 적용되었다. 연구 설계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였으며 PASW 18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SC 실험은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적 태도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p<.01). 특히 과학적 태도 하위 영역 중 '협동성', '자진성', '끈기성' 영역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SSC 실험은 과학영재 학생의 창의적 성격 특성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p<.01). 특히 창의적 성격 특성의 하위 영역 중 '집착성' 영역에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 점수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셋째, SSC 실험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탐구 능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5). 연구 결과는 SSC 실험이 과학영재 수업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을 시사한다.

Laboratory Scale 연소로를 적용한 산소 메탄 MILD 연소에 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for Oxygen Methane MILD Combustion in a Laboratory Scale Furnace)

  • 이필형;황상순
    • 한국연소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6-15
    • /
    • 2016
  • The oxygen fuel MILD (Moderate or Intense Low-oxygen Dilution) combustion has been considered as one of the promising combustion technology for flame stability, high thermal efficiency, low emissions and improved productivity. In this paper, the effect of oxygen and fuel injection condition on formation of MILD combustion was analyzed using lab scale oxygen fuel MILD combustion furnace. The results show that the flame mode was changed from a diffusion flame mode to a split flame mode via a MILD combustion flame mode with increasing the oxygen flow rate. A high degree of temperature uniformity was achieved using optimized combination of fuel and oxygen injection configuration without the need for external oxygen preheating. In particular, the MILD combustion flame was found to be very stable and constant flame temperature region at 7 KW heating rate and oxygen flow rate 75-80 l/min.

SUS316L 로 제작된 실험실 수준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시제품의 고온구조건전성 평가 (Evaluation of High-Temperature Structural Integrity Using Lab-Scale PCHE Prototype)

  • 송기남;홍성덕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7권9호
    • /
    • pp.1189-1194
    • /
    • 2013
  • 초고온가스로의 중간열교환기는 원자로에서 생산된 $950^{\circ}C$ 정도의 초고온 열을 수소생산 공장으로 전달하는 핵심 기기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서는 중간열교환기의 후보 형태로 고려되고 있는 인쇄기판형 열교환기의 실험실 수준 시제품을 제작하였다. 본 연구는 초고온헬륨루프 시험조건하에서 SUS316L 로 제작된 실험실 수준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시제품의 고온구조건전성을 미리 평가하기 위한 작업의 일환으로 인쇄기판형 열교환기 실험실 수준 시제품에 대한 고온 구조해석 모델링, 거시적 열 해석 및 구조 해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들을 정리한 것이다.

개선된 여과형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효율 평가 (Treatment Efficiency of Non-Point Source Pollutants Using Modified Filtration System)

  • 강희만;최지연;김이형;배우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61-169
    • /
    • 2011
  • 본 연구는 여과와 침투기작을 이용한 개선된 여과형 시설의 비점오염물질 처리효율을 평가하고자 수행되었다. 저감시설은 지리학적 기후학적인 인자를 고려하여 기존의 저감시설의 단점을 보완하여 설계되었다. 저감시설의 처리효율 평가는 실험실 규모로 수행되었으며, 3가지 유형의 유속[초기강우(120 mL/min), 일반적인 강우(242 mL/min), 집중호우(500 mL/min)]을 적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고, 이를 통하여 수질 분석 및 물수지를 산정하였다. 실험결과, 저감시설의 입자상 물질 제거 효율은 90%이상으로 높게 분석되었다. 3가지의 유속변화 실험 중, 집중호우의 경우에서 11~91% 범위로 낮은 제거효율을 보였는데, 이는 다른 유속에 비해 짧은 체류시간을 갖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저감시설의 물수지 산정결과 침투량은 유출량의 약 1%에 불과하여 향후 저감시설 설계 시, 침투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시설하부의 토양치환 등을 통한 침투량 및 저류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기술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는 오염물질의 저감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실내 삼축시험과 개별요소법(DEM)을 이용한 사질토 직교 이방 탄성 특성의 미시역학적 비교 분석 (Comparative Study on Cross-anisotrupic Elasticity of Granular Soils Based on Lab-scale Triaxial Experiment and Discrete Element Analysis)

  • 정영훈;이재훈;정충기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3권8호
    • /
    • pp.59-68
    • /
    • 2007
  • 사질토의 직교 이방 탄성계수를 실험적 방법과 개별 요소법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결과를 정량적으로 비교-분석하였다. 실내 시험에서는 미소 응력 제어 반복재하시험과 벤더 엘리먼트의 측정 결과를 조합하여 탄성 특성을 구하였으며, 개별 요소법에서는 실내 시험 방법과 상응하는 반복재하시험을 모사하였다. 축 방향 및 전단방향에 관련된 탄성 특성의 비교 결과는 제한된 조건에서도 개별 요소법이 복잡한 실내 시험 과정을 모사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방사 방향 재하시험 결과에서 나타난 두 방법 간 차이의 비교 분석 결과는 개별 요소법이 실내 시험으로 구한 개별 측정치의 정량적 타당성을 확인하는데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Nitromethane 분해를 위한 초임계수 산화(SCWO) 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Supercritical Water Oxidation(SCWO) Process for Decomposing Nitromethane)

  • 한주희;정창모;도승회;한기도;신영호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4권6호
    • /
    • pp.659-668
    • /
    • 2006
  • 실험계획법을 이용하여 nitromethane을 초임계수산화(SCWO)로 분해시키는 공정의 최적화 연구를 진행하였다. Lab scale 반응설비를 이용하여 처리수의 COD와 T-N을 최소화하는 SCWO 공정의 최적 운전조건을 도출하였으며, scale-up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SCWO pilot plant 실험 결과와 lab scale 최적화 실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처리수의 COD와 T-N을 최적화 목적 변수(KPOV)로 설정하였으며, 예비실험을 통해 반응 온도(temp)와 nitromethane과 암모니아수의 몰 비(NAR)를 주요 운전 변수(KPIV)로 설정하였다. 최적화 실험은 통계적 실험계획법인 중심합성설계법을 사용하였으며, 실험결과의 해석은 반응표면법을 활용하였다. 주 효과 분석결과 처리수의 COD는 Temp 증가에 따라 급격하게 감소하며, NAR 증가에 따라 약간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N은 Temp 와 NAR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Temp가 $420{\sim}430^{\circ}C$로 낮을 때에는 NAR 증가에 따라 T-N이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450^{\circ}C$ 이상으로 높을 때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 최적화 실험 결과를 회귀분석 하여 처리수의 COD와 T-N 을 예측할 수 있도록 Temp와 NAR이 변수인 2차식으로 회귀식을 도출하였으며, 결정계수($r^2$)와 표준화잔차의 정규성을 분석하여 회귀식이 실험결과를 잘 모사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회귀식을 이용하여 COD < 2 mg/L, T-N<40 mg/L를 동시에 만족시키며 부식 위험이 적은 nitromethane 분해 최적 운전 조건은 Temp $450-460^{\circ}C$, NAR 1.03-1.08로 설정하였다. SCWO pilot plant를 이용하여 nitromethane 분해 최적 조건을 검증하고, SCWO 공정의 scale-up 문제점을 파악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SCWO pilot plant 실험 결과를 lab scale 반응설비에서 도출한 COD와 T-N의 회귀식과 비교한 결과 오차가 증가하지만 회귀식이 pilot plant 실험결과도 잘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Pilot plant 실험결과에 대한 회귀식의 적합성은 실험값과 예측값의 비교도와 표준화잔차의 정규성으로 검증하였다.

A Novel Method to Evaluate the Emotional Image Quality with CIECAM02

  • Chong, Jong-Ho;Lee, Seung-Bae;Park, Hye-Ryoung;Kim, Sang-Ho;Bae, Jae-Woo;Kim, Hye-Dong;Kim, Hun-Soo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디스플레이학회 2008년도 International Meeting on Information Display
    • /
    • pp.47-50
    • /
    • 2008
  • We propose a new method evaluating the image quality of display devices using the CIECAM02 that is the recently developed CIE color appearance model and provides an extension of the previously recommended CIE color spaces. We develop the evaluation method that quantifies the color reproduction capability, emotional gray scale (gradation), and visual perception contrast (perceptual contrast range) based on the gamut in this model.

  • PDF

두 종류 태양열 집열기를 이용하는 대규모 태양열 시스템의 동작특성 분석 (Analysis of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Large-scale Solar Thermal System Using Two Types of Collectors)

  • 이동원;허재혁;김민휘
    •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67-75
    • /
    • 2017
  • We have investigated the operating characteristics of $1,600m^2$ large-scale solar thermal system installed in an eco-friendly energy town in Chungbuk Innovation City. The operation criteria of the collecting pump and storage pump were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andard, and it was confirmed that each pump works well according to the changed criteria. Based on the data of the representative day, the daily collecting heat (efficiency) and the production (storing) heat (efficiency) were estimated. It was confirmed that the daily collecting heat (efficiency) of the flat plate typ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evacuated tube type, but the useful heat production was more in evacuated tube type collect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