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D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18초

발효 쌀보리의 급여가 육성돈의 혈중 대사산물, 혈구조성 및 생산성에 미치는 영향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metabolites and leukocytes of growing pigs fed with fermented hulless barley)

  • 정용대;김기현;민예진;김영화;유동조;조규호;김두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95-302
    • /
    • 2018
  • 본 연구는 발효 쌀보리 급여가 돼지의 생산성, 혈구조성, 혈중 대사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실시하였다. 공시동물은 총 45두의 3원 교잡 육성돈(요크셔${\times}$랜드레이스${\times}$듀록; 평균체중, $30.33{\pm}0.05kg$)을 이용하였고 사료 내 발효 쌀보리(Fermented hulless barley, FHB)는 0, 0.5, 1.0% 수준으로 첨가하였으며 처리구당 3반복, 반복당 5두씩 시험돈사에 임의로 배치하였다. 일당증체량은 0.5% FHB 처리구에서 0 및 1.0% FHB 처리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나 통계적 차이는 없었다. 일당사료섭취량 및 사료요구율은 처리구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총백혈구, 호중구, 림프구, 단핵구, 호산구 및 호염구를 비롯한 백혈구계 혈액세포 조성은 발효 쌀보리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중 글루코오스는 대조구에서 0.5, 1.0% FHB 처리구보다 증가하였다. 알부민은 1.0% FHB 처리구에서 0.5% FHB 처리구에 비해 감소하였다. 그러나, 단백질, 지방, 에너지 및 광물질과 관련된 나머지 대사적 지표들은 발효 쌀보리 급여에 의한 영향이 관찰되지 않았다. 사양시험기간동안 시험동물에서 환축 또는 폐사가 관찰되지 않아 돼지의 건강관리측면에서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그러므로 발효 쌀보리가 축산물 안전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추가 연구를 통해 안전 축산물 생산 가능성을 제고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he Effects of Dietary Lysine Deficiency on Muscle Protein Turnover in Postweanling Pigs

  • Chang, Yi-Ming;Wei, Hen-We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9호
    • /
    • pp.1326-1335
    • /
    • 2005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lysine deficiency on protein turnover of porcine muscles. There were 18 LYD three-breed-crossing postweanling barrows from six litters cannulated with gastric tubes through the esophagus at approximate 10 kg of body weight and allocated into three treatment groups. When their body weights reached over 12 kg, one group was sacrificed for determining the initial protein masses of m. masseter, m. longissimus dorsi, m. adductor and m. biceps femoris from the right body side. The others received a diet containing 100% or 61.4% (calculated values) of the lysine requirement (NRC, 1998) multiplied by 1.103 for a period of 17 days. Daily feed provision was computed for each pig according to body weight at the same day. All pigs were infused a flooding dose of $^2$H$_5$-phenylalanine to determine the fractional protein synthesis rates (FSR) of the aforementioned muscles in the end. Their four muscles from the right body side were also dissected for measuring the fractional rates of protein accretion (FAR). As for protein degradation, fractional rates (FDR) were calculated by differences between synthesis and accretion. Results showed that the lysine deficiency resulted in, significantly (p<0.05), lighter body weights, smaller muscles and a slower growth rate. The protein mass, accreted by the muscles, of the deficient group was only 54% averaged of the pigs fed adequately (p<0.05). The FAR of these muscles in the defici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and only achieved 61.1% averaged of the contr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nevertheless, in the amino-acid composition of muscles between two groups. The lysine deficiency reduced significantly (p<0.05) the FSR of m. longissimus dorsi but did not influence its FDR. The m. biceps femoris also presented an inhibited FSR while its FDR reduced only exhibited a very high tendency (p = 0.055) compared to the adequately-fed pigs. As for the m. masseter and m. adductor, both of the FSR and FDR were depressed significantly (p<0.05) by the lysine deficiency, and changes in the FSR were severer than those in the FDR, so that their FAR were significantly slower (p<0.05)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lysine deficiency also inhibited the RNA translation activity of the muscles while the effects on RNA capacity were not significant (p>0.05). In conclusion, the FAR of muscle protein was changed by the current lysine deficiency through the alterations in the FSR and/or FDR.

Effects of a Dietary Chitosan-Alginate-Fe(II) Complex on Meat Quality of Pig Longissimus Muscle during Ageing

  • Park, B.Y.;Kim, J.H.;Cho, S.H.;Hwang, I.H.;Jung, O.S.;Kim, Y.K.;Lee, J.M.;Yun, S.G.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3호
    • /
    • pp.414-419
    • /
    • 2005
  • The current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chitosan-alginate-Fe(II) complex (CAFC) supplementation on carcass and meat qualities of pig m. longissimus during chiller ageing. One hundred and twenty-two LYD (Landrace${\times}$Yorkshire${\times}$Duroc) pigs were sampled from an industrial population. Seventy-four pigs (32 gilts and 42 barrows) were administered 3 ml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CAFC per day from 25 to 70 days of age, while the remaining 48 pigs (20 gilts and 28 barrows) were fed the same commercial feeding regime without the supplementation. For assessing the dietary effects on pH, objective meat color, cooking loss, water-holding capacity (WHC),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fatty acid composition during ageing, 20 barrows (10 of each treatment) were randomly sampled, and aged for 3, 7, 12, 16, 20 and 25 days in a $1^{\circ}C$ chiller. The results showed that CAFC-fed pigs required approximately 10 fewer feeding days than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the treatment resulted in greatly higher carcass grade whereby the grade A was increased by approximately 35% and 7% for gilts and barrows, respectively. The treatment had no significant effect (p>0.05) on pH, meat color and WHC during ageing. On the other hand, the CAFC-fed pigs showed significantly (p<0.05) lower TBARS values from 20 days of storage. In addition, the sum of unsaturated fatty acids for the treated group was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that for the control group after the storage time. This implied that CAFC supplementation could reduce the formation of free radicals in fatty acids (i.e., lipid oxidation). The treatment also significantly (p<0.05) retarded VBN formation during ageing, indicating a significant reduction in protein degradation. However, as there was no difference in pH between the two groups, the result raised a possibility that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CAFC alone could cause reduction in the formation of TBARS and VBN. In this regard, although the treatment effectively slowed down the formation of TBARS and TBA during chiller ageing, it was not resolved whether that was associated with the direct effect of the antioxidant function of chitosan and/or alginate, or a consequence of their antibacterial functions.

Purification of Pig Muscle Stem Cells Using Magnetic-Activated Cell Sorting (MACS) Based on the Expression of Cluster of Differentiation 29 (CD29)

  • Choi, Kwang-Hwan;Kim, Minsu;Yoon, Ji Won;Jeong, Jinsol;Ryu, Minkyung;Jo, Cheorun;Lee, Chang-Kyu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852-859
    • /
    • 2020
  • The muscle stem cells of domestic animals are of interest to researchers in the food and biotechnology industries for the production of cultured meat. For producing cultured meat, it is crucial for muscle stem cells to be efficiently isolated and stably maintained in vitro on a large scale.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optimize the method for the enrichment of pig muscle stem cells using a magnetic-activated cell sorting (MACS) system. Pig muscle stem cells were collected from the biceps femoris muscles of 14 d-old pigs of three breeds [Landrace×Yorkshire×Duroc (LYD), Berkshire, and Korean native pigs] and cultured in skeletal muscle growth medium-2 (SkGM-2) supplemented with epidermal growth factor (EGF), dexamethasone, and a p38 inhibitor (SB203580). Approximately 30% of total cultured cells were nonmyogenic cells in the absence of purification in our system, as determined by immunostaining for cluster of differentiation 56 (CD56) and CD29, which are known markers of muscle stem cells. Interestingly, following MACS isolation using the CD29 antibody, the proportion of CD56+/CD29+ muscle stem cell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91.5±2.40%), and the proportion of CD56 single-positive nonmyogenic cells was dramatically decreased. Furthermore, we verified that this method worked well for purifying muscle stem cells in the three pig breeds. Accordingly, we found that CD29 is a valuable candidate among the various marker genes for the isolation of pig muscle stem cells and developed a simple sorting method based on a single antibody to this protein.

돼지의 성이 등심의 육질, 전자혀 측정치 및 관능적 맛 특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f Gender on Meat Quality, Electronic Tongue Measurem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Loin)

  • 이은영;이세진;황영화;강현정;주선태
    • 동물자원연구
    • /
    • 제30권4호
    • /
    • pp.165-171
    • /
    • 2019
  • 본 연구의 목적은 비육돈의 성이 육질과 맛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총 90두 삼원교잡 LYD 비육돈(180일령 암퇘지 45두와 거세돈 45두; 각 처리구당 1+, 1, 2등급 15마리씩 배치)의 육질, 기계적 맛 및 관능적 맛을 성별에 따라 조사하였다. 등심근의 pH, 근내지방 함량, 육색 및 전단가는 성별 간 차이가 없었지만(p>0.05), 암퇘지와 거세돈의 육즙감량(1.66% vs 1.21%), 유리수분량(12.19% vs 10.68%) 및 가열감량(23.67% vs 21.04%)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확인되었다(p<0.05). 전자혀 측정치는 거세돈의 신맛의 강도가 암퇘지보다 유의적으로 낮은 반면, 감칠맛과 감칠맛후미의 강도는 높았다(p<0.05). 관능검사에서는 풍미, 다즙성 및 연도에서 거세돈이 높은 점수를 받은 결과, 기호성에서도 거세돈(5.51점)이 암퇘지(4.86점)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점수를 얻었다(p<0.05). 이러한 결과로부터, 암퇘지보다 높은 거세돈의 보수력이 감칠맛 강도를 증가시켜 관능적 맛도 좋게 한 것으로 사료되었다.

저탄수화물 고지방 발효사료 급여가 돈육의 육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eding High Carbohydrate-Low Fat Fermented Feed on the Meat Quality Characteristics in Finishing Pigs)

  • 강석남;송영민;김철욱;김태완;추교문;양보석;진상근;김일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826-832
    • /
    • 2010
  • LYD 90두($79.0{\pm}2.2\;kg$)를 58일간 맥주박을 주원료로 하는 발효를 사육단계별로 급여하였을 때 돈육의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발효사료는 1, 2, 3, 4그리고 5-9주차에 일반사료기준 발효사료를 T1은 20, 40, 60, 80, 100%, T2는 30, 60, 100, 100%대체하여 급여하였다. 발효사료는 대조구 사료보다 수분함량과 가용무질소물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낮고, 조지방, 조섬유 및 총칼로리는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단백질 함량, 아미노산 조성 및 pH은 시험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대조구의 수분, 조섬유 및 식육콜레스테롤 함량이 처리구에 비해 높았고 지방함량은 낮게 나타났다(p<0.05). 발효 사료급여군은 드립감량과 가열감량 수치를 유의적으로 향상시켰으며(p<0.05), 등심과 등지방 표면의 백색도를 향상시켰으나, 등심의 적색도를 감소시켰다(p<0.05). 발효사료급여로 인한 신선육의 관능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발효사료급여가 식육의 지방함량과 식육의 콜레스테롤 함량에 영향을 미쳤으며, 드립감량 및 가열감량의 향상에 영향을 미쳤으나 아미노산 조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발효사료는 대체사료 개발의 좋은 시도로 여겨진다.

비육돈 생산단계에 따른 도체 및 부분육 생산 특성 (Characteristics of Carcass and Meat Yields of Fattening Pigs by Production Step)

  • 김진형;박범영;유영모;조수현;김용곤;이종문;윤희진;김경남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4권6호
    • /
    • pp.793-800
    • /
    • 2002
  • 본 연구는 수출규격돈 생산과 고품질 돈육 생산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도체 및 부분육 생산 특성을 조사한 것으로 도체중량에서는 듀록종이 원종, $F_1$종 및 비육돈에 비하여 적었다(p<0.05). 거래정육중량은 요크셔종과 $F_1$종이 다른 원종과 비육돈에 비하여 높은 반면 듀록종이 가장 낮았다(p<0.05). 도체길이는 랜드레이스와 $F_1$종이 다른 원종 및 비육돈에 비하여 길게 나타났고(p<0.05), 도체폭은 $F_1$종이 다른 순종 및 비육돈 보다 넓었다. 도체후도는 $F_1$종과 비육돈이 원종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두꺼운 것으로 나타났다(p<0.05). 안심과 등심의 생산량은 랜드레이스와 요크셔 및 $F_1$종이 듀록 및 비육돈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고 듀록이 가장 적었다(p<0.05). 목심 생산량은 요크셔와 $F_1$종이 다른 순종 및 비육돈에 비하여 높게 생산되었고(p<0.05), 듀록과 랜드레이스종이 가장 낮았다. 삼겹살 생산량은 듀록종이 낮았으며, 뒷다리는 요크셔와 $F_1$종이 다른 순종과 비육돈에 비하여 높게 생산되었고, 앞다리는 요크셔종이 생산량이 많았다(p<0.05). 일본 수출 기준에 따른 등심 합격율은 전체적으로 대단히 낮았고, 안심 합격률은 랜드레이스종이 100%로 가장 높았다. 앞다리와 뒷다리 합격률은 요크셔종이 각각 90.91%, 87.88%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비육돈의 부분육 및 수출규격육 생산이 미흡하므로 이를 만족시킬 수 있는 순종의 도입과 교배체계의 확립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돼지의 도체 및 육질특성에서 스테비아와 숯의 항생제 대체효과 (Effect of Stevia and Charcoal as an Alternative to Antibiotics on Carcass Characteristics and Meat Quality in Finishing Pigs)

  • 최정석;이주호;이현진;장성순;이재준;최양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835-841
    • /
    • 2012
  • 본 실험은 저항생제 수준에서 스테비아와 숯의 급여가 돼지의 도체 및 육질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일반 기본사료를 기초로 하여 T1(대조구, 기본사료 + 비육전후기 항생제), T2(기본사료 + 0.3% 스테비아 + 0.3% 숯 + 비육전후기 항생제) 및 T3(기본사료 + 0.3% 스테비아 + 0.3% 숯 + 비육전기 항생제)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항생제(oxytetracycline, OTC) 수준은 기존 첨가 수준(110 ppm)의 50%인 55 ppm으로 첨가하였다. 저항생제 돈육생산 가능성을 위하여 비육후기 무항생제 처리를 하였다. 숯과 스테비아, 항생제를 각기 다르게 급여한 돼지의 도체특성에서 A등급 출현율은 T3에서 5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지방 두께는 T2에서 높게 나타났다. 도체장도 T2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일반성분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한 수준을 나타냈다. 육질특성에서 pH는 모든 처리구에서 정상의 범위를 나타내었으며, 보수력은 T3에서 다소 높은 수준이었다. 육즙손실은 T2에서 높은 육즙손실량을 나타내었으며, 가열감량에서도 T2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전단력은 실험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육색에서 명도는 T2가 높은 수준이었으며, 근육 내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T1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주관적판정에서 T3가 다소 높은 마블링 점수를 나타내었고, 관능검사에서는 T1이 전체기호도에서 다소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스테비아와 숯을 먹인 비육후기 무항생제 급여구(T3)가 대조구(T1)와 스테비아와 숯을 먹인 비육전후기 항생제 급여구(T2)와 비교 시 도체 및 육질특성에서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스테비아와 숯이 항생제 대체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저항생제 돈육생산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스테비아와 숯이 급여된 비육돈의 육질 및 저장특성 (Meat Quality and Storage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Pigs by Feeding Stevia and Charcoal)

  • 이재준;박성현;정동순;최양일;최정석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96-303
    • /
    • 2011
  • 본 실험은 스테비아와 숯의 급여가 돼지의 육질 및 저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일반기초사료 급여구(T1)를 대조구로 하여, 스테비아 0.3%(T2)와 0.6% 급여구(T3), 숯 0.3%(T4)와 0.6% 급여구(T5), 스테비아 0.3%와 숯 0.3% 홉합급여구(T6) 및 스테비아 0.6%와 숯 0.6% 혼합급여구(T7)로 하여 등심육의 제반 육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은 T6에서 단백질과 지방의 함량이 다른 처리구들보다 높은 수준이었다. pH에서는 T4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보수력에서는 T6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육즙손실은 T5처리구에서 높은 육즙손실량을 나타내었으며, 가열감량에서는 T1과 T6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그외 전단력에서는 T2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육색에서는 T2와 T6에서 다른 처리구들보다 낮은 명도값을 나타내었으며, T1, T5, T6처리구에서 높은 적색도를 나타내었고, T3처리구와 T5처리구에서 높은 황색도를 나타내었다. 근육 내 콜레스테롤 함량에서는 T7처리구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주관적 판정과 관능검사에서는 T6 처리구에서 우수한 성적을 나타내었다. 저장특성의 처리구별 비교에서는 TBA가는 T4처리구가 0 일에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7일에서는 T3처리구가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한편 VBN 함량과 총미생물수에서는 냉장저장 기간 동안 각 처리구 모두 가식범위의 수준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스테비아 0.3%+숯 0.3%의 혼합처리구(T6)가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와 비교 시 육질특성이 우수하며 저장특성에서도 우수한 수준을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스테비아와 숯이 급여된 비육돈의 사양성적, 면역력 및 도체특성 (Growth Performance, Immune Response and Carcass Characteristics of Finishing Pigs by Feeding Stevia and Charcoal)

  • 최정석;정동순;이주호;최양일;이재준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228-233
    • /
    • 2012
  • 본 실험은 스테비아와 숯의 급여가 돼지의 사양성적, 면역력 및 도체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시험구는 일반기초사료 급여구(T1)를 대조구로 하여, 스테비아 0.3%(T2)와 0.6% 급여구(T3), 숯 0.3%(T4)와 0.6% 급여구(T5), 스테비아 0.3%와 숯 0.3% 혼합급여구(T6) 및 스테비아 0.6%와 숯 0.6% 혼합급여구(T7)로 하여 돼지의 사양성적 및 도체특성을 조사하였다. 스테비아와 숯을 급여한 돼지의 사양성적에 미치는 영향은 T6에서 높은 일당증체량을 나타내었고, 사료요구율은 T3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사료효율은 T6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혈액 내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T7에서 다소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GOT 활성은 T2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한편, GPT 활성은 T3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다. 숯과 스테비아를 급여한 돼지의 호르몬과 면역특성에서는 T6에서 높은 IGF-1의 수준을 나타내었으며, IgG 에서는 모든 처리구에서 유사한 수준이었다. 한편, 백혈구(WBC) 수치에서 호중구(Ne)는 T6에서 높은 수준을 나타내었고 림프구(Ly)에서는 T3에서 높은 수준이었다. 그 외백혈구 수치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도체특성에서는 A등급의 출현율은 T6에서 6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등지방두께는 T2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 외 도체장은 각 처리구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스테비아 0.3%와 숯 0.3%의 혼합 첨가급여구(T6)가 대조구와 다른 처리구와 비교 시 사양성적에서 우수하였으며, 도체특성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