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W

검색결과 196건 처리시간 0.022초

Effect of the size of the bony access window and the collagen barrier over the window in sinus floor elevation: a preclinical investigation in a rabbit sinus model

  • Sim, Jeong-Eun;Kim, Sangyup;Hong, Ji-Youn;Shin, Seung-Il;Chung, Jong-Hyuk;Lim, Hyun-Chang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52권4호
    • /
    • pp.325-337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1) the size of the bony access window and (2) collagen membrane coverage over the window in sinus floor elevation in a rabbit sinus model. Methods: Small bony access windows (SW; ø 2.8 mm) were made in 6 rabbits and large windows (LW; ø 6 mm) in 6 other rabbits. Both sinuses in each rabbit were allocated to groups with or without coverage of a collagen membrane (CM) on the window, resulting in 4 groups: SW, LW, SW+CM, and LW+CM. After 4 weeks of healing, micro-computed tomographic, histologic, and histomorphometric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Bony healing in the window area was incomplete in all groups, but most bone graft particles were well confined in the augmented cavity. Histologically, the pattern of new bone formation was similar in all groups. Histomorphometrically, the percentage of newly formed bone was greater in the groups with CM than in the groups without CM, and in the groups with SW than in the groups with LW (12.92%±6.40% in the SW+CM group, 4.21%±7.73% in the SW group, 10.45%±4.81% in the LW+CM group, 11.77%±3.83% in the LW group). The abov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Conclusions: The combination of a small bony access window and the use of a collagen membrane over the window favored new bone formation compared to other groups, but this result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animal model.

Effect of Cochlear Implant Electrode Array Design on Electrophysiological and Psychophysical Measures: Lateral Wall versus Perimodiolar Types

  • Lee, Ji Young;Hong, Sung Hwa;Moon, Il Joon;Kim, Eun Yeon;Baek, Eunjoo;Seol, Hye Yoon;Kang, Sihyung
    • Journal of Audiology & Otology
    • /
    • 제23권3호
    • /
    • pp.145-152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chlear implant electrode array design affects the electrophysiological and psychophysical measures. Subjects and Methods: Eighty five ears were used as data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 electrode array design: lateral wall type (LW) and perimodiolar type (PM). The electrode site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s (basal, medial, apical). The evoked compound action potential (ECAP) threshold, T level, C level, dynamic range (DR), and aided air conduction threshold were measured. Results: The ECAP threshold was lower for the PM than for the LW, and decreased as the electrode site was closer to the apical region. The T level was lower for the PM than for the LW, and was lower on the apical region than on the other regions. The C level on the basal region was lower for the PM than for the LW whereas the C level was lower on the apical region than on the other regions. The DRs on the apical region was greater for the PM than for the LW whereas the DR was narrower on the apical region than on the other regions. The aided air conduction threshold was not different for the electrode design and frequency. Conclusions: The current study would support the advantages of the PM over the LW in that the PM had the lower current level and greater DR, which could result in more localized neural stimulation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Effect of Cochlear Implant Electrode Array Design on Electrophysiological and Psychophysical Measures: Lateral Wall versus Perimodiolar Types

  • Lee, Ji Young;Hong, Sung Hwa;Moon, Il Joon;Kim, Eun Yeon;Baek, Eunjoo;Seol, Hye Yoon;Kang, Sihyung
    • 대한청각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45-152
    • /
    • 2019
  • Background and Objectives: The present study aims to investigate whether the cochlear implant electrode array design affects the electrophysiological and psychophysical measures. Subjects and Methods: Eighty five ears were used as data in this retrospective study.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 electrode array design: lateral wall type (LW) and perimodiolar type (PM). The electrode site was divided into three regions (basal, medial, apical). The evoked compound action potential (ECAP) threshold, T level, C level, dynamic range (DR), and aided air conduction threshold were measured. Results: The ECAP threshold was lower for the PM than for the LW, and decreased as the electrode site was closer to the apical region. The T level was lower for the PM than for the LW, and was lower on the apical region than on the other regions. The C level on the basal region was lower for the PM than for the LW whereas the C level was lower on the apical region than on the other regions. The DRs on the apical region was greater for the PM than for the LW whereas the DR was narrower on the apical region than on the other regions. The aided air conduction threshold was not different for the electrode design and frequency. Conclusions: The current study would support the advantages of the PM over the LW in that the PM had the lower current level and greater DR, which could result in more localized neural stimulation and reduced power consumption.

우리나라 산지계류에 있어서 유목 동태의 시.공간적 다양성과 그에 따른 유출 특성 (Spatio-temporal Variations in the Dynamics and Export of Large Wood in Korean Mountain Streams)

  • 서정일;전근우;김석우;임상준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1권3호
    • /
    • pp.333-343
    • /
    • 2012
  • 유목은 산림유역의 생태적 환경과 인간 생활권에 막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유역단위 관점에서의 유목 동태와 유출 특성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산림유역에서 산지계류의 규모에 따른 유목 동태의 시 공간적 다양성과 유출 특성을 고찰하였다. 소규모의 상류 산지계류에서는 강풍, 산불, 병충해와 피압에 의한 고사 등의 산림동태와 산사태 등의 사면활동에 의해 유목이 생산된다. 생산된 유목은 좁은 계폭과 적은 유량에 의해 계류 내에 장기간 체류하게 된다. 그러나 산사태에 의한 토석류와 홍수시에 증가된 유량으로 인해 많은 양의 유목이 일시적으로 하류로 유출되며, 이 과정에서 유목은 토석이나 계상 및 계안과의 마찰로 인해 파쇄 된다. 이러한 현상은 대규모의 집중호우 시 이외에는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상류 산지계류에 분포하고 있는 유목을 유출시키는 주요 원인이다. 한편, 하류 산지계류의 경우 유목은 성숙한 임분의 수변림이 형성되어 있는 범람원과 접하고 있는 계류구간에서 산림동태와 계안붕괴로 인해 주로 생산된다. 이렇게 생산된 유목은 상류 산지계류에서 유입된 유목과 함께 강우발생 시 형성되는 넓은 계폭과 깊은 수심에 의해 하류로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계안과의 마찰에 의한 파쇄작용으로 유목의 크기가 더욱 작아져 이동능력이 극대화된다. 그러나 계상경사가 완만해 지는 구간에 이르러서는 계류형상과 범람원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사행 유로나 2차 유로 등의 퇴적공간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특히 계류의 규모가 크고 장기간 홍수이력이 없는 산지계류의 경우 이러한 퇴적공간이 더욱 두드러지게 발달하여 유목이 군적으로 체류하게 되며, 이는 결국 산림유역 내에 유목을 장기간 체류시켜 유목 유출량을 저감시킨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산지계류는 대부분 유로연장이 짧고 홍수발생이 잦은 편이므로 유목을 장기간 체류시킬 수 있는 체류공간이 적으며, 결국 많은 양의 유목이 하류로 유출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산지계류의 수리학 지형학적 환경에 따른 생태학적 안정과 잠재적인 재해가능성의 저감을 위한 유역관리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이다.

산지계류에 있어서 유목의 종단적 분포특성 (Longitudinal Pattern of Large Wood Distribution in Mountain Streams)

  • 서정일;전근우;김민식;염규진;이진호;木村正信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0권1호
    • /
    • pp.52-61
    • /
    • 2011
  • 수변역을 구성하는 중요한 요소인 유목은 유역의 생태적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동시에 재해의 요인으로서 인간생활권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유목의 발생, 이동 및 체류특성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산지계류에 있어서 유목체류의 종단적 분포의 이질성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규명하고, 그에 따른 유목체류량의 변화를 해석하기 위해 강원도 인제군에 위치한 기룡산 유역을 대상으로 유목의 종단적 분포특성을 파악하였다. 조사 결과, 조사구간의 평균계폭, 직경 1 m 이상의 거력의 개수 및 이들 간의 상호관계가 유목체류량을 설명하는 최적의 예측자로서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산지계류에 분포하고 있는 거력은 유목의 이동을 방해하는 장해물로서 유목체류에 적절한 물리적 환경을 조성한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이러한 거력의 영향이 산지계류의 규모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계폭이 좁은 구간의 경우 산지계류 내에 분포하는 거력의 개수가 증가함에 따라 유목체류량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한 반면, 계폭이 큰 구간의 경우 유목체류량에 미치는 거력의 개수의 영향이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계폭이 다른 두 지역에 있어서 동일한 양의 거력들이 존재할 경우 이들에 의한 계폭의 감소비율이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이러한 유목의 종단적 분포특성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적 물리적 환경을 고려한 계통적이고 체계적인 사방사업이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Effects of 20-day litter weight on weaned piglets' fighting behavior after group mixing and on heart rate variability in an isolation test

  • Sun, YaNan;Lian, XinMing;Bo, YuKun;Guo, YuGuang;Yan, PeiSh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267-274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20-day litter weight on behavior and heart rate variability (HRV) of piglets under stress. Methods: Forty four original litters were categorized as high litter weight (HW) litters (n = 22) and low litter weight (LW) litters (n = 22) by 20-day litter weight. From each original HW litter, three males and three females were randomly selected after weaning and the 12 piglets from two original litters with similar age of days were regrouped into one new high litter weight (NHW) litter (11 NHW litters in total). The original LW litters were treated with a same program, so that there were 11 new low litter weight (NLW) litters as well. The latencies to first fighting, fighting frequencies and duration within three hours were recorded after regrouping and the lesions on body surface within 48 hours were scored. Besides, HR (heart rate, bpm, beats per minute) and activity count (ACT), time domain indexes and frequency domain indexes of the piglets were measured in an isolation trial to analyze the discrepancy in coping with stress between the original HW and LW litters. Results: The results exhibited that piglets from the HW litters launched fighting sooner and got statistically higher skin lesion score than those from the LW litters (p = 0.03 and 0.02, respectively). Regarding the HRV detection, compared with the HW litters, the LW litters exhibited a lower mean HR (p<0.05). In the isolation test, a highly significant higher ACT value was observed between the HW litters, compared to the LW litters (p<0.01).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standard deviation of R-R intervals, standard deviation of all normal to normal intervals, and most frequency-domain indicators: very low-frequency, low-frequency, and high frequency between the HW and LW litters as well. The difference in LF:HF was not significant (p = 0.779).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compared with litters of low 20-day litter weights, litters with higher 20-day litter weight take more positive strategies to cope with stress and have stronger HRV regulation capacity; HW litters demonstrate better anti-stress and adaptation capacity in the case of regrouping and isolation.

서리 탐지를 위한 '무인 다중센서 기반의 관측 시스템' 고안, 설치 및 시험 운영 (Unmanned Multi-Sensor based Observation System for Frost Detection - Design, Installation and Test Operation)

  • 김수현;이승재;손승원;조성식;조은수;김규랑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95-114
    • /
    • 2022
  • 본 연구는 MFOS라 명명한 다중센서 기반의 서리 관측 시스템의 고안 및 설치를 통해 서리의 자동 관측 가능성 및 실제 서리 발생 시 관련 영상 자료를 제시하였다. MFOS의 구성은 RGB 카메라, 열화상 카메라, LWS이며, 각 장비들은 서로 상보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서리 발생 전 장비의 시험 운영을 통해, 무강수 사례인 경우 높은 상대습도를 유지할 때 LWS의 전압값은 증가하였고, 특히 주변의 농수로로 인해 높은 상대습도가 유지되는 가평군 관측지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RGB 카메라 이미지에서는 일출 전과 일몰 후에 LWS와 지표면을 관측할 수 없었으나 나머지 시간에 대해서는 가능하였다. 강수 사례의 경우 강수 기간 동안 LWS의 전압값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강수 종료 후 감소하였다. RGB 카메라 이미지는 강수 현상과 상관없이 LWS와 지표면을 관측하였다. 반면, 열화상 카메라의 경우 강수 현상으로 인해 이미지 촬영은 되었지만 LWS와 지표면을 관측하지 못했다. 실제 서리가 발생한 사례의 자료를 통해, LWS의 전압값이 서리에 해당하는 범위보다 높더라도 RGB 카메라가 서리의 지표면 및 장비 표면 발생을 관측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병렬 세선화 알고리즘을 이용한 1-화소 굵기의 선 구하기 (Obtaining 1-pixel Width Line Using an Enhanced Parallel Thinning Algorithm)

  • 권준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6권1호
    • /
    • pp.1-6
    • /
    • 2009
  • 세선화 알고리즘은 문자인식, 도형 및 도면 인식 등에 매우 중요하게 사용되고 있다. 세선화 알고리즘은 여러 가지 방법으로 제안되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에 제안된 세선화 알고리즘 중 선처리가 후처리에 영향을 주지 않는 병렬 세선화 알고리즘 중에서 ZS, LW, 및 WHF 알고리즘의 문제점을 찾아내었다. ZS 알고리즘은 사선 방향에서 화소가 손실되는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LW 알고리즘은 사선 방향에서의 화소 두께가 1이 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알고리즘에서는 사선 방향에서 8근방을 이루며, 화소의 두께도 완전히 1이 되도록 개선시킨 병렬 세선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Comparison of Two Nondestructive Methods of Leaf Area Estimation

  • Woo, Hyo-Jin;Park, Yong-Mo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2권1호
    • /
    • pp.61-65
    • /
    • 2009
  • We compared two nondestructive methods for leaf area estimation using leaves of 16 common plant species classified into six types depending on leaf shape. Relatively good linear relationships between actual leaf area (LA) and leaf length (L), width (W), or the product of length and width (LW) were found for ordinary leaves with lanceolate, oblanceolate, linear and sagitttate shapes with entire margins, serrate margins, mixed margins with a entire form and shallow lobes, and ordinary incised margins. LA was better correlated with LW than L or W, with $R^2$ > 0.91. However, for deeply incised lobes, LA estimation using LW showed low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indicating low accuracy. On the other hand, a method using photographic paper showed a good correlation between estimates of area based on the mass of a cut-out leaf image on a photographic sheet (PW) and actual leaf area for all types of leaf shape. Thus, the PW method for LA estimation can be applied to all shapes of leaf with high accuracy. The PW method takes a little more time and has a higher cost than leaf estimation methods using LW based on leaf dimension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searchers should choose their nondestructive LA estimation method according to their research goals.

모래자갈층에서 터널시공을 위한 굴착 전 그라우팅 보강 사례 (Pre-reinforcing Grouting a Sand Gravel Layer for Tunnelling)

  • 김치환
    • 터널과지하공간
    • /
    • 제26권6호
    • /
    • pp.466-474
    • /
    • 2016
  • 터널의 윗부분이 모래자갈인 지층에서 터널을 시공하기 위하여 터널천정부를 그라우팅으로 굴착 전에 미리 보강하였다. 지하수가 있는 구간에서 강관다단그라우팅으로 LW 혹은 초미립자시멘트의 SSM을 주입하여 지하수 유출을 억제함과 동시에 모래자갈층의 강도를 높여 터널을 안전하게 시공할 수 있었다. 지하수가 배수되어 버린 구간에서는 제트그라우팅으로 보강한 후 터널을 시공하였다. 그라우팅 주입 후의 보강효과는 터널굴착 중 지하수의 유출 여부와 터널천정의 모래자갈이 부착되어 있지 않고 탈락하는지 여부로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