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SU (large subunit)

검색결과 93건 처리시간 0.019초

Sequence analysis of partial LSU rDNA of three Alexandrium species (Dinophyceae) hitherto unreported

  • Kim, Keun-Yong;Makoto Yoshida;Kim, Chang-Hoon
    • 한국양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양식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논문요약집
    • /
    • pp.35-35
    • /
    • 2003
  • We, for the first time, reported molecular sequences of large subunit ribosomal DNA Dl-D3 region of A. hiranoi, A. leei and A. satoanum hitherto unreported. In addition, this study presented the full-length sequences of A. affine, A. fraterculus, A. catenella and A. tamarense occurring in Korean coastal waters. In total, 17 Alexandrium morphospecies were subjected to the phylogenetic analysis using the Maximum-likelihood (ML) method. The alignment result of sequences of A. hiranoi and A. pseudogonyaulax showed that there were only two substitutions without length heterogeneity implying their genetic affiliation. In ML tree, A. leei formed a deeply diverging branch probably because of the accelerated evolutionary rate, and its phylogenetic position was so ambiguous to resolve the phylogenetic relationship to the residual taxa. An A. satoanum culture showing morphological variation in the sulcal plate formed an independent divergent branch with consistent sister relationship to A. hiranoi/A. pseudogonyaulax clade supported by the high posterior probability (PP) value. Blast search in GenBank showed the sequence data of A. affine, A. fraterculus, A. catenella and A. tamarense corresponded to their morphological species designation. In ML tree, Alexandrium species were commonly split into four main clades. The inter-clade relationships were not clear and usually supported by the week PP values. In general, the sulcal plate of Alexandrium species seemed to reflect the true phylogeny at the main clade level, and the connection between the 1 and the apical pore complex seemed to reflect the phylogeny at the subclade level.

  • PDF

무화과나무의 모무늬잎마름 증상에 관여하는 Pseudocercospora bolleana 동정 (Identification of Pseudocercospora bolleana Associated with Angular Leaf Spot on Common Fig in Korea)

  • 최인영;최영준;이총규;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39-545
    • /
    • 2021
  • 한국의 무화과나무 모무늬잎마름 증상에 관여하는 한 균주의 Cercospora류 곰팡이가 형태적으로는 Passalora속에 속하지만 계통학적으로는 Pseudocercospora속에 속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6점의 시료를 현미경으로 검경하였으며 두 균주를 염기서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 시료의 곰팡이는 형태적으로는Passalora bolleana와 일치하였다. ITS와 LSU 염기서열을 분자계통학적으로 분석한 결과 이들 두 균주가 Pseudocercospora속 집락에 위치하였다. 결과적으로, 한국 유래의 세 균주(본 연구의 두 균주와 이전의 한 균주)와 루마니아 유래의 한 균주는 모두 Pseucocercospora bolleana로 동정되었다. 추가적으로, 대만과 한국에서 무화과나무 점무늬병균으로 알려진 Pseudocercospora fici-caricae와도 비교하고 토의하였다.

범부채에서 녹병균 Puccinia iridis의 동정 (Identification of Puccinia iridis on Iris domestica in Korea)

  • 최인영;최영준;김진영;신현동
    • 한국균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89-94
    • /
    • 2019
  • 중국에서 범부채의 녹병균이 Puccinia iridis로 동정됨에 따라 우리나라에서도 범부채의 녹병균을 재검토하였다. 저자들이 채집한 2점의 시료를 형태적으로 검토한 결과 모두 P. iridis의 특징과 일치하였다. 또한 유전분석한 결과 ITS 및 LSU rDNA 영역의 염기서열이 기존에 기록된 P. iridis와 각각 100% 및 99%의 상동성을 나타냈다. 이를 Neighbor-joining 분석법으로 계통수를 작성하였을 때도 P. iridis 계통군에 속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 범부채의 녹병균으로 P. iridis의 존재가 확인되었다. 한편, 우리나라에서 2003년에 범부채의 녹병균으로 기록된 Puccinia belamcandae에 대한 재검토는 향후 숙제로 남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