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STM 알고리즘

Search Result 185, Processing Time 0.046 seconds

Escalator Anomaly Detection Using LSTM Autoencoder (LSTM Autoencoder를 이용한 에스컬레이터 설비 이상 탐지)

  • Lee, Jong-Hyeon;Sohn, Jung-M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mputer Information Conference
    • /
    • 2021.07a
    • /
    • pp.7-10
    • /
    • 2021
  • 에스컬레이터의 고장 여부를 사전에 파악하는 것은 경제적 손실뿐만 아니라 인명 피해를 예방할 수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실제 이러한 고장 예측을 위한 많은 딥러닝 알고리즘이 연구되고 있지만, 설비의 이상 데이터 확보가 어려워 모델 학습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 해결 방안으로 비지도 학습 기반의 방법론 중 하나인 LSTM Autoencoder 알고리즘을 사용해 에스컬레이터의 이상을 탐지하는 모델을 생성했고, 최종 실험 결과 모델 성능 AUROC가 0.9966, 테스트 Accuracy가 0.97이라는 높은 정확도를 기록했다.

  • PDF

Prediction of groundwater level in the middle mountainous area of Pyoseon Watershed in Jeju Island using deep learning algorithm, LSTM (딥러닝 알고리즘 LSTM을 활용한 제주도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의 지하수위 예측)

  • Shin, Mun-Ju;Moon, Soo-Hyoung;Moon, Duk Chu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91-291
    • /
    • 2020
  • 제주도는 강수의 지표침투성이 좋은 화산섬의 지질특성상 지표수의 개발이용여건이 취약한 관계로 용수의 대부분을 지하수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제주도는 정책 및 연구적으로 오랜 기간동안 지하수의 보전관리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 오고 있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강수의 변동성 증가로 인해 지하수위의 변동성 또한 증가할 가능성이 있으며 따라서 지하수위의 급격한 하강에 대비하여 지하수위의 예측 및 지하수 취수량 관리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지하수에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제주도의 수자원 이용 여건을 고려할 때, 지하수의 취수량 관리를 위한 지하수위의 실시간 예측이 필요한 실정이다. 하지만 기존의 예측방법에 의한 제주도 지하수위 예측기간은 충분히 길지 않으며 예측기간이 길어지면 예측성능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딥러닝 알고리즘인 Long Short Term Memory(LSTM)를 활용하여 제주도 남동쪽 표선유역 중산간지역의 1개 지하수위 관측정에 대해 지하수위를 예측하고 분석하였다. R 기반의 Keras 패키지에 있는 LSTM 알고리즘을 사용하였고, 입력자료는 인근의 성판악 및 교래 강우관측소의 일단위 강수량자료와 인근 취수정의 지하수 취수량자료 및 연구대상 관측정의 지하수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사용된 자료의 기간은 2001년 2월 11일부터 2019년 10월 31일까지 이다. 2001년부터 13년의 보정 및 3년의 검증용 시계열자료를 사용하여 매개변수의 보정 및 과적합을 방지하였고, 3년의 예측용 시계열자료를 사용하여 LSTM 알고리즘의 예측성능을 평가하였다. 목표 예측일수는 1일, 10일, 20일, 30일로 설정하였으며 보정, 검증 및 예측기간에 대한 모의결과의 평가지수로는 Nash-Sutcliffe Efficiency(NSE)를 활용하였다. 모의결과, 보정, 검증 및 예측기간에 대한 1일 예측의 NSE는 각각 0.997, 0.997, 0.993 이었고, 10일 예측의 NSE는 각각 0.993, 0.912, 0.930 이었다. 20일 예측의 경우 NSE는 각각 0.809, 0.781, 0.809 이었으며 30일 예측의 경우 각각 0.677, 0.622, 0.633 이었다. 이것은 LSTM 알고리즘에 의한 10일 예측까지는 관측 지하수위 시계열자료를 매우 적절히 모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20일 예측 또한 적절히 모의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하면 본 연구대상지점에 대한 2주일 또는 3주일의 안정적인 지하수위 예보가 가능하다고 판단된다. 또한 LSTM 알고리즘을 통한 실시간 지하수위 예측은 지하수 취수량 관리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PDF

Prediction of Sea Water Condition Changes using LSTM Algorithm for the Fish Farm (LSTM 알고리즘을 이용한 양식장 해수 상태 변화 예측)

  • Rijayanti, Rita;Hwang, Mintae
    •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 /
    • v.26 no.3
    • /
    • pp.374-380
    • /
    • 2022
  • This paper shows the results of a study that predicts changes in seawater conditions in sea farms using machine learning-based long short term memory (LSTM) algorithms. Hardware was implemented using dissolved oxygen, salinity, nitrogen ion concentration, and water temperature measurement sensors to collect seawater condition information from sea farms, and transferred to a cloud-based Firebase database using LoRa communication. Using the developed hardware, seawater condition information around fish farms in Tongyeong and Geoje was collected, and LSTM algorithms were applied to learning results using these actual datasets to obtain predictive results showing 87% accuracy. Flask and REST APIs were used to provide users with predictive results for each of the four parameters, including dissolved oxygen. These predictive results are expected to help fishermen reduce significant damage caused by fish group death by providing changes in sea conditions in advance.

Applicability & Limitation of a Deep-Learning Algorithm, LSTM for Hydrologic Time-series Analysis (수문시계열 분석을 위한 딥러닝 알고리즘 LSTM의 적용성 및 한계)

  • Lee, Gi Ha;Jung, Sung Ho;Lee, Dae Eop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32-3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시계열 예측에서 우수한 성과를 보이고 있는 딥러닝 알고리즘 LSTM(Long & Short Term Memory) 모형의 수문시계열 분석에 있어서의 적용성을 검토하고, 모형의 활용가능성과 한계점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물리적 강우-유출 모형과의 비교 검토, 일반하천 및 감조하천에서의 수위 예측, 월강수량 및 댐방류량을 활용한 갈수량 예측 등에 LSTM 모형을 적용하고, 결과분석을 통해 모형의 장 단점을 요약하였다. 상기 목적을 위한 모형적용 결과, LSTM 모형은 수문시계열 예측에 있어 우수한 예측능력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양적/질적 수문자료가 충분히 확보되었지만, 수문해석 모형구축에 제약이 있는 유역에 대해서 보완적 수단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Video Stabilization Algorithm of Shaking image using Deep Learning (딥러닝을 활용한 흔들림 영상 안정화 알고리즘)

  • Lee, Kyung Min;Lin, Chi Ho
    • The Journal of the Institute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v.19 no.1
    • /
    • pp.145-152
    • /
    • 2019
  • In this paper, we proposed a shaking image stabilization algorithm using deep learning. The proposed algorithm utilizes deep learning, unlike some 2D, 2.5D and 3D based stabilization techniques. The proposed algorithm is an algorithm that extracts and compares features of shaky images through CNN network structure and LSTM network structure, and transforms images in reverse order of movement size and direction of feature points through the difference of feature point between previous frame and current frame. The algorithm for stabilizing the shake is implemented by using CNN network and LSTM structure using Tensorflow for feature extraction and comparison of each frame. Image stabilization is implemented by using OpenCV open sourc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lgorithm can be used to stabilize the camera shake stability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shaking images.

Comparison of Deep Learning Models Using Protein Sequence Data (단백질 기능 예측 모델의 주요 딥러닝 모델 비교 실험)

  • Lee, Jeung Min;Lee, Hyun
    • KIPS Transactions on Software and Data Engineering
    • /
    • v.11 no.6
    • /
    • pp.245-254
    • /
    • 2022
  • Proteins are the basic unit of all life activities, and understanding them is essential for studying life phenomena. Since the emergence of the machine learning methodology using artificial neural networks, many researchers have tried to predict the function of proteins using only protein sequences. Many combinations of deep learning models have been reported to academia, but the methods are different and there is no formal methodology, and they are tailored to different data, so there has never been a direct comparative analysis of which algorithms are more suitable for handling protein data. In this paper, the single model performance of each algorithm was compared and evaluated based on accuracy and speed by applying the same data to CNN, LSTM, and GRU models, which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representative algorithms in the convergence research field of predicting protein functions, and the final evaluation scale is presented as Micro Precision, Recall, and F1-score. The combined models CNN-LSTM and CNN-GRU models also were evaluated in the same way. Through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LSTM as a single model is good in simple classification problems, overlapping CNN was suitable as a single model in complex classification problems, and the CNN-LSTM was relatively better as a combination model.

Prediction of water level in sewer pipes using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을 활용한 하수관로 수위 예측)

  • Heesung Lim;Hyunuk An;Hyojin Lee;Inhyeok S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93-93
    • /
    • 2023
  • 최근 범지구적인 기후변화로 인해 도시유역의 홍수 발생 빈도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불투수성이 큰 도시지역의 침수 등의 자연재해 증가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하수도의 제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면 문제가 없지만 이상기후로 인한 기록적인 폭우에 의해 침수가 발생하고 있다. 홍수 및 집중호우와 같은 극치사상의 발생빈도가 증가됨에 따라 강우 사상의 변동에 따른 하수관로의 수위를 예측하고 침수에 대해 대처하기 위해 과거 수위에 따른 수위 예측은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위 예측 연구에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계열 학습에 탁월한 LSTM 알고리즘을 활용한 하수관로 수위 예측을 진행하였다. 데이터의 학습과 검증을 수행하기 위해 실제 하수관로 수위 데이터를 수집하여 연구를 수행하였으며, 대상자료는 서울특별시 강동구에 위치한 하수관로 수위 자료를 활용하였다. 하수관로 수위 예측에는 딥러닝 알고리즘 RNN-LSTM 알고리즘을 활용하였으며, RNN-LSTM 알고리즘은 하천의 수위 예측에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 바 있다. 1분 뒤 하수관로 수위 예측보다 5분, 10분 뒤 또는 1시간 3시간 등 다양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분석을 위해 하수관로 수위값 변동이 심한 1주일을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에는 Google에서 개발한 딥러닝 오픈소스 라이브러리인 텐서플로우를 활용하였으며, 하수관로 수위 고유번호 25-0001을 대상으로 예측을 하였다. 학습에는 2012년 ~ 2018년의 하수관로 수위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모형의 검증을 위해 결정계수(R square)를 이용하여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Machine Learning Algorithms Evaluation and CombML Development for Dam Inflow Prediction (댐 유입량 예측을 위한 머신러닝 알고리즘 평가 및 CombML 개발)

  • Hong, Jiyeong;Bae, Juhyeon;Jeong, Yeonseok;Lim, Kyoung J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17-317
    • /
    • 2021
  • 효율적인 물관리를 위한 댐 유입량 대한 연구는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통해 40년동안의 기상 및 댐 유입량 데이터를 이용하여 소양강댐 유입량을 예측하였으며, 그 중 고유량과 저유량예측에 적합한 알고리즘을 각각 선정하여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결합한 CombML을 개발하였다. 의사 결정 트리 (DT), 멀티 레이어 퍼셉트론 (MLP), 랜덤 포레스트(RF), 그래디언트 부스팅 (GB), RNN-LSTM 및 CNN-LSTM 알고리즘이 사용되었으며, 그 중 가장 정확도가 높은 모형과 고유량이 아닌 경우에서 특별히 예측 정확도가 높은 모형을 결합하여 결합 머신러닝 알고리즘 (CombML)을 개발 및 평가하였다. 사용된 알고리즘 중 MLP가 NSE 0.812, RMSE 77.218 m3/s, MAE 29.034 m3/s, R 0.924, R2 0.817로 댐 유입량 예측에서 최상의 결과를 보여주었으며, 댐 유입량이 100 m3/s 이하인 경우 앙상블 모델 (RF, GB) 이 댐 유입 예측에서 MLP보다 더 나은 성능을 보였다. 따라서, 유입량이 100 m3/s 이상 시의 평균 일일 강수량인 16 mm를 기준으로 강수가 16mm 이하인 경우 앙상블 방법 (RF 및 GB)을 사용하고 강수가 16 mm 이상인 경우 MLP를 사용하여 댐 유입을 예측하기 위해 두 가지 복합 머신러닝(CombML) 모델 (RF_MLP 및 GB_MLP)을 개발하였다. 그 결과 RF_MLP에서 NSE 0.857, RMSE 68.417 m3/s, MAE 18.063 m3/s, R 0.927, R2 0.859, GB_MLP의 경우 NSE 0.829, RMSE 73.918 m3/s, MAE 18.093 m3/s, R 0.912, R2 0.831로 CombML이 댐 유입을 가장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하천 유황을 고려한 여러 머신러닝 알고리즘의 결합을 통한 유입량 예측 결과, 알고리즘 결합 시 예측 모형의 정확도가 개선되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는 추후 효율적인 물관리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motion Analysis Using a Bidirectional LSTM for Word Sense Disambiguation (양방향 LSTM을 적용한 단어의미 중의성 해소 감정분석)

  • Ki, Ho-Yeon;Shin, Kyung-shik
    • The Journal of Bigdata
    • /
    • v.5 no.1
    • /
    • pp.197-208
    • /
    • 2020
  • Lexical ambiguity means that a word can be interpreted as two or more meanings, such as homonym and polysemy, and there are many cases of word sense ambiguation in words expressing emotions. In terms of projecting human psychology, these words convey specific and rich contexts, resulting in lexical ambiguity. In this study, we propose an emotional classification model that disambiguate word sense using bidirectional LSTM. It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if the information of the surrounding context is fully reflected, the problem of lexical ambiguity can be solved and the emotions that the sentence wants to express can be expressed as one. Bidirectional LSTM is an algorithm that is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of natural language processing research requiring contextual information and is also intended to be used in this study to learn context. GloVe embedding is used as the embedding layer of this research model, and the performance of this model was verified compared to the model applied with LSTM and RNN algorithms. Such a framework could contribute to various fields, including marketing, which could connect the emotions of SNS users to their desire for consum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