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S-DYNA

검색결과 433건 처리시간 0.027초

IMPACT ANALYSIS OF A WATER STORAGE TANK

  • Jhung, Myung-Jo;Jo, Jong-Chull;Jeong, Sang-Ji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7호
    • /
    • pp.681-688
    • /
    • 2006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ynamic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 structure impacted by a high speed projectile. The impact of a 300 kg projectile on a water storage tank is simulated by the general purpose computer codes ANSYS and LS-DYNA. Several methods to simulate the impact are considered and their results are compared. Based upon this, an alternative impact analysis method that is equivalent to an explicit dynamic analysis is proposed. The effect of fluid on the responses of the tank is also addressed.

MIL-S-901D 부유식 충격시험기의 충격응답 해석 (Shock Response Analysis of A MIL-S-901D Floating Shock Platform)

  • 권정일;이상갑;정정훈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1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II
    • /
    • pp.761-765
    • /
    • 2001
  • Shock responses of the MIL-S-901D standard floating shock platform("SFSP") subject to underwater explosions(UNDEX) are analyzed by using the LS-DYNA/USA. For the analysis, surrounding fluids as well as the SFSP are included in a 3D FE model to consider the cavitation effects of the UNDEX shock wave. The calculated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existing test results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analysis results predict accurately the shock behaviors of the SFSP.

  • PDF

유체-구조 상호작용을 고려한 해안구조물의 해저면 세굴에 대한 조파실험 해석 기법 연구 (Study on Modeling Procedure of Hydraulic Experiment of Coastal Structure Scour at Sea-Bed Using Fluid-structure Interaction)

  • 강경원;김기동;한동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1A호
    • /
    • pp.49-53
    • /
    • 2012
  • 해안사면의 침식을 막기 위한 해안구조물이 해저면과의 경계면에서 파랑에 의하여 세굴이 발생 할 수 있으며, 세굴에 의한 기초지반의 유실로 해안구조물의 붕괴에 이를 수 있다. 이러한 세굴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기존의 직립식 해안구조물을 다양한 형태의 해안구조물로 개선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해안구조물의 세굴 방지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조파 실험이 필요하다. 조파실험에 선행하여 모델링을 수행하고 실험결과의 검증 및 추가 분석을 하는 과정을 통해서 큰 비용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조파실험 해석기법을 제안하기 위해서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인 LS-DYNA를 사용하여 유체-구조 상호 작용을 고려한 조파 실험 모델링을 하고, 해안구조물과 상호작용에 의한 유체 흐름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직립형, 경사형, 계단형, 사석형의 4가지 해안구조물의 세굴이 발생 가능성이 높은 위치를 선정하여 유속을 통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도시철도 충돌사고 시뮬레이션 및 충돌안전도 개선방안 연구 (Study on Computational Simulation of a Metro Collision Accident and Improvement of Passive Safety)

  • 정현승;손승완;권태수;김진성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9호
    • /
    • pp.885-89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서울메트로 2 호선 상왕십리역에서 발생한 전동열차 충돌사고에 대하여 사고재현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사고재현을 위해 상용 충돌해석 소프트웨어인 LS-DYNA를 사용하여 1 차원 및 3 차원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1 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차량 연결기의 하중, 변위, 충격흡수 에너지 및 차량의 가속도를 분석하여 사고 시 충돌안전도를 평가하였으며, 3 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차량의 변형 및 타고오름 현상을 분석하였다. 또한 사고 전동차의 충돌안전도 향상을 위한 개선방안들을 제시하고, 그 중 선두차량에 고용량 완충장치를 적용하는 방안에 대하여 1 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해 충돌안전도의 개선 여부를 확인하였다.

RC슬래브와 연성충격체의 충돌시뮬레이션 영향인자 분석 (Influencing Factors on Numerical Simulation of Crash between RC Slab and Soft Projectile)

  • 정철헌;이정휘;김상윤;이재하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591-599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외연적 수치해석기법을 사용한 RC슬래브와 연성충격체의 충돌시뮬레이션 수행시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영향인자들에 대한 변수연구를 수행하여 각 인자들이 해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수치시뮬레이션은 1970~1980년대에 독일에서 원자력발전소의 항공기충돌 설계와 관련하여 수행한 다수의 시험 중 하나인 Meppen test에 대하여 수행하였으며, 총 21case의 실험 중 II/4 실험의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치해석에 사용한 software는 LSTC사의 LS-DYNA이며, 변수연구에서 고려한 인자로는 콘크리트와 강재의 재료모델, strain rate 효과, 지점조건의 모델링 방법 등이다. 이러한 인자들에 대한 적절한 고려를 통해 보다 정확한 시뮬레이션 결과를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콘크리트 재료모델의 경우 해석결과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크므로 각 모델별 특징을 사전에 인지하고 해석케이스에 적절한 재료모델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선운동량 보존의 법칙을 활용한 감충지주의 충돌거동 (Impact Performance of Crashworthy Post Utilizing Conservation of Linear Momentum)

  • 고만기;김기동;노민형;윤덕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8966-8976
    • /
    • 2015
  • 도로변에 노출된 지주는 충돌 시 탑승자 안전에 치명적인 위험물이다. 노출된 지주에 충돌하는 차량의 탑승자 안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차량과 지주가 소성충돌로 일체화 되는동안 충돌차량의 선형운동량이 지주로 전달되어 충돌에너지의 일부가 1차적으로 소산되고 감소된 속도로 이동하는 지주의 베이스가 기초에 매입된 충격에너지 흡수용 모듈을 충격하여 변형시킴으로써 나머지 에너지가 소산되는 감충지주를 개발하였다. LS-DYNA프로그램을 이용한 충돌 해석을 실시하여 강결된 지주의 문제점을 보이고 개발 단계별 감충지주와 차량의 거동을 분석하여 최종 설계된 감충지주가 노출상태에서 0.9ton-80km/h의 속도로 정면충돌하는 경우에 안전하게 대응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수 구조부 구조해석 시스템 개발(3) - 동적 구조해석 - (Development of Structural Analysis System of Bow Flare Structure(3) - Dynamic Structural Analysis -)

  • 이상갑;박중규
    • 대한조선학회논문집
    • /
    • 제37권1호
    • /
    • pp.99-110
    • /
    • 2000
  • 파랑충격하중에 의한 선수 구조부의 손상은 주로 충격압력역적과 파랑충격하중이 가한 면적에 의하여 크게 영향을 받는다. 본 연구에서는 세 번째 단계로서 LS/DYNA3D를 이용하여 파랑충격하중에 대한 DWT 300,000급 VLCC의 선수 구조부의 동적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검증을 하고자 한다. 극치 6.5MPa, 후부높이 1.0MPa, 지속시간 5.0msec인 파랑충격압력 곡선을 강성이 작은 보강재로 보강된 선수 구조부에는 면적 $1.5s{\times}1.5s$, 대체로 강성이 큰 스트링거 등의 부재로 보강된 경우는 면적 $2.5s{\times}2.5s$에 가한다. 이상의 동적 구조해석을 통하여 넓은 간격의 보강재가 부착된 선수 구조부에는 외판과 보강재에 큰 손상변형이 발생한 것 이외는 고려 중인 유조선의 선수 구조부는 본 연구의 파랑충격하중에 대하여 충분한 강도를 지닌다고 사료된다.

  • PDF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구속도 및 드롭패널에 따른 방폭 성능 평가 (Evaluation of Blast Resistance of Slab-Column Connections According to the Confinement Effects and Drop Panel)

  • 임광모;이주하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7권2호
    • /
    • pp.451-457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폭발하중을 받는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거동을 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슬래브-기둥의 거동을 분석하기 위해 유한요소해석프로그램 LS-DYNA를 사용하여 폭발해석을 수행하였다. 대상 접합부의 형태는 일반적인 내부기둥형태의 슬래브-기둥 접합부와 기둥주위에 드롭패널(drop panel)을 보강한 접합부로 설정하였다. 또한, 슬래브에 의한 기둥의 구속도에 따라 내부기둥, 외부기둥 그리고 모서리기둥 시험체를 모델링하여 비교분석이 수행되었다. 해석결과는 접합부의 파괴형상, 단위부재의 거동 등을 포함하고 있다. 해석결과 드롭패널을 보강한 경우 슬래브-기둥 접합부의 거동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슬래브에 의한 기둥의 구속도가 감소할수록 거동이 저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등가정하중법을 이용한 텔레비전 포장재의 구조최적설계 (Optimization of the Television Packing System Using Equivalent Static Loads)

  • 이영명;정의진;박경진;한인식;김태경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9권3호
    • /
    • pp.311-318
    • /
    • 2015
  • 텔레비전의 운송 중 발생 가능한 낙하상황을 설정하고, 낙하충격으로부터 텔레비전을 보호할 수 있는 텔레비전 포장재의 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텔레비전 포장재의 최적설계는 등가정하중법을 이용하여 비선형동적응답 구조최적설계를 수행하였으며, 포장재의 최적설계 과정을 본 연구에서 제안하였다. 개념설계 단계에서 등가정하중법을 적용한 위상최적설계를 수행하였으며 상세설계 단계에서 가상모델을 사용한 응력등가정하중법을 이용하여 형상최적설계를 수행하였다. 응력등가정하중은 비선형동적응답 해석의 변위장뿐만 아니라 응력반응장과 동일한 선형해석반응장을 유발하는 선형정적하중이다. 즉, 비선형동적응답 해석에서의 응력반응장을 구조최적설계에서 제한조건을 설정할 수 있는 것이다. 실제 예제를 통해 등가정하중법을 적용한 최적설계 과정의 유용성을 검증하였다. 텔레비전 포장재 낙하 테스트는 LS-DYNA 를 사용하였으며 구조최적설계는 NASTRAN 을 사용하였다.

드로잉 가공 성형폭약용기의 강판절단성능에 관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Simulation on the Steel Plate Cutting Performances of Bent-Shaped Charge Holder Blasting)

  • 민경조;박훈;오세욱;박세웅;석철기;조상호
    • 화약ㆍ발파
    • /
    • 제36권3호
    • /
    • pp.19-28
    • /
    • 2018
  • 지진 및 예기치 못한 외부하중에 의하여 손상된 구조물의 경우, 2차적인 국부손상 및 이로 인한 붕괴가 발생할 수 있어 발파해체공법에 의한 철거가 우선시 고려되고 있다. 특히 철재로 이루어진 교량 및 구조물의 경우 성형폭약을 이용한 발파해체기법이 적용되어 오고 있다. 최근에는 구리판을 드로잉 가공한 성형폭약용기에 상용폭약을 장전하여 두꺼운 철판을 절단하는 발파공법이 제안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LS-DYNA 동해석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 드로잉 가공 성형폭약용기와 상용폭약을 적용한 25mm 두께의 철판 절단실험발파를 모사하고 절단형상 및 깊이를 비교분석하여 적용구성모델의 입력변수를 결정하였다.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폭약의 종류, 구리 라이너의 두께, 이격거리의 변화에 따른 철판 내 관통깊이 및 관통 폭을 분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