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RF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27초

MSRDS를 이용한 모바일 로봇의 시뮬레이션 동기화 및 온라인 피드백 제어 (Synchronization in Simulation and On-line Feedback Control for Mobile Robots Using The MSRDS)

  • 이윤섭;최상호;이영삼;김진걸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8년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93-94
    • /
    • 2008
  • 로봇을 개발함에 있어 많이 겪는 어려움 중 하나는 열악한 시뮬레이션 환경 및 소프트웨어 개발이다. Microsoft사(社)의 MSRDS(Microsoft Robotics Developer Studio)는 3D시뮬레이션 환경과 로봇 구동을 위한 각종 표준화된 서비스들을 지원함으로써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원자력 발전소의 중 저준위 폐기물 저장창고 검사 로봇을 대상으로 MSRDS를 이용하여 3D 시뮬레이션 및 온라인 피드백 제어를 수행하였다. 로봇은 사륜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주행 환경 확인을 위한 카메라, 장애물 감시용 LRF(Laser Range Finer)센서, 주변 환경 감지를 위한 온도센서, 습도센서 및 MSRDS가 장착된 산업용 3D가 탑재되어 있다. MSRDS의 제어신호는 이벤트로 생성되어 3D 시뮬레이션 렌더링 시간과 동기화되며, Brick 서비스를 통해 전송된다. 피드백은 10ms 주기로 LRF 센서, Motor 엔코더 값을 받아 3D 시뮬레이션에 반영된다. 본 논문에서는 MSRDS의 시뮬레이션 및 실제 로봇과의 동기화 방식을 제시하며 구동 실험으로 검증하였다.

  • PDF

벼농사용 무인 제초로봇의 건답환경 주행 성능 (Traveling Performance of a Robot Platform for Unmanned Weeding in a Dry Field)

  • 김국환;김상철;홍영기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43-50
    • /
    • 2014
  • This paper introduces a robot platform which can do weeding while traveling between rice seedlings stably against irregular land surface of a paddy field. Also, an autonomous navigation technique that can track on stable state without any damage of the seedlings in the working area is proposed. Detection of the rice seedlings and avoidance knocking down by the robot platform is achieved by the sensor fusion of a laser range finder (LRF) and an inertial measurement unit (IMU). These sensors are also used to control navigating direction of the robot to keep going along the column of rice seedling consistently. Deviation of the robot direction from the rice column that is sensed by the LRF is fed back to a proportional and derivative controller to obtain stable adjustment of navigating direction and get proper returning speed of the robot to the rice column.

VRS RTK를 이용한 원거리 표적좌표획득의 정확도 향상에 대한 연구 (Study for Improving Target Coordinate Acquisition Accuracy from Long Distance by VRS RTK)

  • 이동녁;윤근식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471-480
    • /
    • 2018
  • Accurate target coordinate is very important in military operations especially field artillery's ground-to-ground attack and air-force's air-to-ground attack. DOS(or TAS) is used to acquire target coordinates from long distance. DOS is comprised of LRF and goniometer. LRF measures distance between DOS and target. Goniometer is comprised of azimuth and vertical angular sensors, DMC and internal GPS receiver. DOS must set the position and orientation(finding grid north) before measurement step(target coordinate acquisition). To improve accuracy of target coordinate, VRS RTK and reference point method are proposed in DOS setup step. VRS RTK provides accurate location coordinate with small deviations, providing high accuracy and precision in positioning and orientation. As a result, horizontal coordinate(easting and northing) accuracy is improved from 2.68 mil(C.L. = 0.95) mil to 0.58 mil(C.L. = 0.95).

ROS를 이용한 이동 로봇 제어 시스템 구현 (An Implementation of the Control System of the Mobile Robot using ROS)

  • 문용선;노상현;임승우;배영철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1호
    • /
    • pp.1713-1718
    • /
    • 2013
  • 본 논문은 로봇 미들웨어 기술 중 ROS(Robot Operating System)를 이용하여 이동 로봇의 원격 제어 및 인공전위계를 이용한 충돌회피를 구현하였으며, 충돌회피 노드에 동적 재구성(dynamic reconfigure)을 적용하였다. 또한 ROS의 주된 목적인 공유와 협업에 맞게 LRF와 조이스틱과 같은 로봇에 자주 사용되는 하드웨어를 ROS에서 제공하는 노드로서 재사용하였다.

방글라데시 해안지대 기후변화에 따른 영세 어업인 생계 위험 경감 방안 (Livelihood Risk Reduction for Artisanal Fisheries Communities due to Climate Change in Coastal Area of Bangladesh)

  • 강경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6권3호
    • /
    • pp.341-346
    • /
    • 2023
  •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n alternative income generation (AIG) for local artisanal fisheries communities in the southern coastal area of Bangladesh, which is vulnerable to climate change. To analyze the problems of local artisanal fisheries caused by climate change, field surveys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ishermen and government officials were conducted. Livelihood risk factor (LRF) in the marine fishing sector included reduction of fishing days and fish production and damage to fishing vessels and fishing gear due to cyclone and sea-level rise. LRF in the aquaculture sector included cultured fish escape, reduction of aquaculture production, and water pollution due to Monsoon flood. A common challenge for two sectors was high interest rate on commercial loans. Small-scale tank aquaculture is recommended as AIG for securing income of artisanal fisheries communities. In the early stages of dissemination of small-scale tank aquaculture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prevent fishermen from struggling to repay high-interest rate loans through technology transfer and facility support by 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 The aquaculture training center, along with the technical education, will also contribute toward expansion of local distribution network and marketing support to establish a value chain for local artisanal fisheries communities.

자동 로봇 용접을 위한 Hand-Eye 레이저 거리 측정기 기반 용접 평면 인식 기법 (Hand-Eye Laser Range Finder based Welding Plane Recognition Method for Autonomous Robotic Welding)

  • 박재병;이성민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9호
    • /
    • pp.307-313
    • /
    • 2012
  • 본 논문은 자동 로봇 용접을 위한 Hand-Eye 레이저 거리 측정기 기반 용접 평면 인식 기법을 제안한다. 로봇 용접은 대상체의 형상에 의해 미리 정의된 용접선을 따라 금속 대상체를 용접 평면에 접합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성공적인 로봇 용접을 위해서는 용접 평면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히 검출해야 한다. 만약 평면의 위치와 방향을 정확히 검출하지 못한다면 자동 로봇 용접은 실패하게 된다. 정밀한 용접 평면 인식을 위해 레이저 거리 측정기를 이용해 평면상의 직선을 검출한다. 레이저 거리측정기에 의한 직선 검출을 위해 Hough 변환을 적용한다. Hough 변환은 투표 방법을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센서의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 때 레이저 거리 측정기가 부착된 로봇 관절을 회전시켜 평면상의 두 개의 직선을 검출한 후 두 직선의 방향 벡터에 외적을 취해 평면의 방향을 인식한다. 제안된 방법의 실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Simlab사에서 개발한 로봇 시뮬레이터인 RoboticsLab을 이용해 시뮬레이션을 수행한다.

실내 자율주행을 위한 ROS 기반 이동 로봇의 경로 계획 방법 (A path planning method for indoor Self-driving robot based on ROS)

  • 백지훈;김상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238-241
    • /
    • 2018
  • 본 논문은 Linux ubuntu에서 로봇 개발 플랫폼 ROS(Robot Operating System)을 이용하여 실내 자율주행 관련 패키지와 LRF센서를 사용한 경로탐색을 하기까지의 과정 그리고 향후의 설계 방안에 대해 다룬다.

항공기 착륙 시에 발생하는 고도측정 오차 개선을 위한 필터설계 (A Filter Design for Reducing Altitude Measurement Errors Arising during Aircraft Landing)

  • 송대범;임상석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3권2호
    • /
    • pp.97-107
    • /
    • 1999
  • 항공기의 착륙을 추적하기 위해 많이 사용되는 수동 센서인 레이저 거리 측정기(LRF)와 전방관측 적외선 카메라(FLIR)는 배기가스교란(Exhaust Plume Disturbance)으로 인한 고도각 측정 시에 오차를 발생시킨다. 이 경우에 확장형 칼만필터(EKF)를 사용하여 거리 및 고도를 측정하면 배기가스(plume)와 같은 비-가우시안 잡음 때문에 추적 성능이 저하된다. 본 논문에서는 배기가스의 발생 타이밍을 검출기(PD)를 사용하여 확인한 후에 배기가스가 발생하면 적응형 추산법을 사용하고 배기가스의 영향이 없을 때에는 기존의 확장형 칼만필터를 사용하는 복합 방식을 제안하고 이를 위한 적응형 필터를 설계한다. 이 혼합형 필터는 배기가스와 같은 미지의 바이어스를 제거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이러한 성능을 예증한다.

  • PDF

결합 가능한 모듈형 4족 로봇의 설계 및 작업 계획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ask Planning and Design of Modular Quadruped Robot with Docking Capability)

  • 선은혜;김용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6권3호
    • /
    • pp.169-175
    • /
    • 2016
  • 최근 다양한 환경에서 지능형 로봇의 안정된 이동과 작업계획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상하 결합가능한 구조의 4족 로봇의 설계 및 작업 계획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4족 로봇은 리니어 모터를 이용하여 다리 길이를 조절하고, 팔각뿔 형태의 도킹모듈을 이용하여 상하 결합과 분리가 가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로봇이 다양한 환경에서 안정된 이동과 정보 수집을 위하여 지자기 센서, PSD 센서, LRF 센서와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장애물 회피 동작방법과 상하 결합 동작방법을 제안하고 구현하였다. 로봇은 다리 길이를 조절하여 장애물을 극복하고, 두 대의 로봇이 상하 결합을 통하여 협력 작업방법을 제안하였다. 두 대의 4족 로봇이 상하 결합을 통하여 4족과 6족 보행을 하고, 상부 결합 로봇의 4개의 다리를 4개의 팔 또는 2개의 팔로 사용할 수 있으며, 결합된 로봇을 이용하여 물건 옮기기 작업을 구현하고, 각 동작들을 실제 실험으로 기능을 검증하였다.

허리 구조를 갖는 복합 바퀴-다리 이동형 로봇의 설계 (Design of Hybrid Wheeled and Legged Mobile Robot with a Waist Joint)

  • 최대규;정동혁;김용태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4권3호
    • /
    • pp.304-309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허리 구조를 갖는 복합 바퀴-다리 이동형 로봇의 설계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복합 이동형 로봇은 비평탄 및 평탄 지형에서의 효과적인 이동을 위하여 로봇의 다리에 바퀴가 결합된 복합 바퀴-다리 구조와 로봇 주행 중 보행 자세로의 안정적인 전환과 비평탄 지형에서 기구적인 제한의 개선을 위하여 허리 관절을 갖는 구조로 설계하였다. 또한 다양한 지형을 인지하기 위하여 LRF센서, PSD센서, CCD 카메라를 사용하였다. 제안한 로봇 시스템의 검증을 위해 지형별 주행과 보행 자세를 선택할 수 있는 운동 계획 기법을 제안하였다. 실제 복합 바퀴-다리 이동형 로봇을 설계 및 제작하고, 제안된 운동계획을 사용한 실험을 통해 지형에 따른 효율적인 이동 성능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