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PR

검색결과 83건 처리시간 0.03초

삼인산 나트륨과 아질산 나트륨에 의한 탄소강 부식방지 특성 연구 (Study on The Corrosion Inhibition Characteristics of Carbon Steel by Sodium Phosphate And Sodium Nitrite)

  • 문전수;이재근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9권3호
    • /
    • pp.137-141
    • /
    • 2010
  • Sodium nitrite is widely used as one of the popular corrosion inhibitors for the protection of ferrous metal in closed cooling water system, such as a diesel engine and a chiller. The optimum treatment conditions are studied through laboratory tests using linear polarization resistance (LPR) technique. Corrosion rate of the carbon steel electrode could be maintained less than $2.5{\times}10^{-3}$ mmpy in the test condition of 500 ppm as ${NO_2}^-$, 200 ppm as $Cl^-$, $70^{\circ}C$ and pH 6.8. The pH control is confirmed not to be an important factor in the protection of carbon steel by sodium nitrite inhibitor. The addition of tolyltriazole was needed for the protection of the copper alloy in the sodium nitrite treatment system.

Corrosion of rebar in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bonded reinforced concrete

  • Bahekar, Prasad V.;Gadve, Sangeeta S.
    • Advances in concrete construction
    • /
    • 제8권4호
    • /
    • pp.247-255
    • /
    • 2019
  • Several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that get deteriorated by rebar corrosion are retrofitted using Carbon Fiber Reinforced Polymer (CFRP). When rebar comes in direct contact with CFRP, rebar may corrode, as iron is more active than carbon. Progression of corrosion of rebar in strengthened RC structures has been carried out when rebar comes in direct contact with CFRP. The experimentation is carried out in two phases. In phase I, corrosion of bare steel bar is monitored by making its contact with CFRP. In phase II, concrete specimens with surface bonded CFRP were casted and subjected to the realistic exposure conditions keeping direct contact between rebar and CFRP. Progression of corrosion has been monitored by various parameters: Half-cell potential, Tafel extrapolation and Linear Polarisation Resistance. On termination of exposure, to find residual bond stress between rebar and concrete, pull-out test was performed. Rebar in contact with CFRP has shown substantially higher corrosion. The level of corrosion will be more with more area of contact.

Anti-DNA Autoantibodies from on MRL/Ipr Mouse

  • Park, Jeong-Soo;Kim, Young-Tai;Lee, Chan-Hee;Youn, Jung-Koo;Jang, Young-Ju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2권3호
    • /
    • pp.371-375
    • /
    • 1998
  • Twenty-one monoclonal anti-DNA autoantilndies were produced by fusing spleen cells from an autoimmune MRL/lpr mouse with SP2/0 myeloma cells. Hybridomas generated by the fusions were chosen for cloning on the basis of DNA binding by supernatant antibody. Each monoclonal antibody was purified to homogeneity and analyzed for the heavy and light chain isotypes and the binding specificity for single-stranded DNA, double-stranded DNA, and RNA. Sequence specificities and isoelectric points of the antibodies were also examined. All of the antibodies were lgG and tended to bind to both single-stranded and double-stranded DNA with a preference for the double-stranded form. Some of them also bound to RNA. Isoelectric points of the antibodies were shown to be high. The antibodies described in this report have characteristics of pathogenic anti-DNA antibodies.

  • PDF

자동차 정면의 구조적 특징을 이용한 번호판 영역 추출 방법 (A Method for Extraction of License Plate Region using Structural Properties of Vehicles)

  • 이윤희;김봉수;김경환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3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0 No.2 (2)
    • /
    • pp.601-603
    • /
    • 2003
  • 최근에 차량수의 증가로 인하여 교통량이 증가하고 그로 인하여 ITS(Intelligent Transport System)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LPR system(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은 ITS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논문에서는 차량의 번호를 인식하기 위해 선행되어야 하는 과정인 대상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추출하고 구성 숫자들을 분리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영상에서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찾는 부분과 번호판의 숫자를 분리하는 부분으로 구성이 되어 있다. 먼저 입력 영상에서 gradient를 구하게 된다. 구해진 gradient에서 차량의 구조와 transition의 횟수를 조사를 통해서 번호판 영역을 찾게 된다. 찾아진 번호판 영역에서 adaptive threshold를 적용하여 숫자들을 분리하게 된다. 실내 주차장 환경에서 촬영된 영상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정리하였다.

  • PDF

A New Algorithm of License Plate Location

  • 김단;손영익;김갑일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4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108-110
    • /
    • 2004
  • Automatic license plate recognition (LPR) is one of the critical techniques of the intelligent transportation system (ITS), in which license plate loc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is paper, through surveying the international existing techniques, a new method for locating license plate is proposed: utilize row scan method to locate up and down boundary of the plate; and based on the location of up and down boundary, take advantage of the feature of plate area to locate left and right boundary of the plate. The tests of using the proposed algorithms have been conduct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pproaches are reasonable and accurate.

  • PDF

A Newly Synthesized Schiff Base Derived from Condensation Reaction of 2,5-dichloroaniline and benzaldehyde: Its Applicability through Molecular Interaction on Mild Steel as an Acidic Corrosion Inhibitor by Using Electrochemical Techniques

  • Ozkir, Demet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0권1호
    • /
    • pp.37-54
    • /
    • 2019
  • A new organic Schiff base compound N-benzylidene-2,5-dichloroaniline (BDC) was synthesized and the structure of the Schiff base is illuminated by some spectroscopic techniques. In addition, whether it is an applicable inhibitor in the industrial field was examined by conventional methods such as linear polarization resistance (LPR), electrochemical impedance spectroscopy (EIS) and potentiodynamic polarization for different concentrations. The BDC concentration and temperature effects were surveyed for elucidating the inhibitive mechanism. The BDC molecules are adsorbed to surface of mild steel via the Langmuir isotherm. Atomic force (AFM)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techniques were utilized to give insight into surface characterization.

개에서 0.1% FK-506 연고의 피부 비만세포와 호산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0.1% Tacrolimus on Canine Skin Mast Cells and Eosinophils)

  • 정아영;배슬기;오태호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95-101
    • /
    • 2014
  • Goat-anti-canine IgE polyclonal antibody로 유발한 개 피부염에 대한 0.1% FK-506 연고의 항염효과를 평가하였다. 임상적으로 건강한 성견 5두를 사용하여 실험군은 대조군, 위약적용군, FK-506 적용군으로 구분하였다. 항염효과는 팽진의 크기, 피부생검 검사를 통한 비만세포와 호산구수를 측정하여 평가하였으며 비만세포는 Toluidine blue, 호산구는 Luna 염색법을 사용하였다. 염증유발 15분 후의 팽진의 크기는 FK-506 적용군에서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p < 0.01). 6, 12, 24 시간 후 염증유발부위에 대한 피부생검을 각각 실시하였다. 정상피부의 비만세포는 $12.32{\pm}3.27cells/mm^2$ 이었으며 12시간 후에 FK-506 적용군은 $5.79{\pm}0.86cells/mm^2$으로 대조군의 $1.89{\pm}0.49cells/mm^2$, 위약군의 $1.74{\pm}0.50$ 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1). 정상피부의 호산구는 $2.73{\pm}2.24cells/mm^2$ 이었다. 대조군, 위약 적용군, FK-506 적용군의 호산구 수는 12 및 24 시간 후 FK-506 적용군에서 대조군과 위약 적용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 < 0.01). 따라서 FK-506 연고는 급성염증과 아토피증상과 유사한 후기염증에서 항염효과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안드로이드 기반 스마트 캠 방식의 저가형 자동차 번호판 인식 시스템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ow-cost LPR(License Plate Recognition) System Based On Smart Cam System using Android)

  • 이희열;이승호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18권4호
    • /
    • pp.471-477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기반으로 하는 스마트 캠 방식의 저가형 자동차 번호판 인식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휴대용 단말기와 서버로 구성된다. 단말기 하드웨어부는 ARM Cortex-A9(S5PV210) 프로세서로 이루어진 제어부, 전원부, 유무선통신부, 입출력부 등으로 구성된다. 단말기에 사용되는 카메라와 WiFi 모듈을 위한 리눅스 커널을 포팅하고 전용 디바이스 드라이버를 개발하였다. 번호판 인식 알고리즘은 캐니 에지검출기를 사용한 번호판 후보영역 설정, 레이블링을 이용한 번호판 번호 추출, 템플릿 매칭을 이용한 번호인식 등으로 구현된다. 단말기에 의하여 인식된 번호는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폰을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에 전송되어 차량상태를 데이터베이스에서 검색하여 다시 단말기로 전송 해주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시스템을 효용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자연환경에서 사용자가 직접 단말기를 휴대하고 임의의 차량 번호판을 촬영하여 인식률을 확인한 결과, 95%의 인식률을 보였다. 제안된 시스템은 저가형의 휴대용 번호판 인식기에 적합하며,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함으로써 장기간 사용 시에도 시스템의 안정성을 가능케 하였다.

옥외영상의 개선된 차량번호판 인식기술 (An Improved License Plate Recognition Technique in Outdoor Image)

  • 김병준;김동훈;이준환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6권5호
    • /
    • pp.423-431
    • /
    • 2016
  • 일반적으로 옥외영상에서의 자동차 번호판 인식은 인위적인 환경에서와는 다르게 기하학적으로 왜곡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조명 변화도 크기 때문에 단순환 문제가 아니다. 본 논문에서는 일반 CCTV 카메라로 옥외에서 촬영된 영상에서 자동차 번호판 인식을 위한 개선된 기술들을 제안한다. 먼저 다양한 특징을 상보적으로 사용하는 직렬구조의 다단계 Adaboost 검출기를 제안한다. 제안하는 검출기는 MB-LBP 및 Haar-like 특징을 사용하는 Adaboost 구조를 직렬로 연결하여 번호판 검출의 검출성능을 향상시켰다. 또한 검출된 번호판의 기하학적 왜곡을 보정하고 번호판의 타입을 먼저 결정하여 영상처리를 용이하게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런 방법은 그래이 변환, 문자/숫자 분리, 분리된 영상의 영상처리 등에서 사전지식 없이 전체 번호판 영상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효율적이다. 본 논문에서 DBN(Deep Belief Network)를 문자/숫자 인식기로 사용하여 영상처리과정에서 기인한 획 손실이나 기울어짐 같은 기하학적인 왜곡에서도 강건한 인식률을 달성하였다.

차량번호판 색상모델에 의한 번호판 영역분할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Segmenting the License Plate Region of a Vehicle Using a Color Model)

  • 전영민;차정희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3권2호
    • /
    • pp.21-32
    • /
    • 2006
  • 번호판인식은 번호판 영역분할, 개별문자 추출, 문자 인식의 세 가지 핵심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번호판 영역분할의 정확성은 전체 인식률을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도로주변 환경을 고려해야하는 불법주정차 무인단속 현장으로부터 획득된 영상에서 차량의 번호판 영역을 정확하고 빠르게 분할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접근방법은 현장영상으로부터 번호판영역의 분할성능을 높이기 위하여 번호판색상의 수학적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이용한 이진화를 수행하며, Gaussian Smoothing과 Double Threshold을 이용한 잡영제거, 1-패스 경계추적 레이블링 및 레이블링 이후 MBR을 이용한 번호판 영역후보 판정과 판정된 번호판 영역후보에서 개별문자 추출을 통한 번호판영역 검증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번호판영역을 분할하는 방법이다. 본 연구는 기존방법의 번호판 테두리 훼손에 따른 번호판 영역분할 실패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시간소요의 문제를 실시간 안에 처리함으로서 실용적 응용이 가능하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