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M guide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2초

고유진동수 조절이 가능한 액체댐퍼의 건물응답 제어실험 (Experimental Verification of a Liquid Damper with Changeable Natural Frequency for Building Response Control)

  • 김동익;민경원;박지훈;김재건;황규석;길용식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323-330
    • /
    • 2012
  • 본 연구진은 최근 U자 형태인 액체댐퍼의 수직관을 다수의 셀(사각 기둥)로 나누어 셀 상부를 개폐함에 따라 다양한 고유진동수를 쉽게 재현하는 새로운 멀티셀 액체댐퍼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댐퍼를 1층 건물 모형에 설치하여 진동대 실험을 수행하여 건물응답이 감소되는 것을 검증하였다. 64층의 풍응답인 가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댐퍼를 설계하기 위하여 건물을 1자유도계로 축소하였다. 가속도 기반 상사비인 1/20를 적용하여 1층 건물 모형과 새로운 댐퍼를 제작하였다. 설계 진동수인 0.65Hz가 구현되도록 모형건물의 질량과 강성을 쉽게 조절할 수 있도록 탈부착식으로 제작하였다. 모형건물은 중량을 부담하는 질량부와 하부에 스프링과 LM guide가 설치된 구동부로 나누어서 제작되었다. 18개의 셀을 가지는 액체댐퍼를 제작하여 고유진동수 조절 범위가 0.65Hz~0.81Hz인 것을 파악하였다. 대형 진동대에 설치한 모형건물의 일방향 가진을 통하여 모형의 응답을 측정하고 모형상부에 멀티셀 액체댐퍼가 설치되었을 경우 모형의 응답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진동대 가속도를 입력과 모형건물의 가속도를 출력으로 하는 전달함수를 통해 결과를 나타내었다. 예상한 바와 같이 멀티셀 액체댐퍼의 고유진동수를 건물의 진동수에 동조시켰을 경우 건물의 가속도 응답이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CCD-카메라를 이용한 홀 변위 자동측정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utomatic Hole Position Measurement System using the CCD-camera)

  • 김병규;최재영;강희준;노영식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130
    • /
    • 2004
  • For the quality control of the industrial products, an automatic hole measuring system has been developed. The measurement device allows X-Y movement due to contact forces between a hole and its own circular cone and the device is attached to an industrial robot. Its measurement accuracy is about 0.04mm. This movement of the plate is measured by two LVDT sensor system. But this system using the LVDT sensors is restricted by high cost and precision of measurement and correspondence of environment so particularly, a vision system with CCD-Camera is discussed in this paper for the above mentioned purpose. The device consists of two of two links jointed with hinge pins basically and, they guarantee free movement of the touch prove attached on the second link in the same plane. These links are returned to home position by the spring plungers automatically after each process for the next one. On the surface of the touch prove, it has a circular white mark for camera recognition. The system detect and notify the center coordinate of capture mark image through the image processing. Its measuring accuracy has been proved to be about $\pm$0.01mm through the repeated implementation over 200 times. This technique will shows the advantage of touch-indirect image capture idea using cone-shaped touch prove in various symmetrical shaped holes particulary, like tapped holes, chamfered holes, etc As a result, we attained our object in a view of the accuracy, economical efficiency, and functionality

  • PDF

미 군사규격을 적용한 권취 코어 자동공급장치의 진동해석 (Vibration Analysis of Film Winding Core Automatic Supply System Using US Military Standards)

  • 고정일;박수현;허장욱
    • 한국기계가공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91-99
    • /
    • 2022
  • By applying METHOD 514.8 of the US military standard MIL-STD-810H, vibration analysis of the winding core automatic feeding device was performed during vehicle transportation.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LM guide and main support frame was weak in the vertical axis, transverse axis, and longitudinal axis during the transportation of the automatic winding core feeder vehicle, and the maximum equivalent stress was 236.31 MPa in the longitudinal axis. When random vibration was applied, the safety margi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as 0.26, indicating low safety. The safety margin was changed by increasing the damage factor to 0.1. Finally, the safety margin was improved to 3.48 to secure safety. Resonance occurred with a Q factor of 9.34 in the harmonic response to which the RMS value of the ASD data was input, and the vertical axis safety margin was derived as 0.16. When the damping factor was 0.15, the Q factor was 3.37, and resonance was avoided with a safety margin of 6.62.

학습분석 기반 교수자 피드백 제공을 위한 대시보드 설계 (The Design of Dashboard for Instructor Feedback Support Based on Learning Analytics)

  • 임성태;김은희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1-15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학습분석 기반 교수자 피드백 제공을 위해 LMS(Learning Management System) 대시보드를 설계하여 교수자 관점에서 개별 학습자의 학습 수행 정보를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학습자별로 추천된 피드백을 교수자가 유용하게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대시보드는 교수자 피드백 분류체계표에서 적용된 LMS의 교육적 활용 데이터를 근거로 설계되었다. 총 2회에 걸쳐 8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교육공학 전문가 8인을 대상으로 대시보드 설계 전반에 대해 타당화 검사를 실시하여 수정하였다. 연구의 결과로 설계된 최종 대시보드 화면은 종합분석 대시보드, 학습자분석 요약 대시보드, 추천 피드백 안내 대시보드로서 크게 3부분이 있고, 그에 따른 세부적인 분석 정보를 각각 제공하는 로그인 분석 대시보드, 학습정보확인 분석 대시보드, 강의자료학습 분석 대시보드, 과제/시험 분석 대시보드, 게시글 분석 대시보드 화면으로 총 8개의 대시보드로 구성된다. 모든 대시보드는 선행 연구에 근거하여 학습분석학 기반의 분석 정보 및 데이터에 따라 적합한 그래프 유형 및 표로 시각화 기법을 통해 적용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교수자 피드백 제공을 위한 대시보드의 활용에 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과제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