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S Courses

검색결과 42건 처리시간 0.027초

문헌정보학 교육의 MOOCs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f Ways to Utilize MOOCs in LIS Education)

  • 장윤금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263-282
    • /
    • 2015
  • 문헌정보학 분야에서의 온라인교육은 그동안 대학 교육과정 혹은 대학간 컨소시엄을 통한 협력형 온라인 프로그램을 통해 지속적으로 확산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진행된 MOOCs의 출현과 발전은 전통적인 온라인교육과는 달리 수강 인원에 제한이 없이(Massive), 모든 사람이(Open), 무료로 온라인(Online) 환경에서 학습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교육강좌(Courses)란 점에서 미래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부각되고 있다. 문헌정보학 분야도 예외는 아니며 해외에서는 iSchool 대학을 중심으로 주요 문헌정보학 전공교과목을 MOOCs로 개설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에서의 MOOCs 활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국내 A 대학 문헌정보학과 전공 기초 교과목에 해외의 문헌정보학 MOOCs 강좌의 일부를 활용함으로써 사례조사를 실시하였다. 수강생을 대상으로 진행된 설문조사 및 포커스그룹 인터뷰 결과, 참가자들은 언어적 장벽은 있으나 MOOCs 수업 콘텐츠에 대한 흥미, 유용성 및 향후 다른 MOOCS 수강 의지에 모두 대체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에 MOOCs 활용방안에 대한 제언으로 교육적 가치 및 운영방식 확립, 학생들의 동기부여 및 문헌정보학 분야의 특성을 고려한 MOOCs 설계방안 마련 등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의 신규교과목 개설추이 분석 연구 (A Study on New Courses Offered in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29-5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지난 20년간(1991년~2011년)의 한국 문헌정보학 교과과정을 분석함으로써 교과목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총 개설과목 수가 전체적으로 증가하여 왔고, 학부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증가하였고, 핵심과목 수는 감소하였으며, 다시 학과제로 전환하면서 학부기초과목 수는 감소하고, 핵심과목 수는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전국 34개 4년제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을 문헌정보학일반, 정보조직학, 정보조사제공학, 도서관 정보센터경영학, 정보학, 서지학, 기록관리학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분포도를 조사하였는데, 지난 20년간 정보조사제공학과 정보학 분야를 제외한 대부분의 영역에서 그 교과목 수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본 연구를 통해서 사라진 과목, 과목 명칭이 바뀐 과목, 여러 과목이 통합된 과목, 하나의 과목이 여러 과목으로 세분화된 과목, 그리고 시대의 발전에 따라 새롭게 등장한 과목들이 밝혀졌다.

문헌정보학 건강 관련 과목의 주제 및 내용 분석: ALA 인가를 받은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Health-related Courses' Topics and Contents of ALA-accredited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Programs)

  • 오상희;김수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69-89
    • /
    • 2018
  • 본 연구는 미국도서관협회의 인가를 받은 문헌정보학과의 대학원 수준에서 제공되는 건강 관련 수업의 현황을 조사하고, 학업계획서 분석을 통해 해당 수업에서 다뤄지는 주요 주제와 내용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 결과 61개 문헌정보학 프로그램 중 44개 프로그램에서 최소 한 개 이상의 건강 관련 수업을 제공하고 있었으며 가장 많이 개설된 수업은 '건강 정보원', '의료정보학', '소비자건강정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세 분야에서 총 21개의 학업계획서를 온라인을 통해 수집하였고, 수업 개요, 주별 주제, 교재, 숙제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헌정보학 프로그램에서 건강 관련 수업을 개설하거나 개선하려는 강사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다.

The Role of People, Information, and Technology in LIS Education: Driving a Call for Action Towards the UN 2030 Agenda

  • Kim, Heesop;Alenzuela, Reysa C.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4권4호
    • /
    • pp.16-29
    • /
    • 2016
  • Around the world, public access to information plays a crucial role in improving lives and facilitating development. People, technology, and information, which also represent common themes of i-Schools, are deemed relevant in adapting to these global challenge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dentify the orientation of curriculums in LIS Schools in South Korea toward technology, information, and people for graduate school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This research also correlates the directions of the schools with the UN 2030 Agenda. Using the Wilson model, this study examines the orientation of courses offered. The result of classification and content analysis revealed that courses offered are leaning towards technology and information content. Courses reviewed in the light of developing knowledge and skills of information professionals to facilitate the fulfillment of global goals can make libraries more responsive to the changing times.

Data Aspec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A in Selected African Universities

  • Francis Ssekitto;Fester Mukiibi
    • International Journal of Knowledge Content Development & Technology
    • /
    • 제13권4호
    • /
    • pp.81-94
    • /
    • 2023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ata aspects i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urricula at all levels in selected African Universities. Design/methodology/approach - A review of existing literature on data aspects and LIS Curricula. Secondly, the study juxtaposed web-based courses for fourteen LIS schools to establish data aspects incorporated into their curricula. Findings - The study's findings found that although many LIS schools have some form of data aspects in curricula, coverage is still very limited and basic.

국내 데이터사이언스 학위 및 교과 운영 현황과 문헌정보학과로의 함의 (Data Science Degree and Curriculum in Korea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Information Field)

  • 박형주;이희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3권3호
    • /
    • pp.431-454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서 수여하는 데이터사이언스 학위 및 교과 운영 현황과 국내외 정보대학의 데이터사이언스 교과 운영 현황을 이해함으로써, 국내 문헌정보학과의 데이터사이언스 교과 운영에 대한 함의를 살펴보는 것이다. 데이터 수집의 대상은 2022년 한국교육개발원에서 공개한 국내 439개 학교의 데이터사이언스 학위였다. 분석의 대상은 데이터사이언스 학위를 운영하는 국내의 대학교, 단과대학, 학부, 학과, 세부 전공, 연계전공, 융합전공, 마이크로 학위, 나노 학위, 트랙, 모듈, 산학협동 과정 등이었다. 교과 분석을 위해서 국내 데이터사이언스 학위 과정에 개설된 1,148개의 교과 명을 분석했다. 국내 문헌정보학과 학사 과정의 1,325개의 교과 명을 분석해서 국내 문헌정보학과의 데이터사이언스 교과 운영 현황을 확인했다. 국내의 데이터사이언스 학위는 개론, 기술, 실습, 응용, 심화 교과 등 데이터사이언스 교과를 골고루 개설하고 있었다. 국내 문헌정보학과는 데이터사이언스와 관련된 교과 개설에 적극적이지 않았으나, 개설한 경우에는 데이터사이언스 개론, 데이터베이스, 데이터시각화, 데이터큐레이션, 메타데이터, 빅데이터, 정보 기술 교과가 개설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문헌정보학의 관점에서 데이터사이언스 학위 과정, 세부 전공, 연계전공, 융합전공, 마이크로 학위, 나노 학위, 연계 트랙, 모듈, 산학협동과정 등의 교과의 개발 및 개정에 필요한 논의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한국의 자료조직 교육에 대한 진단과 방향 모색 (A New Direction in Korea's LIS Education: Focused on the Field of Information Organization)

  • 노지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225-245
    • /
    • 2011
  • 이 연구는 도서관에서 간접적이고 기술적인 업무로 여겨지는 '자료조직' 영역을 중심으로 우리 교육의 현실을 있는 그대로 드려내 보이기 위한 기초 작업이자 이 영역의 교육방향에 대한 심층적인 논의를 이끌어 내기 위한 발제로서의 목적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먼저 전국의 32개 대학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교과목 중 자료조직 교과목의 비중과 교육의 주요 내용을 파악하였다. 이어, 우리 학문의 원조가 되어 온 미국의 문헌정보학계에서 진행되어온 자료조직 영역의 교육목표와 기본방향, 그리고 내용에 대한 그간의 논의를 살펴보면서 자료조직과 관련한 우리 교육의 방향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논의에 필요한 기초데이터는 기존의 국내외 연구는 물론이고 전국 32개 대학의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과 강의개요 그리고 북미의 주요 문헌정보대학원의 교육목표와 내용 등을 활용하였다.

국내 문헌정보학 주요 교과목 강의계획서 분석 및 개발 연구 (A Study on Analyzing and Developing the Syllabus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Core Courses)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43-17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지식정보사회의 능력있는 전문사서 양성을 위한 주요 전공과목의 교과내용을 개발,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39개 문헌정보학과에 개설된 핵심 전공과목의 강의계획서를 조사 분석하여 국내 문헌정보학 교육내용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주요 교과목의 교과내용인 강의계획서 개발대상과목은 2011년 선행연구에서 제안된 핵심 교과목으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론",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도서관실습" 6개 과목이다. 강의계획서는 강의개요(목표 및 목적), 교수법, 평가방법, 주요 교재, 15주 또는 16주의 강의일정 및 내용(강의계획서)을 포함한다.

한국문헌정보학 교과과정 운영모형 및 표준교과목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Curriculum Operating Model and Standard Courses for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in Korea)

  • 노영희;안인자;최상기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55-8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운영모형을 조사하여 국내 현실에 맞는 운영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며, 운영모형에 기반하여 한국문헌정보학 표준교과목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국외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교과과정 분석결과, 국내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그리고 현장사서를 대상으로 한 관종별 직무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문헌정보학 필수교과목, 핵심교과목, 그리고 선택교과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다. 최종 제안된 문헌정보학 필수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개론, 정보조직학, 정보서비스론, 도서관경영론, 정보검색론, 사서실습이다. 핵심과목은 6개 과목으로서, 정보자료분류목록실습, 주제별정보원(참고정보원), 장서개발론, 디지털도서관론, 서지학개론, 기록관리학개론이다. 선택과목은 총 20개 과목으로서, 문헌정보학 영역 4개 과목(도서및도서관사, 지식정보사회와 도서관, 도서관과저작권, 문헌정보학연구방법론), 정보조직학 영역 2개 과목(메타데이터의 이해, 한국문헌자동화목록실습), 정보조사제공학 영역 3개 과목(정보활용교육론, 독서지도론, 정보이용자연구), 도서관 정보센터경영학 영역 4개 과목(도서관협력론, 관종별도서관운영론, 도서관마케팅, 비도서자료관리론), 정보학 영역 6개 과목(데이터베이스운영론, 색인초록론, 정보학개론, 정보시스템론, 도서관시스템자동화, 도서관정보네트워크), 기록관리학 영역 1개 과목(기록보존론)이다.

독서교육 교과목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 문헌정보학과에서 제공되는 독서교육 과목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ontent Construction of "Reading Education" Course in LIS)

  • 이명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3-44
    • /
    • 2007
  • 대학 문헌정보학과의 사서교사 양성 과정과 관련한 독서교육 관련 교과목의 운용 체계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국 19개 문헌정보학 대학원의 독서교육 관련 교과목의 내용 구성과 전국 32개 대학 문헌정보학과의 독서교육 관련 교과목의 운용상태를 조사 분석하였다. 국내 대학에서 제공하는 독서교육 관련 과목들은 주로 독서지도(론) 또는 독서교육(론) 등의 명칭으로 32개교 중 28개교에서 개설되어 있었으며, 과목수는 45과목이었다. 각 대학에서 개설된 과목의 수를 살펴보면, 독서지도 관련 과목이 한 과목 이상 개설된 28개 학교 중 가장 많은 과목을 개설한 학교는 공주대 5개 과목, 계명대와 청주대가 각각 3과목씩 개설하고 있었다. 학교도서관 사서교사 양성을 위하여 13주 강의로 구성된 독서교육 강의계획서의 교육내용을 제안하였다: 세 가지 강조점인 다양한 독서자료의 구성, 독서교육방법, 독서치료에 관한 사항을 중심으로 내용을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