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5

검색결과 5,207건 처리시간 0.032초

연소합성법에 의한 결함구조 Li4Mn5O12제조와 하이브리드 커패시터 적용 (Synthesis of Defective-Structure Li4Mn5O12 by Combustion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Hybrid Capacitor)

  • 김훈욱;선양국;이범석;진창수;신경희
    • 전기화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03-109
    • /
    • 2010
  • $LiNO_3$, $Li(CH_3COO){\cdot}2H_2O$ 그리고 $Mn(CH_3COO)_2{\cdot}4H_2O$를 출발물질로 하여 $Li_4Mn_5O_{12}$를 합성 하였으며 합성방법은 연소합성법을 사용하였다. $Li_4Mn_5O_{12}$$400^{\circ}C$ 이상의 열처리 온도에서 얻을 수 있었으나 $400^{\circ}C$로 열처리 하였을 때 $Mn_2O_3$가 같이 존재하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400^{\circ}C$에서 5시간동안 열처리한 $Li_4Mn_5O_{12}$를 3.7~4.4 V의 전압범위에서 1C-rate로 충방전 하였을 때 가장 좋은 첫 번째 방전용량(41.5 mAh/g)을 나타내었다. 이것을 하이브리드 커패시터에 적용하였을 때 100 mA/g의 전류밀도에서 24.74 mAh/g (10.46 mAh/cc)의 방전용량을 나타내었으며 이때의 에너지 밀도는 39 Wh/kg (16.49Wh/cc)으로 우수하였다.

Li drifted Ge 검출기에 관해서 (For the Li Drifted Germanium Detector)

  • 함창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권2호
    • /
    • pp.16-21
    • /
    • 1967
  • 이 보고는 처음에 Li drifted Ge 검출기에 관해서 이 Li drifted Ge 검출기에 의한 열중성자로부터의 Cl(n, r) 반응에서 생기는 r선 스텍트로를 보여준다. 이 Li drifted Ge 검출기의 에너지 분해능은 의 122KeV에서 4.5KeV, 의 1333KeV에서 10KeV이다.

  • PDF

흡수식냉난방기용 다성분 리튬염 작동매체의 증기압 및 용해도 측정 (Measurement and Analysi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Multi Lithium Salts Solution in Absorption Heat-Pumps)

  • 주우성;김희택;오영삼;백영순
    • 공업화학
    • /
    • 제9권1호
    • /
    • pp.82-88
    • /
    • 1998
  • 고효율 공냉형 흡수식 냉방기를 위한 신작동매체로 기존의 $LiBr-H_2O$계에 높은 흡수성과 용해성를 지닌 $LiNO_3$과 LiCl 무기물을 각각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조된 다성분계의 작동매체에 대한 용해도와 증기압을 측정하여 $LiBr-H_2O$계와 비교 분석하였으며, 이들에 대한 최적혼합비를 각각 구하였다. 용해도 측면에서 $LiBr-LiNO_3-H_2O$계의 경우, LiBr과 $LiNO_3$의 최적혼합 몰비는 5:1이었으며, 반면 $LiBr-LiNO_3-LiCl-H_2O$계의 경우 LiBr, $LiNO_3$, LiCl의 최적혼합몰비는 5:1:2로 나타났다. 한편 증기압은 $LiBr-H_2O$계에 $LiNO_3$의 첨가량이 증가하였으나, LiCl의 경우에는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각각 나타내었다.

  • PDF

졸-겔법으로 합성한 Cr 첨가 Li4Ti5O12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of Cr Added Li4Ti5O12 Prepared by Sol-gel Method)

  • 김선아;조우람;정구현;조병원;나병기
    • 전기화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7-32
    • /
    • 2011
  • Cr을 첨가한 $Li_4Ti_5O_{12}$의 전기화학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산화물에 금속원자가 치환될 경우에 결정구조가 변화되며, $Li_4Ti_5O_{12}$의 전기화학적 특성이 변화하게 된다. 졸-겔법을 이용하여 $Li_4Ti_{5-x}Cr_xO_{12}$ (x = 0~0.2)를 제조하였으며, 전기로에서 $800{\sim}850^{\circ}C$로 공기중에서 12시간 동안 열처리하였다. 시료의 물리적인 특성은 TG-DTA, XRD, SEM, FT-IR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전기화학적인 특성은 0.01~2.0V의 범위에서 배터리충방전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Li_4Ti_5O_{12}$는 1C에서 169.9 mAh/g의 용량을 나타내었으며, 0.1C로 변화되었을 경우에 초기용량의 97.5%를 나타내었다. $Li_4Ti_{4.9}Cr_{0.1}O_{12}$ 시료는 1C에서 193.8 mAh/g의 용량을 보였으며, 0.1C에서는 초기용량의 98.8%를 나타내었다.

Growth and Characterization of $K_3LiNb_6O_{17}$ Single Crystals

  • Tae Hoon Kim;Seong Hyun Kim;Min Su Jang;Jung Nam Kim;Ji Hyun Ro
    • The Korean Journal of Ceramics
    • /
    • 제6권3호
    • /
    • pp.272-275
    • /
    • 2000
  • Starting from the stoichiometric composition of $K_2$CO$_3$: Li$_2$CO$_3$: Nb$_2$O$_5$=3 : 2 : 5 with the mole ratio, $K_3$LiNb$_6$O$_17$ 17/ single crystals were grown using the Czochralski method. Although the starting melt composition corresponds to the $K_3$Li$_2$Nb$_5$O$_15$ crystals, the chemical composition of the as grown crystals appears to be $K_2.95$Li$_1.33$Nb$_6.17$O$_17$ or $K_2.60$Li$_1.17$Nb$_{5.44}$ 5.44/O$_{15}$ which relatively contain fewer Li ions than $K_3$Li$_2$Nb$_5$O$_15$ crystals. We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the deficiency of the Li ions in the tetragonal tungsten bronze structure through the measurements of DE loop, temperature dependent dielectric constant, 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and temperature dependent X-ray diffraction pattern.

  • PDF

정극 재료용 $LiO_2-P_2O_5-Bi_2O_3-V_2O_5$ 유리의 결정화 특성 (Crystallization properties of $LiO_2-P_2O_5-Bi_2O_3-V_2O_5$ Glass for cathod material)

  • 손명모;이헌수;구할본;정인성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 2000년도 영호남학술대회 논문집
    • /
    • pp.311-315
    • /
    • 2000
  • Vanadate glass in the $LiO_2-P_2O_5-Bi_2O_3-V_2O_5$ system containing 10mol% glass fonner, $P_2O_5$ and $Bi_2O_3$ was prepared by melting the batch in pt. crucible followed by Quenching on the copper plate. We found that $LiO_2-P_2O_5-Bi_2O_3-V_2O_5$ glass-ceramics obtained from nucleation of glass showed signifieantly higher capacity and longer cycle life than conventionally made crystalline $LiV_3O_{8}$. In the present paper, we describe the charge / discharge properties during crystallization process and find the best crystallization condition of $LiO_2-P_2O_5-Bi_2O_3-V_2O_5$ glass as cathod material.

  • PDF

정극재료용 $Li_{2}O-P_{2}O_{5}-V_{2}O_{5}$계 결정화 유리의 전기화학적 특성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Li_{2}O-P_{2}O_{5}-V_{2}O_{5}$ Glass-ceramics for cathode Material)

  • 손명모;이헌수;김종욱;김윤선;구할본
    • 한국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652-657
    • /
    • 2001
  • Vanadate glasses containing 10~20mol% glass former, P$_2$O$_{5}$ were prepared by melting the batch in platinum crucible and quenching on the copper plate. Li$_2$O-P$_2$O$_{5}$-V$_2$O$_{5}$ glass-ceramics having LiV$_3$O$_{8}$ were obtained by heat-treatment of this glass in crystallization temperature. The glass-ceramics showed singnificantly good capacity and long cycles life according to heating condition. In this paper, we described electrochemical properties during crystallization process and found the best crystallizaton condition of Li$_2$O-P$_2$O$_{5}$-V$_2$O$_{5}$ glass as cathode material. Li$_2$O-P$_2$O$_{5}$-V$_2$O$_{5}$ glass-ceramics heat-treated at 233$^{\circ}C$ for 3 hors showed good rechargeable capacity of 220mAh/g in the cycling range between 2.0 and 3.9V.en 2.0 and 3.9V.

  • PDF

LiTaO3 및 LiMbO3 단결정 내의 상자성 불순물에 관한 전자 자기공명 연구 (Electron Magnetic Resonance Study of Paramagnetic Impurities in LiTaO3 and LiMbO3 Single Crystals)

  • 염태호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204-210
    • /
    • 2003
  • 강유전체 물질인 LiNbO$_3$ 및 LiTaO$_3$ 단결정 내에 불순물로 첨가되어 있는 상자성 전이원소인 Cr$^{3+}$ , $Mn^{2+}$, Fe$^{3+}$ 이온에 관한 전자 자기공명 연구를 하였다. 이들 두 단결정 내에 들어있는 불순물 이온에 대하여 중첩모델을 써서 계산한 영자기장 갈라지기 상수의 값을 실험에서 얻은 영자기장 갈라지기 값 및 기존에 보고된 많은 연구 논문과 비교 분석하여 상자성 불순물이 결정 내의 어느 자리를 치환하고 들어가는지를 연구하였다. LiNbO$_3$ 단결정 내의 Cr$^{3+}$ 이온이 불순물로 들어 갈 경우에는 두 가지 공명 중심이 가능하며, Li$^{+}$ 및 Nb$^{5+}$이온 자리를 각각 치환하고 들어간다. 또한 LiNbO$_3$ 결정 내의 $Mn^{2+}$ 및 Fe$^{3+}$ 이온의 경우에는 두 이온 모두 Nb$^{5+}$ 이온 자리를 치환하고 들어간다. LiTaO$_3$ 단결정 내에 불순물로 들어가 있는 Cr$^{3+}$ 및 Fe$^{3+}$ 이온은 모두 Li$^{+}$ 이온 자리를 치환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