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L

검색결과 77건 처리시간 0.024초

광학활성 코발트 (III) 착물과 라세미-코발트(II) 착물간의 입체선택적 전자전달반응 (Stereoselective Electron-Transfer Reaction between Optical Active Cobalt(III) Complex and Racemic Cobalt(II) Complex)

  • 이동진;정맹준;도명기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500-505
    • /
    • 1991
  • 광학활성인 ${\bigwedge}$-[CO(EDDS)]$^-$와 리간드의 conformation 변화에 있어 제한되는 착물인 $[Co({\pm}chxn)_3]^{2+}$간의 전자전달반응에 따른 입체선택성을 수용액 중에서 조사한 결과 4개의 conformational isomer($lel_3,\;lel_2ob,\;lelob_2,\;and\;ob_3)$가 존재하는 ${\Delta}-[Co(chxn)_3]^{3+}$가 생성되었으며 각 이성질체의 광학순도는 각각 22% e.e, 25% e.e, 11% e.e, 10% e.e로서 나타났다. Λ-[CO(EDDS)]-와 [Co($\pm$ chxn)$_3]^{2+}$간의 전자전달반응에 따른 입체선택성을 DMSO 중에서 반응시킨 결과 두 개의 conformational isomer($lel_3, lel_2ob$)을 포함하는 ${\bigwedge}$-[Co(chxn)$_3]^{3+}$가 생성되었으며 광학순도는 $lel_3$의 경우가 100% e,e로 나타났으며, $lel_2ob$의 경우는 75% e.e로 나타났다.

  • PDF

표고버섯 렉틴의 사이토카인 생성 양상 및 특성 (EFFECTS OF LENTINUS EDODES LECTINS ON CYTOKINE GENE EXPRESSION FROM HUMAN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 이인경;김희선;전경희;김성광;정시련
    • 한국응용약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응용약물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3-113
    • /
    • 1995
  • 본 연구는 표고버섯에서 분리정제한 렉틴 성분(LEL)을 말초혈액 단핵세포(PBMC)에 반응시켜 사이토카인 유도능을 지질다당류(LPS)와 비교하여 역전사효소 중합반응법(RT-PCR)으로 측정하였다. 측정 대상 사이토카인은 IL-1, IL-2, IL-6, TNF$\alpha$ 및 IFN${\gamma}$의 다섯가지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PBMC에 렉틴을 적용하여 1, 8, 24, 48, 72, 96, 120분 등의 시간대에서 반응시켜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 유도에 관한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LEL의 사용 농도에 따른 편도선 림프구(tonsillar lymphocyte)의 TNF$\alpha$ 유전자 발현 양상은 반응 1시간의 경우 LEL의 일부 농도와 LPS 전농도에서 관찰되었으나 반응 40시간째에는 LEL 전농도와 LPS 전농도에서 TNF$\alpha$ 유전자 발현 양상을 관찰할 수 없었다. RT-PCR 결과 원액이나 회석액 재료로부터 관찰된 TNF$\alpha$유전자 band의 강 약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LEL의 자극에 의한 반응 시간대 별 PBMC에 의한 사이토카인 유전자 발현 양상은 위에서 언급된 다섯가지 사이토카인을 유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IL-2, IL-6 및 IFN${\gamma}$는 120시간까지 장시간 지속되는 유전자 발현이 가능한 반면 TNF $\alpha$의 생성 양상은 이들 사이토카인의 생성 양상과는 판이하게 반응 1, 8 및 24 시간대까지만 TNF$\alpha$ 유전자 발현을 관찰할 수 있었고 IL-1은 72 시간까지 반응을 나타내는 등 특이적 양상을 보였다. 한편 LPS는 실험에 사용된 전 사이토카인의 유전자 발현을 120시간대까지 반응이 유지됨을 관찰하였기에 LPS가 PBMC의 강력한 사이토카인 유도체임을 입증할 수 있었으며 LEL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보였으나 LEL 또한 PBMC로부터 사이토카인을 생성 유지시킬 수 있는 유도체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분진의 습도와 온도에 대한 영향성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Humidity and Temperature of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Dust)

  • 임우섭;목연수;최재욱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65-69
    • /
    • 2004
  •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Hartmann type dust explosion apparatus and Godbert-Greenwald furnace apparatus in order to research the effect of temperature and humidity affecting LEL, minimum ignition temperature of Hydroxy Propyl Methyl Cellulose. The experimental determinations in the range between $20^{\circ}C\;and\;60^{\circ}C$ of temperature was not affected $LEL(180g/m^3)$ but LEL showed $200g/m^3\;and\;250g/m^3\;at\;80^{|circ}C\;and\;100^{\circ}C$. As the change of humidity LEL was $180g/m^3\;for\;50\%,\;200g/m^3\;for\;60\%\;and\;250g/m^3\;for\;70\%$ but dust explosion didn't occur over $80\%$. The ignition temperature of HPMC dust clouds was increased as increasing of humidity. So, the minimum ignition temperatures at $50\%,\;60\%,\;70\%\;80\%$ of humidity was $363^{\circ}C,\;375^{\circ}C,\;397^{\circ}C,\;405^{\circ}C$.

알루미늄 분체의 폭발위험성과 화염전파속도 (Explosion Hazards and Flame Velocity in Aluminum Powders)

  • 한우섭;이수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13
    • /
    • 2012
  • 알루미늄 분진폭발특성에 미치는 입경과 농도 변화에 따른 영향을 20 L 구형 분진폭발시험장치를 사용하여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알루미늄 분진의 체적 평균 입경은 15.1 및 $34.8{\mu}m$이다. 실험결과, 평균 입경 $15.1{\mu}m$에서의 폭발하한농도(LEL)는 $40g/m^3$, 최대폭발압력($P_{max}$)은 9.8 bar, 폭발압력상승속도는 ($[dP/dt]_{max}$)는 1852 bar/s이었으며, 평균입경 $34.8{\mu}m$의 경우에는 LEL이 $70g/m^3$, $P_{max}$는 7.9 bar, $[dP/dt]_{max}$는 322 bar/s가 얻어졌다. Al분진의 폭발하한농도는 입경 증가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또한 평균입경 $15.1{\mu}m$에서의 Al분진폭발압력으로부터의 화염전파속도의 계산값은 평균입경 $34.8{\mu}m$의 경우보다 5배의 크기를 나타내었다.

테트랄린의 연소특성치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Evaluation of Combustion Properties of Tetralin)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8-14
    • /
    • 2018
  • In the industrial chemical process involving combustible materials, reliable safety data are required for design prevention, protection and mitigation measures. The accurate combustion properties are necessary to safely treatment, transportation and handling of flammable substances. The combustion parameters necessary for process safety are lower flash point, upper flash point, fire point, lower explosion limit(LEL), upper explosion limit(UEL)and autoignition temperature(AIT) etc.. However, the combustion properties suggested in the Material Safety Data Sheet (MSDS) are presen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literatures. In the chemical industries, tetralin which is widely used as a raw material of intermediate products, coating substances and rubber chemicals was selected. For safe handling of tetralin, the lower and flash point, the fire point, and the AIT were measured. The LEL and UEL of tetralin were calculated using the lower and upper flash point obtained in the experiment. The flash points of tetralin by using the Setaflash and Pensky-Martens closed-cup testers measured $70^{\circ}C$ and $76^{\circ}C$, respectively. The flash points of tetralin using the Tag and Cleveland open cup testers are measured $78^{\circ}C$ and $81^{\circ}C$, respectively. The AIT of the measured tetralin by the ASTM E659 apparatus was measured at $380^{\circ}C$. The LEL and UEL of tetralin measured by Setaflash closed-cup tester at $70^{\circ}C$ and $109^{\circ}C$ were calculated to be 1.02 vol% and 5.03 vol%, respectively. In this study, it was possible to predict the LEL and the UEL by using the lower and upper flash point of tetralin measured by Setasflash closed-cup tester. A new prediction method for the ignition delay time by the ignition temperature has been developed. It is possible to predict the ignition delay time at different ignition temperatures by the proposed model.

마그네슘의 폭발특성에 미치는 평균입경의 영향 (Effect of Mean Diameter on the Explosion Characteristic of Magnesium Dusts)

  • 한우섭;이수희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38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마그네슘(Mg)분진의 폭발특성에 미치는 평균 입경의 영향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20-L분진 폭발시험장치와 10 kJ의 에너지를 갖는 화학 점화기를 사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Mg분진은 평균입경이 서로 다른 3가지 시료(38, 142, $567{\mu}m$)를 대상으로 분진농도를 $2250g/m^3$까지 조사하였다. Mg분진의 폭발하한농도(LEL)는 평균입경 38, $142{\mu}m$에 있어서 각각 30, $40g/m^3$ 이 얻어졌다. LEL은 입경 증가에 의해 감소 경향을 나타냈는데 Mg분진은 입경이 증가할수록 폭발 확률이 감소함을 의미한다. 최대폭발압력($P_m$)과 폭발지수($K_{st}$)는 입경이 증가하면 감소하였지만, 평균입경 $567{\mu}m$의 Mg분진의 경우에는 5 kJ의 착화에너지에서는 폭발 현상이 관찰되지 않았다.

$Poly({\varepsilon}-carbobenzoxy\;L-lysine)$/Poly(ethylene oxide)/$Poly({\varepsilon}-carbobenzoxy\;L-lysine)$ 블록 공중합체 미립자에서 Cytarabine의 방출특성 (Release of Cytarabine from $Poly({\varepsilon}-carbobenzoxy\;L-lysine)$/Poly(ethylene oxide)/Poly({\varepsilon}-carbobenzoxy\;L-lysine)$ Block Copolymer Microspheres)

  • 조종수;권중근;조병욱;이강춘;성용길
    • Journal of Pharmaceutical Investigation
    • /
    • 제22권4호
    • /
    • pp.323-326
    • /
    • 1992
  • $Poly({\varepsilon}-carbobenzoxy\;L-lysine)/poly(ethylene oxide)/poly({\varepsilon}-carbobenzoxy\;L-lysine)$ (LEL) block copolymers containing $poly({\varepsilon}-carbobenzoxy\;L-lysine)$ (PCLL) as the A component and poly(ethylene oxide) (PEO) as the B component were investigated as drug delivery matrix. PCLL homopolymer and LEL block copolymer microspheres containing anticancer drug, cytarabine, were prepared by a solvent evaporation process and the release patterns of cytarabine from the microspheres were investigated in vitro. The size of PCLL homopolymer and LEL block copolymer microspheres was ranged from $0.2\;{\mu}m$ to $1\;{\mu}m$ in diameter and the shape of the microspheres was almost round. The release pattern of cytarabine from the block copolymer microspheres was dependent on the mole % of PEO of the block copolymers.

  • PDF

에스테르화합물에 대한 표준끓는점과 인화점을 이용한 폭발하한계 추산 (Estimation of the Lower Explosion Limits Using the Normal Boiling Points and the Flash Points for the Ester Compounds)

  • 하동명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84-89
    • /
    • 2007
  • 폭발하한계는 가연성물질의 화재 및 폭발 위험성을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중요한 연소특성치의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 에스테르 화합물에 대한 폭발하한계는 액체 열역학이론을 근거로 표준끓는점과 인화점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그 결과, 문헌값과 예측값의 A.A.P.E.(average absolute percent error)는 8.80vo1%이고, A.A.D.(average absolute deviation)는 0.18vo1% 그리고 상관계수는 0.965로써 문헌값과 예측값은 일치하였다. 제시된 방법론 사용에 의해 다른 가연성물질의 폭발하한계 예측이 가능하다.

Al 및 Zn 분진의 혼합에 따른 폭발특성의 변화 (Explosion Characteristics in Dust Mixtures of Al and Zn Particles)

  • 한우섭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2011년도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 /
    • pp.434-43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알루미늄(Al), 아연(Zn)이 단일 성분으로 존재하는 경우의 폭발위험성이 Al-Zn혼합물 분진에 비하여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알기 위하여 폭발하한농도(LEL), 최대폭발압력($P_{max}$)등에 대한 폭발특성을 실험적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Al은 Zn의 혼합에 의해 폭발하한농도(LEL)가 급격히 증가하고 최대폭발압력이 감소하였으며, Al-Zn혼합물의 폭발위험성은 단일 성분의 Al에 비하여는 낮지만 Zn 단독의 경우보다는 높은 것을 알수 있었다. 그러므로 Zn-Al혼합물이 Al보다 폭발성이 낮아지지만 화재폭발 가능성이 충분히 잠재되어 있으므로 예방대책이 필요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