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luminaire

검색결과 56건 처리시간 0.029초

하이브리드 슈퍼커패시터 DC-DC 컨버터를 이용한 LED 비상 유도등 동작 디밍 제어 (Dimming Control of the LED Luminaire Emergency Exit Sign Operation using a Hybrid Super Capacitor of DC-DC Convertor)

  • 황락훈;김진선;나용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220-229
    • /
    • 2017
  • 본 연구는 다양한 DC 전원을 활용할 수 있는 승압형 DC-DC 컨버터로 설계사양을 통한 인덕터 L과 커패시터 C의 값을 산출하여 PSPICE를 통한 최적의 값을 추정하였다. 승압형 DC-DC 컨버터는 스위치 소자로 IRF840을 사용하였으며 역회복 시간(reverse recovery time)이 뛰어난 쇼트키 다이오드(schottky rectifiers)인 D10SC6M을 사용하여 정전류 제어 (constant current controller)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열저항을 고려한 파워 LED 모듈 (power LED module)을 제작하여 구동하였다. 컨버터의 스위칭 주파수는 50 kHz로 최초 듀티비는 10 %에서 출력전압의 검출 값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시키도록 하였다. 그 결과로 승압형 파워 LED 구동기를 시뮬레이션 한 특성은 설계사양과 비교하여 5 %이하의 오차로 근사적으로 나타났고, 입력전압 15 V를 인가하여 안정된 24 V의 안정된 출력전압을 얻었으며 디밍제어 (dimming control)를 통한 밝기 조절 및 소비전류의 조정이 가능하였다.

영상조명용 144[W] LED 스폿 등기구 개발에 관한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ED Spot Luminaire for Image Lighting)

  • 이장원;임지원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271-276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무대 방송용 LED 스폿 조명기구를 자체적으로 설계, 제작하여 조도, 배광 및 색온도를 측정하였으며, 동일한 피사체를 LED 조명과 텅스텐 할로겐 조명을 번갈아 설치하여 인물의 영상을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을 비교하여 LED 조명기구의 대체 가능성을 연구하였다. 촬영한 피사체를 분석한 결과 LED 144[W] 조명기구가 텅스텐 할로겐 1[kW] 조명기구보다 더 영상이 밝기와 색감 면에서 더 우수하였다. 144[W] LED조명기구와 텅스텐 할로겐 1[kW] 조명기구의 사용 에너지를 측정한 결과 동일 조도기준으로 LED가 80[%] 이상의 에너지 절약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할로겐 텅스텐 1[kW] 조명기구와 LED 144[W] 조명기구의 배광과 조도 분포를 비교 검토한 결과 피사체를 집중적으로 조명하는 경우, 피조면의 조도가 높아 효과적인 조명이 가능하다. 6[m]정도 천고의 공연장이나, 스튜디오에서는 LED144[W] 조명기구는 조도 문제가 없어, 기존의 텅스텐 할로겐 1[KW] 조명기구를 1:1로 대체하는 것이 가능하다.

LED 비상 유도등 동작을 위한 태양광발전 계통연계 전원동기 방식의 전압형 인버터 구동 특성 (Characteristic of VSI Driven by Source Synchronous Type for the Utility Interactive using a Photovoltaic Generation for the LED Luminaire Emergency Exit Sign Operation)

  • 황락훈;나용주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20-428
    • /
    • 2018
  • 본 논문은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승압쵸퍼와 단상 펄스폭변조 전압형인버터를 사용하여 전원차단 경우나 전압변동 및 부하변동에 의한 출력전류 변화에도 일정한 출력전압을 유지하는 무정전 전원 공급장치(UPS)를 구성하였다. 본 시스템은 전압형인버터를 교류전원과 동기 시켜서 운전하고 정상상태에서는 전원으로부터 운전하고 정상상태에서는 전원으로부터 직류 측에 연결된 축전지를 태양전지를 이용한 광기전력효과와 함께 일정전압을 충전하며, 전원의 차단, 전원의 전압변동 및 부하전류의 변화에도 일정한 전압을 유지하도록 하였다. 에너지 저장장치 (ESS; energy storage system)를 상시 운영하여 공항의 기상 변화에 따른 파장별 LED 항공 유도신호 등을 효율적으로 운용하는 시스템을 구성 하였고, 전력절감효과를 얻을 수 있는 에너지절약 전원복합형 전력변환장치로 구성되어 있다. 출력은 PWM방식에 의하여 양호한 파형이 되도록 하고 전원차단과 부하의 상태의 변화 및 전원 전압 변동에도 일정한 전압으로 출력됨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 할 수 있었다.

철도역사 건물 전기용량 분석과 조명부하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Railway Station Building's Electrical Capacity Analysis and the Lighting Load)

  • 강옥구;장우진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3권2호
    • /
    • pp.102-106
    • /
    • 2014
  • Energy saving is as important as developments of green energy and alternative energy. The need for development of high-efficiency lighting apparatus further increased. This paper compared with the size of electrical equipment and analyzed the size of electrical capacity for the railway station building. Also discussed energy saving measures that can be achieved by using high-efficacy lighting fixtures, and the percentage of the lighting load capacity of the entire building.

R,G,B LED 조명기구를 이용한 Natural Color 구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G.B LEDs for the Natural Color Realization)

  • 정연홍;김유신;박병철;최안섭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조명전기설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96
    • /
    • 2008
  • Recently, as development of the luminaire industry, many people are interest of the outdoor and indoor lighting environment. Also, as increasing of people activity at night, the role of lighting is more important. In these days, the issue of LEDs lighting environment is using loud colors of LEDs which are the most of primary colors (R, G, B). It is often disliked by same peopl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se of natural color in lighting design using LEDs. The colors of the LEDs are composed of combination of R, G, B diodes. This paper performs to investigate preference of various colors and color patterns of LE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suggest standardization and natural colors instead of primary colors using LEDs.

  • PDF

친환경 목재가로등의 디자인 및 제조특성 (Design and Manufacturing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Wood Street Lamp)

  • 김종인;정수영;원경록
    • 한국가구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45-352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eco-friendly wood street lamp (EFWSL) by using wood resources stacked in the forests after tree tending operations which were mostly abandoned, but economical as renewable wood resources for developing the wood coated street lamps with the effects of cost reduction and their attractive appearances. This study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key compact structures of street-lighting wood poles (shaft) using laminated timber. The core technique in this study is related with producing the more stable wood poles (shaft) with the hole inside than wood poles exposed under the natural environment through applicable process to protect the wood from bursting and splitting. We also comprehensively developed the method to conserve the timber durability of wood shaft and connect the wood shaft with groove, race way to be located in the groove, locking ring, current stabilizer connected to the groove and luminaire support arm, base and hand-hole which was partly used in combination with steel materials and wood. Also we increased the utilization of abandoned and stacked woods after thinning in the forests such as Pinus densiflora, Larix leptolepis, and Pinus koraiensis plantations by maximizing the value of these natural wood resources as main materials of eco-friendly street lightings with the effects of cost reduction and attractive appearances and also the expectation of advertising effects of street lightings developed in this stud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