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lighting module

검색결과 111건 처리시간 0.024초

Study of Modulation Effect in Integrated Interface Under Controlling Switching Light-Emitting Diode Lighting Module

  • Hong, Geun-Bin;Jang, Tae-Su;Kim, Yong-Kab
    • Transactions on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s
    • /
    • 제12권6호
    • /
    • pp.253-257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solve problems such as radio frequency band depletion, confusion risk, and security loss in existing visibl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and to determine the applicability of next-generation networks. A light-emitting diode (LED) light communication system was implemented with a controlling switching light module using the ATmega16 micro-controller. To solve the existing modulation effect and disturbance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an integrated interface was evaluated with a driving light module and analyzes its reception property. A transmitter/receiver using the ATmel's micro-controller, high-intensity white LED-6 modules, and infrared sensor KSM60WLM and visible sensor TSL250RD were designed. An experiment from the initial value of distance to 2.5 m showed 0.46 V of the voltage loss, and if in long distance, external light interference occurred and light intensity was lost by external impact and thus data had to be modified or reset repeatedly. Additionally, when we used 6 modules through the remote controller's lighting dimming, data could be transmitted up to 1.76 m without any errors during the day and up to 2.29 m at night with around 2~3% communication error. If a special optical filter can reduce as much external light as possible in the integrated interface, the LED for lighting communication systems may be applied in next generation networks.

에너지절감을 위한 태양광발전설비 연계형 경관조명 전력제어시스템의 개발 (An Development of Landscape Lighting Power Control System with Solar Cell Generator Equipment for Energy Saving)

  • 김동완;박성원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59권4호
    • /
    • pp.364-371
    • /
    • 2010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landscape lighting power control system with solar sell generator equipment for energy saving, and also which is included the landscape lighting power transformation device. The power transformation device can check inverse current in the power of the solar cell module and control the power of the battery. And we present the design of landscape lighting power control system. The power control system uses microprocessor with charging system and power transformation device. And also it can control the power of loads under consideration intensity of illumination. The landscape lighting loads are composed of LED(Lighting Emitting Diode) and HID(High Intensity Discharge)lamps. To evaluate property, we installed the solar cell array which generate three kilo watt power.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have stability and energy saving on the mixed configuration of electric loads with DC and AC lamps.

재실자의 수면-각성 주기에 따른 스마트폰 기반 파장제어 LED 조명시스템 (Smartphone-based Wavelength Control LE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Sleep-Wake Cycle of Occupants)

  • 김양수;권숙연;황준;임재현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35-45
    • /
    • 2016
  • 인간의 생체리듬 조절에 관여하는 멜라토닌 호르몬은 빛의 특정 단파장 비율에 따라 민감하게 반응한다. 단파장 비율이 고정된 기존 조명 빛은 재실자 생체리듬 교란 및 수면장애 현상을 초래한다. 특히 교대근무자의 경우, 일정치 않은 근무시간과 항시 동일한 빛 환경으로 인해 생활패턴이 불규칙적으로 변화하여 집중력 저하로 사고 발생의 위험도가 높아지거나 퇴근 이후 숙면을 취하지 못하는 등 건강한 일상생활을 유지하는 데 부정적 영향을 초래한다. 본 논문에서는 교대근무자를 대상으로 근무 또는 퇴근 시점에 따라 각성 및 수면에 적합한 조명 빛을 손쉽게 계측 및 제어할 수 있는 스마트폰 기반의 파장 제어 가능한 LED 조명시스템을 제안한다. 먼저, LED 조명을 대상으로 조광제어비율에 따라 변화하는 조명 빛 특성을 스마트폰에 내장된 컬러센서 및 외부에 연동된 소형 스펙트로미터(Mini-Spectrometer)를 통해 계측한 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저장된 광 특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계측 모듈과 조명제어모듈을 구현한다. 교대근무자를 대상으로 시스템 처리 절차에 따라 '근무' 시간대에는 각성이 필요한 시점으로 파악하여 작업유형에 따라 분류한 목표조도를 고려하여 단파장 비율이 최대치인 제어비율로 서비스하고, '퇴근' 무렵에는 자연스럽게 수면 상태에 진입할 수 있도록 단파장 비율이 최소치인 제어비율로 조명 빛을 가변화한다.

고출력 3색 LED를 이용한 휴대용 무영등의 개발 (Development of Portable Astral Light using the High Power 3-Color LEDs)

  • 유성미;천민우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1111-111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의료용 신조명 부품으로 주목받고 있는 고출력 LED를 사용해 구강구조 확인을 위한 치과영역, 진료 및 수술실에서 환부에 대한 작은 범위(국소부위)의 무영 촬영이 가능한 휴대용 LED Light를 설계 개발하였다. 개발에 적용한 LED는 피사체 고유의 Tone에 대한 섬세한 표현력과 입체감을 부각시키기 위해 다양한 색상 구현 및 광량조절이 가능하도록 3색 LED를 사용했다. 사용된 LED의 전기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을 고려해 고효율의 Light Module를 개발했으며 휴대 사용을 위해 낮은 전압에서도 구동이 가능한 SMPS를 제작했다. 또한 PWM 제어방식을 이용해 단색광부터 백색광까지 32,768개의 다양한 색상 구현이 가능했다.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LED Dimming System with Intelligent Sensor Module

  • Cho, Young Seek;Kwon, Jaerock;Kim, Hwan-Yo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11권4호
    • /
    • pp.247-252
    • /
    • 2013
  • An intelligent light emitting diode (LED) dimming system i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energy-saving lighting systems. An LED light bulb is powered by an LED driver controlled by a microcontroller using pulse width modulation (PWM) signals. By changing the duty cycle of the PWM signals, the LED driver generates a driving current of up to 1,000 mA. The current consumption by the LED light bulb exhibits a very linear characteristic that indicates that the level of LED dimming can be finely tuned. Multiple sensors-lighting intensity and ultrasonic range sensors-are combined with the LED dimming system to realize an automatically controllable LED lighting system. The light intensity sensor is capable of sensing ambient light. The ultrasonic range sensor can detect objects from 0.15 to 5.6 m at a resolution of 0.0254 m. The collected information by the light intensity and ultrasonic range sensors is processed by the microcontroller that in turn automatically controls the brightness of the LED light bulb. The algorithm of the software for the LED dimming system is also described.

Bluetooth와 Zigbee를 연동하는 LED 기반 감성전파장치 (An Emotion Transfer System Based on LED Using Bluetooth and ZigBee)

  • 강동병;지상훈;이영대;배성한;정구민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163-168
    • /
    • 2011
  • 다수의 조명 장치를 연동하여 감성을 전파하는 시스템을 제안하고 스마트폰과 조명 장치를 기반으로 구현한다. 실제 구현 시스템에서는 스마트폰에서의 감성 전파 입력을 기반으로 다수의 LED 조명 장치를 거쳐서 다시 스마트폰으로 감성이 전달되도록 한다. 각 LED 조명 장치는 홈 네트워크와의 연동을 위해서 ZigBee를 기반으로 구현되었고, 스마트폰의 네트워크는 Bluetooth를 사용하였다. Bluetooth 와 ZigBee의 연동을 위해서 스마트폰과 연결되는 조명 장치에서는 Bluetooth와 ZigBee를 모두 사용하여 이종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연동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구현 및 실험을 통하여 제안 시스템의 효용성을 검증하였다.

색온도와 조도 제어가능한 LED 조명 시스템 (A Color Temperature and Illuminance Controllable LED Lighting System)

  • 김훈;염재경;정원섭;김희준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10-22
    • /
    • 2009
  • 본 논문은 독립적으로 LED의 색온도와 조도를 제어하는 알고리즘과 이를 이용한 LED 조명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이 항상 해를 가지는 것을 증명해 제안된 알고리즘이 유효함을 보여주었다. 적색, 녹색, 청색, 백색 (RGBW) LED를 사용한 LED 모듈 제어에 제안된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이 모듈의 색온도는 3,500~7,500[$^{\circ}K$], 조도는 500~1,500[lux] 범위에서 변화했다. LED의 접합온도가 40[$^{\circ}C$]로 유지될 때, 이 범위 내에서 색온도와 조도의 편차는 0.8[%] 이하였다. 30~70[$^{\circ}C$]의 범위에서는 목표 조도와 색온도가 각각 1,000[lux]와 6,500[$^{\circ}K$] 일 때 조도와 색온도의 편차가 2.1[%]와 3.1[%] 이하이고, 온도 보상된 경우에는 편차가 1[%]와 0.49[%] 이하였다.

탁상 스탠드용 LED모듈 (LED module for a desk lamp)

  • 강석훈;신경호;여인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3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C
    • /
    • pp.1713-1715
    • /
    • 2003
  • This paper describes an LED module for a desk lamp using 1[W] high flux while LEDs. The optimum length of the module is obtained from the lighting simulation of the target area of $500{\times}500[mm]$ on the desk, which in turn determines an optimum separation between LEDs. The main issue is to find the optimum separation which gives good illuminance uniformity and high coefficient of utilization at at various reflector structures. Two module configuations of linear and ring types are compared. As a result, good illuminance uniformity is obtained in the case of the ring module. The mofied twin type, however, gives better performance than the ring module, and shows the most performance at an separation angle of around $30^{\circ}$.

  • PDF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Green Coastal Lighting System for Entrance to Coastal Pier

  • Jae-Kyung Lee;Jae-Hong Yim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7권2호
    • /
    • pp.85-92
    • /
    • 2023
  • The hardware of an LED lighting control system for coastal lighting at coastal pier entrance consists of a power supply unit, an AVR control unit, a CLCD output unit, an LED control unit, a scenario selection switch unit, and an operation speed display unit. It is made of an 8-channel. The CPU used ATmega128 and the FET was used to control the current signal. To operate the CPU, DC 12V was converted to DC 5V using a regulator 7805. A heat sink was used to remove heat generated in the FET. By connecting the load LED module to the manufactured 8-channel LED lighting control system, the operation was confirmed through various production scenarios. In addition, a control system was designed to show the most suitable color for the atmosphere of the coastal pier according to the input value of temperature and illumination using a fuzzy control system. Computer simulation was then conducted. Results confirmed that fuzzy control did not need to store many data inputs due to characteristics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at it could efficiently represent many output values with simple fuzzy rules.

LED 조명을 위한 태양광 시스템 설계 (Design of Photovoltaic System for LED Lighting)

  • 이흥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371-374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LED를 조명의 전원으로 사용하는 소규모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설계용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해 제안한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의 최적 설계를 위해서, 태양광 모듈과 배터리 용량 산정시, LED 부하의 운전 전력소비량이 고려될 수 있게 하였다. 태양광 발전시스템을 설계하는 엔지니어의 사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웨어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모니터링 기능을 제공하여, 시스템 설계 후 설치 단계에서 전체 시스템의 운전 상태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