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 Headlamp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2초

차량용 헤드램프를 위한 소프트 스위칭 DC/DC 컨버터 (The Soft-switching DC/DC converter for the Vehicle Headlamp)

  • 곡중직;김선필;김춘성;박성미;박성준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5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93-94
    • /
    • 2015
  • 최근 자동차 조명시장에서 LED를 이용한 헤드램프 개발이 빠르게 이루어지고 있다. LED 헤드램프는 기존의 할로겐 앰프와 다르게 에너지 효율이 높으며, 헤드램프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현재 차량에 적용되어 있는 LED 헤드램프 대부분은 SEPIC을 이용한 LED전류제어를 한다. 이러한 경우 헤드램프의 효율은 SEPIC에 의해 대부분 결정이 되며, 부수적인 기능추가를 위해서는 보조 ECU가 추가적으로 필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차량용 헤드램프를 위한 DC/DC컨버터를 제안하고, 이에 대해 검증한다.

  • PDF

철도차량용 LED전조등의 수명시험용 온도제어부의 성능평가 (Performance Assessment of a Temperature Control Unit used in a Lifecycle Testing System for LED Headlamps on Locomotives)

  • 온정근;정기석;정종덕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46-53
    • /
    • 2016
  • LED 광원은 기존 광원에 비해 수명이 길고 에너지 효율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철도차량의 고속화에 따른 전방시야 확보와 안전적인 운행을 고려하여 LED광원을 이용한 전조등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LED광원의 수명시험 데이터를 근거로 한 제품 수명 평가체계는 구동전류, 온도 및 진동 등 수명-스트레스 인자에 따라 다양한 수명특성을 보인다. LED제품은 주로 온도에 의해 예측된 수명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온도제어부의 성능평가는 수명시험 이전에 수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철도차량용 LED전조등의 수명시험 장치의 온도제어부 시작품을 제작하고 성능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타당성을 검증한다.

철도차량용 LED전조등의 수명시험 장치 구축을 위한 개념설계 (Conceptual Design for Lifetime Test System for LED Headlamps on Rolling Stock)

  • 온정근;정기석;정종덕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111-116
    • /
    • 2015
  • LED 조명은 고효율과 장시간의 수명 특성으로 각광받고 있지만 LED소자의 구동전류와 열에 의한 특성으로 예측된 수명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철도차량의 전조등의 운행환경은 주변온도 변화에 민감한 구조를 지니고 있다. LED소자에 대한 수명을 예측하기 위한 시험방법 및 예측방법이 북미조명학회에서 LM-80과 TM-21 등으로 제시되고 있지만 수명 확인을 위해 장기간이 소요되며 전류와 온도 등의 다양한 스트레스로 인하여 LED제품에 대한 수명시험 표준이 구체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않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품의 수명을 예측할 수 있는 방안과 시험방법의 적합성을 확인하여 궁극적으로 LED제품에 대한 수명시험 표준으로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철도차량의 운행환경을 반영한 조건에서 수명 시험이 가능한 측정 설비의 개념 설계안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설계 타당성을 검토한다.

Optical Vehicle to Vehicle Communications for Autonomous Mirrorless Cars

  • Jin, Sung Yooun;Choi, Dongnyeok;Kim, Byung Wook
    • Journal of Multimedia Information System
    • /
    • 제5권2호
    • /
    • pp.105-110
    • /
    • 2018
  • Autonomous cars require the integration of multiple communication systems for driving safety. Many carmakers unveil mirrorless concept cars aiming to replace rear and sideview mirrors in vehicles with camera monitoring systems, which eliminate blind spots and reduce risk. This paper presents optical vehicle-to-vehicle (V2V) communications for autonomous mirrorless cars. The flicker-free light emitting diode (LED) light sources, providing illumination and data transmission simultaneously, and a high speed camera are used as transmitters and a receiver in the OCC link, respectively. The rear side vehicle transmits both future action data and vehicle type data using a headlamp or daytime running light, and the front vehicle can receive OCC data from the camera that replaces side mirrors so as not to prevent accidents while driving.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action and vehicle type information were sent by LED light sources successfully to the front vehicle's camera via the OCC link and proved that OCC-based V2V communications for mirrorless cars can be a viable solution to improve driving safety.

Automotive Adaptive Front Lighting Requiring Only On/Off Modulation of Multi-array LEDs

  • Lee, Jun Ho;Byeon, Jina;Go, Dong Jin;Park, Jong Ryul
    • Current Optics and Photonics
    • /
    • 제1권3호
    • /
    • pp.207-213
    • /
    • 2017
  • The Adaptive Front-lighting System (AFS) is a part of the active safety system, providing optimized vision to the driver during night time and other poor-sight conditions of the road by automatic adaptation of lighting to environmental and traffic conditions. Basically, an AFS provides four different modes of the passing beam as designated in an United Nations Economic Commission for Europe regulation (ECE324-R123): neutral state or country light (Class C), urban light (Class V), highway light (Class E), and adverse weather light (Class W). In this paper, we first present an optics design for an AFS system capable of producing the Class C/V/E/W patterns requiring only on/off modulation of multi-array LEDs with no need for any additional mechanical components. The AFS optics consists of two separated modules, cutoff and spread; the cutoff module lights a narrow central area with high luminous intensity, satisfying the cutoff regulation, and the spread module forms a wide spread beam of low luminous intensity. Each module consists of two major parts; the first converts a discretely positioned LED array into a full-filled area emitting light source plane, and the second projects the light source plane to a 25 m away target plane. With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optics modules, the four beam patterns are formed by simple on/off modulation of multi-array LEDs. Then we report the development of a prototype that was demonstrated to provide the four beam patterns.

광무선통신기술을 이용한 차량간 메시지전달링크의 링크전송확률 분석 (Transmission Probability of Car-to-Car Message Delivery Link based on Visible Light Communications)

  • 강문수;이충규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752-758
    • /
    • 2011
  • 본 논문의 연구내용은 차량간 통신에 응용이 가능한 조명용 LED 광통신 링크의 링크전송성공율 분석에 관한 연구로서, 가시광통신에 기반한 차량간 메시지 전달 시스템을 모델링 하고, 광수신 파워를 통해 신호대 잡음비 (signal-to-noise ratio)를 계산하고, 이에 따른 링크 전송성공확률을 계산함으로써, 가시광통신에 기반한 차량간 무선통신이 가능함을 검증하는 것이다. 저속이동 또는 정지 중인 차량의 후미등을 광송신기로 사용하고 후방차량의 전방에 장착된 광수신기를 이용하는 메시지 전달시스템에 있어, 각 차량의 위치가 정규확률분포를 따를 때, 광송신기 및 광수신기의 물리적 특성에 따른 링크전송성공확률을 계산한다. 먼저, 정규확률분포에 따라 차량의 위치를 랜덤하게 생성한 후, 각각의 광링크에 해당하는 BER을 계산하였다. 이를 통해, 전체 링크 중 $BER{\leq}10^{-6}$을 만족하는 링크의 비율을 링크전송성공율로 정의한 결과, 송신 광파워가 400mW이고 광송신기의 semi-angle at half power가 30도인 최적화되지 않은 차량간 광링크의 경우, 링크 전송성공율 90% 이상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