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D검사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51초

비젼시스템을 이용한 LED 검사

  • 김유건;유영기;최훈일;조용준
    • 한국정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밀공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요약집
    • /
    • pp.279-279
    • /
    • 2004
  • 1.개요 반도체 기술의 발전으로 에너지 효율이 높고 반영구적인 LED의 개발과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LED 관련 시장도 확대되고 있다. LED 생산에 따른 LED검사 시스템이 필수적인데도 아직 생산 현장에서는 목시검사에 의존하고 있으며, 시스템의 개발은 아직 미비한 상태이다. 몇몇의 비젼 검사관련 업체에서 비젼시스템을 이용한 LED 검사 시스템을 개발하였고, 그 밖에 논문에서 LED 검사 시스템을 개발하고 연구한 바가 있으나, 기존의 LED검사 시스뎀은 전원을 넣어 실제 LED발광 이미지에 대한 검사를 하는 것이 아니라 꺼진 상태에서의 LED 형상에 대한 검사 시스템이다.(중략)

  • PDF

LED TV 통합검사유닛의 설계 (Design of LED TV Multi Test Unit)

  • 고훈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0권4호
    • /
    • pp.37-43
    • /
    • 2012
  • LED TV 통합검사유닛은 LED BLU의 구동과 동시에 이상 유무 체크, AGING 작업 등 LED BLU를 테스트하기 위한 검사 장비이다. 기존 검사 유닛은 LCD의 종류와 크기에 따라 생산라인에서 검사 유닛을 교체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어 본 연구에서는 한 가지 LED TV BLU 모델이 아닌 32 ~ 52인치의 다양한 LED TV BLU 모델을 수용할 수 있는 멀티형(통합형) 검사유닛으로 개발한다. 멀티형으로 개발하기 위해서 멀티 LED TV 통합검사유닛의 출력 전류를 80mA ~ 215mA의 범위로 다양한 출력이 되도록 만들고, LED BLU의 상태를 확인 하는 기능, 디밍(밝기 조절)기능 및 장시간 사용 시 열 발생 완화 기능 등을 구현한다. 또한 펌웨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하여 새로운 패널에 대해서도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한다.

LED 프레임 검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LED frame inspection system design and implementation)

  • 박병준;김선집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359-363
    • /
    • 2017
  • LED(Liquid Emitting Diode)프레임 장치는 한국을 대표하는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LED는 TV나 모니터, 노트북, 핸드폰 등 에 필수적인 부품이다. 일본이나 대만, 중국 등에서 LED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면서 생산성 향상이 중요한 사항이 되고 있다. 하지만 부품의 크기가 점점 작아지면서, 사람의 눈에 의한 일관적이지 못한 검사는 신뢰성이 문제가 되어 LED 모듈 검사 분야에서 자동 검사 공정은 필수적인 사항이 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 비전 기술을 이용하여 시각 검사 공정의 결함을 검사한다. LED 프레임에 대한 검사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함으로써 공정상의 효율을 높이고 검사시간을 단축하였다. 검사 시스템을 현장에 적용한 결과 빠르고 정확하게 검사가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LCD 패널의 불량을 검출하는 검사용 LED BLU 개발 (Development of a LED BLU Tester Detecting the Errors of LCD Panels)

  • 고훈준;장경수;오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62-69
    • /
    • 2010
  • LCD 패널은 자체적으로 발광할 수 없어 외부 광원인 BLU가 필요하다. BLU는 LCD 모듈에 포함되어 사용되고 LCD 패널의 불량을 검사하는 테스터에서도 사용된다. 최근에는 BLU가 CCFL에서 LED로 빠르게 변화되고 증가해왔다. CCFL은 초고압 전원이 필요하고, 열도 많이 발생하며, 일정한 휘도를 유지하기가 어렵다. LED는 전력소모량이 적고, 일정한 휘도를 유지한다. 그러나 현재 테스터에서 사용되는 BLU는 CCFL을 사용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LCD 패널의 불량을 검사할 수 있는 검사용 LED BLU를 개발한다. 또한 12~24인치의 LCD 패널을 모두 검사할 수 있도록 LED BLU를 24인치 크기로 제작하고 LCD패널의 크기에 따라 LED BLU가 동작하도록 개발한다.

광학적 치아우식활성 검사법의 신뢰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LIABILITY OF THE OPTICAL CARIES ACTIVITY TEST)

  • 박철홍;이난영;이상호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615-623
    • /
    • 2006
  • 본 연구는 LED 형광법을 이용하여 각 개인의 우식활성도를 측정할 수 있는지를 규명하기 위해 $6{\sim}7$세의 아동 55명을 대상으로 치아의 순면과 협면에 LED 광을 조사하고 특수 필터를 사용하여 초기 치아우식증이 관찰되는 치아의 수와 우식의 크기, 위치 등을 기록하고, 이와 같은 초기 치아우식증의 수를 측정하는 우식활성검사법과 기존의 우식활성도 측정방법인 dDfFtT rate, Streptococcus mutans colony count와 상관성을 비교, 평가하고, LED 형광법을 이용한 우식활성검사의 특이도, 민감도, 진단력을 평가하였다. 1. LED 형광법을 이용한 우식활성도 측정법은 기존의 Streptococcus mutans colony count 검사법과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gamma}=0.43,\;P<0.05)$. 2. 육안검사를 기준검사법으로 하였을 때, LED의 특이도, 민감도, 진단력은 각각 100%, 76.1%, 100%이었다. 3. dDfFtT를 기준검사법으로 하였을 때, LED의 특이도, 민감도, 진단력은 각각 88.9%, 47.8%, 95.7%이었다. 4. S. mutans 측정법을 기준검사법으로 하였을 때, LED의 특이도, 민감도, 진단력은 각각 100%, 58.7%, 100%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LED광중합기를 이용한 광학적 치아우식활성 검사법은 미생물학적 치아우식활성 검사법과 비교하여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여 임상에서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머신비전에 의한 LED Chip Package 형광물질 토출형상 측정 (Measurement System for Phosphor Dispensing Shape of LED Chip Package Using Machine Vision)

  • 하석재;김종수;조명우;최종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2113-2120
    • /
    • 2013
  • 본 연구는, LED 칩 패키지에 있는 토출된 형광체 수지의 모양을 인라인 측정을 통해 개발된 검사 시스템을 기초로 한 효율적인 머신 비전에 관한 연구이다. 형광체의 반투명 특성 때문에 조사된 빛이 칩의 표면뿐만 아니라 하단 부에서도 반사된다. 이러한 현상이 LED 칩 검사의 신뢰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적절한 조명 광학계를 결정하기 위해 백색광 LED 와 635nm의 레이저 슬릿 빛을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또한, 광 삼각측정법을 이용해 정반사와 분산반사법으로 검사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백색 슬릿 광과 정반사 반사법의 조합이 가장 좋은 검사 결과를 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atmull-Rom 스플라인 보간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데이터를 부드러운 표면 형상으로 나타내었다. 측정 결과를 통해 개발된 시스템이 LED 칩 패키징 공정에 인라인 검사에 성공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LED 반사영상을 이용한 마이크로 BGA 3차원형상검사 (3-Dimensional Shape Inspection for Micro BGA by LED Reflection Image)

  • 김지홍
    • 마이크로전자및패키징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55-59
    • /
    • 2017
  • 본 논문은 마이크로 BGA(Ball Grid Array)의 3차원 형상 검사를 위한 광학적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LED를 공간적으로 배치한 광원과 경면반사특성을 이용하였다. 이를 위해 비전시스템을 구성하여 BGA의 반사영상을 취득한 후, 영상처리를 통하여 반사된 LED 점광원의 위치를 추출하여 형상검사에 이용하였다. 또한, 영상에 포함된 복수개의 BGA에 대한 상대적 위치의 통계치를 이용하여 BGA 3차원 형상의 결함을 판단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방법의 효용성을 보였다.

헬륨 가스 검출법을 통한 LED 박리 평가법 개발

  • 한지훈;임홍우;김재순;윤양기;이무석
    • 한국신뢰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뢰성학회 2011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163-171
    • /
    • 2011
  • 본 논문에서는 LED 패키지 내부 이종물질간의 열팽창계수 차에 의한 박리 현상 및 이에 따른 LED 광속저하 메커니즘의 규명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친환경 조명의 대두 및 고휘도 White LED의 급속적인 발전과 개발에 따라 LED 패키지 고장 형태가 점점 줄어드는 추세이기는 하나, 여전히 실사용 환경에서는 LED 패키지의 고장이 다양한 형태로 발생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이 중 LED 패키지 내부 이종물질간의 박리에 의한 고장은 LED 발광효율을 감소시키는 형태로 발생되고, 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LED 패키지 제조업체 및 다수의 연구소에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표적인 박리 검사방법으로는 잉크침투 테스트 방법을 보편적으로 사용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시료의 파손 및 검사 시간이 24시간이상 소요된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헬륨 가스를 사용하여 LED 패키지 박리 유무를 검출해 내는 평가법을 제시하였고, 이 방법을 통하여 시료 파손 없이 짧은 시간 안에 박리 유무를 평가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 PDF

STEAM Training Program for Constellation Space Composition Using Laser Cutter and LED Light Source

  • 허민;유경한;김용기;김형범
    • 천문학회보
    • /
    • 제46권2호
    • /
    • pp.54.2-54.2
    • /
    • 2021
  • 지구과학 분야에서 가장 어렵게 느껴지는 내용인 천문분야는 다른 과학 분야와 달리 탐구 대상이 천체들이 먼거리에 있고, 쉽게 관측하기 어려우며, 실험실에서 동일실험과 반복 실험이 불가능하여, 추상적이고 직접 관측하기 어려운 개념에 관한 연구들이 많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레이저 커팅기를 사용해 지구과학교과 중 별자리를 구성하는 별들의 상대적 거리를 수학적으로 계산하는 과정과 고등학교 물리교과 중 LED 광원의 원리를 알고 LED 모듈을 제작하여 최종적으로 아름답고 과학적으로 가치가 있는 입체 별자리 교구를 제작하는 형태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학교 적용을 하였다. 이에 지능정보화 사회에 발맞춰 천문학 지식을 창의 교육의 형태로 교육하는 새로운 교육법을 실현한 연구결과들을 발표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한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STEAM 관련 태도 검사와 논리적 사고력 검사 및 만족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이 STEAM 태도 검사와 논리적 사고력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천문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은 긍정적이었다. 따라서 후속 연구에서는 다양한 학년 및 위계에 맞는 프로그램의 개발과 다양한 지역 등의 현장 적용을 통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LED 등명기의 사용시간 경과에 따른 특성 변화

  • 김종욱;지형민;유용수;한주섭;강성복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13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385-386
    • /
    • 2013
  • 우리나라 해역에서 선박의 대형화, 고속화와 선박교통량의 증가 및 항만과 해양개발 등으로 해상교통 환경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항로의 좌 우 측방 한계 표시, 항행위해요소의 표시 등의 용도로 사용되는 등 명기는 항만, 연안해역 및 내륙수로에서 통항 선박의 안전을 위하여 그 수요가 점진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항로표지에 사용하는 등명기의 정기검사는 항로표지법 제31조 및 "항로표지용장비 용품검사기준(해양수산부고시 제2013-101호, 2013.5.8)"에 따라 3년 주기로 수검하여 합격품에 한하여 사용토록 규정하고 있다. 등명기의 정기검사 유효기간에 대한 검증을 위하여 설치장소, 해상여건 등을 고려한 현장시험을 통하여 등명기의 사용 기간에 따른 열화 특성을 조사하고 적정 정기검사주기 및 교체 주기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LED 등 명기의 실제 사용 환경에서 사용 경과 시간에 따른 광학적 특성, 전기적 특성 및 외관상태 등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사용시간 경과에 따른 LED 등명기의 특성 변화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