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AP Model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29초

주거용 건물부문 태양열 기술 보급에 따른 누적 온실가스 감축 효과 분석 (Cumulative GHG Reduction Impact Analysis by the Diffusion of Solar Thermal Energy Concerning Technologies for the Residential Sector)

  • 이동은;김승진;전의찬
    • 한국기후변화학회지
    • /
    • 제5권3호
    • /
    • pp.267-275
    • /
    • 2014
  • A key driver for climate change caused by global average temperature rise is greenhouse gas cumulative emissions that stay for long term in the atmosphere. Although at the moment there is no GHG emission, global warming will continue owing to GHG cumulative emission. In this study, scenarios are developed based on two types of optimistic and conservative diffusion goal. There were a total of 6 alternatives scenario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re to compare scenarios in terms of GHG cumulative emissions and alternative fuels. An object of analysis is the residential buildings and time frame of scenarios is set up by 2030. And this study uses the LEAP model that is a bottom-up energy model.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set specific diffusion pathway for mitigating climate change virtually.

가상현실을 이용한 치과 임플란트 수술 교육 (Virtual Reality for Dental Implant Surgical Education)

  • 문성용;최봉두;문영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2호
    • /
    • pp.169-174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실제적인 환자의 모델을 바탕으로 가상현실 기반의 수술환경을 제작하는 방법에 대한 고찰과 함께 치과 임플란트 수술 술기를 배울 수 있는 가상현실을 활용한 수술 모델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고자 한다. 환자의 안면 해부학적 모델은 실제 환자의 CT 데이터를 바탕으로 안면부위 골에 대한 삼차원 모델을 먼저 완성한 후 각각의 근육을 표현하고 안면부에 대한 삼차원 스캔 그리고 치아의 3차원 스캔 후 모델링을 통해 각각의 해부학적 구조물을 표현하였다. Unity3D를 활용해 단계별 시나리오를 게임으로 구성하였다. 처음 절개를 시행하는 단계에서부터 환자의 현재 상태에 필요한 상악동 거상술에 대한 술기를 표현하고, 임플란트 식립과정 그리고 골이식술을 하는 과정을 단계별로 포함하였다. 단계별로 중요한 과정의 효과적인 습득을 위해 HMD(Head Mount Display) 및 Leap motion과 연동하여 3차원 모델에 기구를 위치시키고 수술행위를 재현해볼 수 있게하여 몰입감을 높이면서 실제 수술을 하고있는 느낌을 재현하고자 하였다. 총 20명의 수련의를 대상으로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을 수행한 후에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임플란트 수술 교육 프로그램은 치과 대학생들과 수련의들의 교육 도구로서 수술 술기를 습득하고 평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통상적으로 수술 술기 교육 방법이 많지 않은 현실에서 HMD 와 Leap motion이라는 비교적 저렴한 기기를 이용하여 몰입감을 높일 수 있는 가상현실 기반의 수술 교육은 장점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임원에서의 1983년 동해 중부 지진해일 수치모의: 1. 동해에서의 전파 (Numerical Simulations of 1983 Central East Sea Tsunami at Imwon: 1. Propagation across the East Sea)

  • 조용식;이호준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5권4호
    • /
    • pp.443-452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지난 수십 년간 가장 파괴적인 지진해일로 기록된 1983년 동해에서 발생한 지진해일이 동해를 거쳐 우리나라 동해안으로 전파해오는 과정을 수치해석하였다. 천수방정식에 근거한 수치모형을 이용하였으며, 물리적 분산은 leap-frog 유한차분기법에 의해 발생하는 수치분산으로 어느 정도 대체하도록 하였다. 진원으로부터 지진해일 전파도와 파향선법에 의한 전파제적을 산정하였다.

사면구조 격자에 의한 지진해일의 범람영역 (Inundation of Tsunamis Based on Quadtree Grid System)

  • 인태훈;박구용;조용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4권2호
    • /
    • pp.71-76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지진해일에 의한 원형섬 주변에서의 범람영역을 산정하기 위하여 사면구조(quadtree) 격자 기법을 이용한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비선형 천수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였으며, 적합화된 계층적사면구조 격자를 이용하여 leap-frog 기법으로 양해적으로 유한차분하였다. 원형섬 주위를 따라 적용된 사면구조 격자는 사각형 및 원형의 형상으로 세밀화 되었다. 본 모형에 의해 계산된 수치해석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원형섬 주변의 처오름높이에 대한 수리실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수리실험결과와 양호하게 일치하였다.

Feasibility Analysis of Alternative Electricity Systems by 2030 in the Post-Fukushima Era

  • Park, Nyun-Bae;Lee, Sanghoon;Han, Jin-Yi;Jeon, Eui Chan
    • Asian Journal of Atmospheric Environment
    • /
    • 제8권1호
    • /
    • pp.59-68
    • /
    • 2014
  • The Fukushima nuclear accident in 2011 had an extensive impact on the national electricity plans. This paper outlines alternative electricity scenarios that meet the goals of nuclear phase-out and greenhouse gas (GHG) emission reduction. This paper also analyzes the results of each scenario in respect to the electricity mix, GHG emissions, costs and employment effects. The Long-range Energy Alternatives Planning system (LEAP) model was used to simulate the annual electricity demand and supply system from 2011 to 2030. The reference year was 2009. Scenarios are reference (where existing plans are continued), A1, A2, B1, B2, and C2 (where the levels of demand management and nuclear phase-out are different). The share of renewable energy in the electricity mix in 2030 for each scenario will be increased from about 1% in 2009 to 8% in the reference scenario and from 11% to 31% in five alternative scenarios. Total cumulative cost increases up to 14% more than the reference scenario by replacing nuclear power plants with renewable energy in alternative scenarios could be affordable. Deploying enough renewable energy to meet such targets requires a roadmap for electricity price realization, expansion of research, development and deployment for renewable energy technologies, establishment of an organization dedicated to renewable energy, and ambitious targets for renewable energy.

Quadtree격자를 이용한 근해지진해일의 처오름높이 계산 (Run-up heights of nearshore tsunami based on quadtree grids)

  • 인태훈;박구용;조용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6권4호
    • /
    • pp.705-713
    • /
    • 2003
  • 본 연구에서는 근해 지진해일에 의한 원형섬 주변에서의 처오름높이를 산정하기 위하여 사면구조(quadtree) 격자기법을 이용한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비선형 천수방정식을 지배방정식으로 사용하였으며, 적합화된 계층적 사면구조 격자를 이용하여 leap-frog 기법으로 양해적으로 유한차분하였다. 원형섬 주위를 따라 적용된 사면구조 격자는 사각형 및 원형의 형상으로 세밀화 되었다. 계산된 수치해석결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리실험결과와 비교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수리실험결과와 양호하게 일치하였다.

배수조건에 따른 액상화 수치모델의 거동평가 (Evaluation of the Numerical Liquefaction Model Behavior with Drainage Condition)

  • 이진선;김성남;김동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11호
    • /
    • pp.63-74
    • /
    • 2019
  • 동적원심모형 시험 결과를 기준으로 액상화모델과 응답이력해석 절차에 대한 검증을 시행하였다. 사용된 동적원심모형시험 결과는 LEAP-2017(Liquefaction Experiments Analysis Project)의 일환으로 시행된 결과이다. 시험을 위한 모형지반은 오타와 F-65모래를 이용하여 강성토조 내부 수면아래 상대밀도 55%, 표면경사 5°로 조성되었다. 진폭이 변화하는 주파수 1Hz 사인파형 입력운동을 강성토조 하단에 가진하였다. 수치해석은 원심모형시험의 원형스케일에 대해서 2차원 유한차분 해석기법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지반은 전단파괴 이전 이력감쇠를 나타내며 전단 파괴기준은 Mohr-Coulomb 모델을 따르도록 모델링 되었다. 정적평형 후 반복하중으로 인한 간극수압의 변화를 묘사하기 위하여 Byrne의 액상화 모델을 적용하였다. 액상화 해석에 적합한 흐름조건을 확인을 위하여 수치해석은 배수 및 비배수 조건으로 시행하였으며, 비배수 해석조건에서 시행된 수치해석결과가 원심모형시험과 유사한 결과를 제시함을 알 수 있었다.

저탄소 그린캠퍼스 조성을 위한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 및 감축잠재량 분석 - 대구대학교를 중심으로 (Estimation of Greenhouse Gas Emissions (GHG) Inventory and Reduction Plans for Low Carbon Green Campus in Daegu University)

  • 정영진;이개초;김태오;황인조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506-513
    • /
    • 2014
  • 본 연구는 대구대학교를 대상으로 온실가스 인벤토리를 구축하고, 감축잠재량을 분석할 것이다. 대구대학교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연평균 19,413 ton $CO_2$ eq로 조사되었다. Scope 2의 구입전력부문이 온실가스 총 배출량의 55.4%를 차지하여 가장 많이 기여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연구기간동안의 온실가스 총배출량에서 Scope 2가 60.4%, Scope 1이 22.6%, Scope 3이 17.0%를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구대학교의 온실가스 감축잠재량을 파악하기 위하여 재실센서, LED 조명, 태양열 시설 등과 같은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LEAP 모델을 이용하였다. LED 조명 교체 시 2020년에 BAU 대비 1,656 ton $CO_2$ eq가 감축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재실센서 설치, 태양열 시설 도입은 각각 1,041 ton $CO_2$ eq, 737 ton $CO_2$ eq가 감축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감축시나리오를 모두 적용한 결과 2020년 BAU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을 약 15% 감축할 수 있을 것으로 계산되었다.

사면구조 격자 기법에 의한 2차원 홍수범람모형의 적용 (Application of a Two-dimensional Flood Inundation Model based on Quadtree Grid)

  • 김종호;이승오;윤광석;조용식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8권3호
    • /
    • pp.129-136
    • /
    • 2008
  • 홍수 예방을 위해 사용되는 구조적 또는 비구조적 대책의 성공여부는 홍수 예측의 정확도에 달려있다. 본 연구에서는 홍수 범람 발생유무, 범람 면적 또는 최대수위를 예측 및 모의가 가능한 수치모형을 개발하였다. 비선형 Saint-Venant 방정식을지 배방정식으로 사용하였으며, 적합화된 계층적 사면구조 격자를 적용하여, leap-frog 기법과 upwind 기법으로 양해적으로 유한차분하였다. 개발된 수치 모형은 Thacker 문제의 결과와 비교하여 검증하였고, 경상남도 의령 지역에 사면구조 격자를 사용한 본 모형을 적용하였다. 검증 결과 본 모형의 격자는 균일 격자보다 거의 4배 정도 효율적이었으며, 정확도 측면에서도 이전 모델의 결과와 거의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은 수문 빈도를 변화시키면서 홍수 범람 양상을 수치 모의하였다. 빈도가 증가하면, 첨두 수위를 비롯한 수위 수문곡선의 크기도 증가함을 알 수 있었고, 500년 빈도에서는 제방을 월류하여, 제내지에 범람함을 예측할 수 있었다.

사면구조 격자를 이용한 조석흐름 수치모의 (Numerical analysis of a tidal flow using quadtree grid)

  • 김종호;김형준;남궁돈;조용식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07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발표대회
    • /
    • pp.163-167
    • /
    • 2007
  • For numerical analysis of a tidal flow, a two-dimensional hydrodynamic model is developed by solving the nonlinear shallow-water equations. The governing equations are discretized explicitly with a finite difference leap-frog scheme and a first-order upwind scheme on adaptive hierarchical quadtree grids. The developed model is verified by applying to prediction of tidal behaviors. The calculated tidal levels are compared to available field measurements. A very reasonable agreement is obser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