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E extracts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32초

마황 추출물의 나노 입자화를 통한 항암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Anticancer Activities of Ephedra sinica Stapf Extracts by Nano-encapsulation)

  • 정향숙;김승섭;오성호;정명훈;최운용;서용창;나천수;곽형근;이현용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43-150
    • /
    • 2010
  • This study showed the increase of antitumor activities of water soluble E. sinica extract by nano-encapsulation process with lecithin. Five groups of lecithin only group (LO), lecithin nano-encapsulated E. sinica group (LE), E. sinica only group (EO), one negative control group (NCO) and positive control group (PCO) were set for several anticancer experiment and fed into Sarcoma-180 injected mice. The cytotoxicity of LE on the human normal kidney cell (HEK293) showed 14.8% lower than 19.2% of EO and 18.4% of LO. Growth of human liver carcinoma cell and human stomach carcinoma cell as representative of digestive system in vitro was inhibited up to about 85.1% and 87.3%, in adding 1.0 mg/$m{\ell}$ of LE, which values 15% higher than that from conventional EO. The survival rates of each mice group were 40%, 63%, 48%, 33% and 100%, respectively after 40 days of injecting Sarcoma-180. The increment of their body weights of the extract feeding groups was suppressed down to 10~15%, compared to the negative control. The nano-particles also reduced the hypertrophy of the internal organs such as spleen and liver down to 15~20%, compared to those as the other groups. Among them, LE effectively reduced the size of tumor form to 20%. From these results, in vitro and in vivo antitumor activities of E. sinica could be enhanced by using nano-encapsulation process with lecithin because of better permeation into the cancer cells by confocal observations.

4가지 한방 소재(행인, 호장근, 자초, 강황)의 화장품약리활성에 관한 연구 (Study on Cosmeceutical Activity of four Kinds of Korea Herb Medicine Materials)

  • 김영훈;이수미;천순주;장민정;전동하;최향자;조우아;이진태
    • 한국패션뷰티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30-138
    • /
    • 2007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cosmeceutical activies of four kinds of Korea herb medicine extracts using in cosmetics and related industries. The cosmeceutical activities of extracts were investigated by tyrosinase inhibition, astringent, anti-bacterial and MTT assay for cell viability. In the whitening effect, PA that the highest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showed 56% at 10 ppm in ethanol extract. Also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RE showed 54%, 68% at 1,000 ppm, respectively, but LE and CA showed lower effect. Astringent effect of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PA appeared over 60% at 1,000ppm concentration but other extracts showed no astringent effect. In the anti-bacterial test,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PA showed no anti-bacterial effect against all microorganisms. But water and ethanol extract of RE showed anti-bacterial effect on Staphylococcus aureus, ethanol extract of showed on Staphylococcus aureus and Propionibacterium acnes, ethanol extract of CA showed on Candida albicans. The resUlt of stability test showed that the emulsion of containing PA were very stable at various temperature and sun-light test. Viscosity and pH of emulsion did not change. From the results of human patch test to assess the safety of cosmetics containing PA there was no negative reaction on skin was found.

  • PDF

웨이블릿 영역에서의 웨이블릿 계수들을 이용한 에지 히스토그램 추출 기법 연구 (The Extraction of the Edge Histogram using Wavelet Coefficients in the Wavelet Domain)

  • 송진호;엄민영;최윤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2권5호
    • /
    • pp.137-144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JPEG2000 기반의 영상에서 웨이블릿 영역의 웨이블릿 계수들의 비를 통해 에지 히스토그램을 추출하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기존의 MPEG-7 에지 히스토그램 기술자는 영상의 에지 정보를 공간 영역에서 추출하기 때문에 복호화 과정이 필요하게 되어 많은 연산량이 요구되고 이는 영상 검색 시간을 지연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JPEG2000 영상의 에지 히스토그램 정보를 공간 영역이 아닌 웨이블릿 영역에서 직접 추출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 사용된 웨이블릿 변환은 JPEG2000 표준에서 정한 압축 기법으로 Le Gall 5/3 필터 계수를 사용 하였다. 에지 추출을 위해 웨이블릿 계수들 중에서 2단계 웨이블릿 변환을 통해 얻어진 LH2, HL2 부 밴드의 홀수 번째 계수들의 비와 LHI과 HLI의 계수들을 사용하였다. 실험을 통해 8개의 질의 영상에 대한 NMRR 값을 비교한 결과, 제안 알고리즘에 의한 에지 히스토그램 추출이 기존 에지 히스토그램 기술자와 비교하여 성능이 떨어지지 않았고, 연산량에 있어서도 많은 감소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버섯차 개발을 위한 로스팅 식용버섯류와 곡물첨가물의 혼합비율에 따른 추출온도 및 시간별 생리활성 및 영양성분 변화 (Changes of biological activities and nutrition contents by different extraction conditions in the mixtures of roasted edible mushrooms and grain additives for the development of mushroom tea)

  • 안기홍;한재구;김옥태;조재한
    • 한국버섯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344-356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느타리(Pleurotus ostreatus)와 표고(Lentinula edodes) 버섯차 개발을 위하여 귀리(oat)와 현미(brown rice)를 부재료로 사용함으로서 버섯 특유의 향미를 저감시킴과 동시에 곡물류 특유의 고소함과 영양학적 가치 향상을 기대하였다. 이에 버섯시료의 가공방법 중 열풍건조 및 로스팅 처리에 의한 생리활성 및 영양성분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 느타리와 표고의 열풍건조 및 로스팅 시료 사이의 DPPH 라디컬 소거능과 아질산염 소거능의 차이는 크게 없었으나, 총 폴리페놀 함량과 베타글루칸 함량은 로스팅 처리에 의하여 함량치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로스팅 처리된 귀리와 현미의 생리활성과 영양성분을 비교한 결과, 귀리의 DPPH 라디컬 소거능 및 베타글루칸 함량은 현미에 비하여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귀리는 높은 글루탐산(Glu) 성분 등을 포함하여 모든 아미노산 성분이 현미보다 높게 나타났다. 로스팅 버섯 시료와 부재료의 혼합비율별 추출온도 및 추출시간 조건에 따른 생리활성 분석결과,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로스팅 표고와 귀리 1:1 혼합물(LE+O)의 100℃, 3분 추출조건에서 33.5%로 가장 높았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은 느타리와 현미 3:1 혼합물(PO+B)의 100℃, 10분 추출조건에서 49.9%로 가장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70℃의 10분 추출시간 조건에서 느타리와 현미 3:1 혼합추출물(PO+B)의 함량치가 16.2 mg GAE/g로 가장 높았으며, 베타글루칸 함량은 표고와 현미(LE+B) 3:1 혼합물에서 34.4%로 다른 혼합비율의 함량치에 비하여 높았다. 아미노산 분석결과, 느타리와 현미 혼합물(PO+B) 중 1:1 혼합비율에서 필수 아미노산 성분함량이 다른 혼합비율에 비하여 높았으며, 표고와 현미(LE+B) 혼합물 3:1의 비율에서 필수아미노산 성분 함량이 가장 높았다. 아미노산 성분 중 단맛과 감칠맛을 나타내는 성분함량이 월등히 높았던 귀리를 혼합함에 따른 느타리, 표고와 귀리 혼합물에서의 아미노산 성분함량의 상승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표고버섯가루, 자몽종자 추출물, 젖산나트륨의 단독 혹은 복합첨가가 저지방 소시지의 품질 및 저장성에 미치는 효과 (Product Quality and Shelf-life of Low-fat Sausages Manufactured with Lentinus edodes Powder, Grapefruit Seed Extracts, and Sodium Lactates alone or in Combination)

  • 손선희;방주화;이홍철;김광현;진구복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99-107
    • /
    • 2009
  • 본 연구는 표고버섯 가루를 이용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를 제조하고 저장성 증진을 위하여 천연의 젖산나트륨과 자몽종자 추출물을 이용하였다. 소시지에 첨가한 표고 버섯은 0.25% 수준 내에서 첨가하였을 때 제품의 품질 변화가 나타나지 않으며 관능성상에도 영향을 주지 않았다. 냉장 저장 중 품질 변화는 먼저, 처리구에 의한 효과에서 젖산나트륨, 표고버섯가루, 자몽종자추출물 단독 또는 복합첨가 할 경우에도 pH, 색도, 유리수분 및 진공감량 모두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아 첨가한 물질의 첨가수준이 제품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반면에 젖산나트륨이나 자몽종자 추출물을 단독이나 복합 첨가 시 접종한 Listeria monocytogenes를 줄일 수 있었다. 한편, 저장기간에 의한 효과에서는 pH가 2주까지 낮아지다가 증가하는 경향이었으며, 명도는 다소 감소하다가 증가하였으나, 적색도는 저장 8주에 가장 낮아졌다. 유리 수분의 함량은 저장 기간이 경과할수록 낮아졌고, 반면에 진공 감량은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표고버섯을 이용한 저지방 기능성 소시지의 제조가 가능하였고, 젖산 나트륨과 자몽종자 추출물을 단독 혹은 복합으로 첨가하여 Listeria monocytogenes의 성장을 저해시킬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자몽종자 추출물과 젖산나트륨은 저지방 훈연 소시지의 품질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저장성을 증진시키는 천연 보존제로 평가되었다.

Effects of Flavonoid-rich Plant Extracts on In vitro Ruminal Methanogenesis, Microbial Populations and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 Kim, Eun T.;Guan, Le Luo;Lee, Shin J.;Lee, Sang M.;Lee, Sang S.;Lee, Il D.;Lee, Su K.;Lee, Sung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4호
    • /
    • pp.530-537
    • /
    • 201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 vitro effects of flavonoid-rich plant extracts (PE) on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and methane emission by studying their effectiveness for methanogenesis in the rumen. A fistulated Holstein cow was used as a donor of rumen fluid. The PE (Punica granatum, Betula schmidtii, Ginkgo biloba, Camellia japonica, and Cudrania tricuspidata) known to have high concentrations of flavonoid were added to an in vitro fermentation incubated with rumen fluid. Total gas production and microbial growth with all P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at 24 h incubation, while the methane emission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than that of the control. The decrease in methane accumulation relative to the control was 47.6%, 39.6%, 46.7%, 47.9%, and 48.8% for Punica, Betula, Ginkgo, Camellia, and Cudrania treatments, respectively. Ciliate populations were reduced by more than 60% in flavonoid-rich PE treatments. The Fibrobacter succinogenes diversity in all added flavonoid-rich PE was shown to increase, while the Ruminoccocus albus and R. flavefaciens populations in all PE decreased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In particular, the F. succinogenes community with the addition of Birch extract increased to a greater extent than that of others.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flavonoid-rich PE decreased ruminal methane emission without adversely affecting ruminal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in 24 h incubation time, suggesting that the flavonoid-rich PE have potential possibility as bio-active regulator for ruminants.

긴꼬리 분포의 광간섭 단층촬영 데이터세트에 대한 다중 레이블 이미지 분류 (Multi-Label Image Classification on Long-tailed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Dataset)

  • ;정경희;;추현승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541-543
    • /
    • 2022
  • In recent years, retinal disorders have become a serious health concern. Retinal disorders develop slowly and without obvious signs. To avoid vision deterioration,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are critic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 is a non-invasive and non-contact medical imaging technique used to acquire informative and high-resolution image of retinal area and underlying layers. Disease signs are difficult to detect because OCT images have many areas which are not related to any disease. In this paper, we present a deep learning-based method to perform multi-label classification on a long-tailed OCT dataset. Our method first extracts the region of interest and then performs the classification task. We achieve 98% accuracy, 92% sensitivity, and 99% specificity on our private OCT dataset. Using the heatmap generated from traine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our method is more robust and explainable than previous approaches because it focuses on areas that contain disease signs.

추출방법을 달리한 달맞이꽃 추출물의 항산화 및 항균 활성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enothera biennis extracted by different methods)

  • 김진학;이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233-238
    • /
    • 2016
  • 추출방법을 달리하여 달맞이꽃 에탄올 추출물의 주요성분과 항산화 및 항균 활성을 측정하였다. 상온교반 추출(SE, stirrer extraction), 초음파 추출(USE, ultrasonification extraction), 환류 추출(RE, reflux extraction), 고온가압추출(AE, autoclave extraction), 저온고압추출(LE, low temperature high pressure extraction)법을 사용한 결과 RE법이 추출수율(46.33%), 총 폴리페놀(463.05 mg GAE/g)과 플라보노이드(71.71 mg RHE/g) 함량이 다른 추출방법 보다 높았다. 달맞이꽃 추출물은 B. cereus에 대한 항균활성이 나타났으며, 추출방법에 따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DPPH와 ABTS radical 소거능, 환원력, 철이온 흡착능 시험에서도 RE법을 이용한 추출물이 각각 74.40%, 65.29%, 1.370 ($OD_{700}$), 90.14%를 나타내어 다른 추출방법에 비해 높았다. 달맞이꽃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하여 유용한 천연물 소재로 사용이 가능하며, B. cereus가 주 원인이 되는 식중독의 예방이나 오염된 식품의 보존성 증진을 위한 천연 소재로 할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초기발육단계 폐흡충에서 추출한 단백질의 전기영동상 (Electrophoretic Patterns of Proteins from Paragonimus westermani in Early DEvelopmental Stages)

  • Boong Huer;Suk-Il Kim;Shin-Yong Kang;Seung-Yull Cho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3권2호
    • /
    • pp.189-196
    • /
    • 1985
  • 폐흡충 발육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와 함께 구성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의 차이점을 관찰할 목적으로 실험 감염 후 4, 6, 8, 10 및 12주 경과한 초기 발육단계의 폐흡충으로부터 각각의 생리 식염수 추출액을 만들고 이들 추출액 내의 단백질 구성을 디스크 폴리아코릴아마이드젤 전기병동(disc-PAGE)양상으로 비교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감염후 4주부터 l2주에 이르는 충체들의 생리식염수 추출액 전기영동상에서 관할된, 서로 다른 Rf치를 보인 단백질 band수를 모두 합하면 15개이었다. 그중 5개는 관찰한 전 발육단계를 통하여 관찰할 수 있었다. 2. 분리된 구성 단백질 band수와 그 양상은 각 발육단계마다 서로 다르게 관찰되었지만, 4주와 6주의 전기영동상이 비슷하였고, 8주와 10주의 전기영동상 또한 비슷하게 나타났다. 3. 12주 성충에서의 전가영동상은 그 이전의 영 동상과 크게 달라졌던 바 가장 낮은 전기이동도 영역에서 새로운 단백질 band가 주(주, major) band로 관찰되었고, 12주 이전의 충체에서 미약하던 단백질 band가 주 band로 전환되었으며 4주와 6주의 미성숙 충체에서 관찰되었던 band들이 소멸되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폐흡충은 성충으로 발육하는 초기 발육단계에서 구성단백질의 전기영동상이 단계별로 다르게 나타나는 바, 특히 8주와 12주에 각각 크게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수수 지상부의 부산물과 추출물의 제초활성 (Weed Control Efficacy of the Residues and its Aqueous Extract of Sorghum Shoots)

  • 박수혁;원옥재;;엄민용;황기선;황재복;박기웅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243-248
    • /
    • 2015
  • 본 연구는 수수 지상부 부산물을 이용하여 제초활성을 검정하며 생물제초제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수수 지상부 분말을 토양과 혼합하여 처리했을 때 피, 바랭이, 어저귀, 털비름의 발아 억제율은 최대 40% 정도였으며 발아한 개체들의 지상부 생육억제율은 광엽잡초인 어저귀와 털비름에서 최대 30%, 화본과잡초인 피와 바랭이에서는 30% 이하로 낮게 나타났다. 수수 지상부 추출물의 발아억제 효과는 피를 제외한 바랭이, 어저귀, 털비름에서는 $25mg\;ml^{-1}$ 이상의 농도에서 크게 나타났으며, 50%의 발아를 저해하는 농도가 피에서는 $60mg\;ml^{-1}$였으나 나머지 세 초종에서는 $1060mg\;ml^{-1}$ 이하로 작게 나타났다. 경엽처리활성을 높이기 위해 선발한 11개 전착제 중 DOS70, TM15, TDE7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DOS70는 주요 잡초종을 60%까지 방제할 수 있었다. 비록 수수 지상부 부산물의 잡초방제효과가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장기적인 처리에 의한 잡초종자 및 개체밀도의 점진적인 경감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