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DL

검색결과 2,461건 처리시간 0.033초

Functional Properties of Modified Low Density Lipoprotein and Degradation of Modified LDL by Human Monocyte-Macrophages

  • Kim, Tae-Woong;Park, Jae-Hoon;Park, Young-June;Son, Heung-Soon;Yang, Ki-Sook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362-370
    • /
    • 1995
  • Human plasma low density lipoprotein(LDL) is the main carrier for cholesterol, and recent studies suggest the normal LDL can be readily oxidized by free radical and not interact with LDL receptor. Lipoprotein pariticles are consisted of lipid andprotein, and fatty acids of lipoproteins are prone to oxidation. LDL particles readily undergo oxidative modification by copper. From the results, oxidized LDL altered its biological properties. A marked increase in the electrophoretic mobility of LDl on agarose gel indicated that negative surface charge of the LDL particles was increased. Also, the results from the HPLC showed that oxidized LDL was degraded into several polypeptides nonenzymatically. Degradation tests which measured the amount of 5-IAF labelled oxidized LDL were carried out by monocyte and hepatocyte cell culture. Hepatocyte cell culture of modified LDL did not show consistent pattern. However, binding rate of modified LDL with HMDM(human monocyte derived macrophage) was enhanced with oxidation, but was retarded by addition of antioxidants(hyaluronic acid, vitamin A, vitamin E). Also comparisons of oxidized-LDL, acetyl-LDL and MDA-LD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chemical properteis and binding affinity to HMDM. Thus, modificaition of normal LDL altered its biological properties.

  • PDF

Macrophage 유도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LDL]의 수식에 대한 Streptomyces sp. BH-405 배양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Streptomyces sp. BH-405 on Macrophage Mediated Modific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LDL))

  • 류병호;박종옥;김희숙;김민정
    • KSBB Journal
    • /
    • 제15권2호
    • /
    • pp.156-161
    • /
    • 2000
  • 해양에서 분리한 Streptomyces sp. BH-405의 배양액으로부터 정제하여 얻은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획분 band 2 에 대하여 사람 Low Density Lipoprotein(LDL)의 산화 억제 효과에 대하여 실험하였다. Streptomyces sp. BH-405의 배양액으로부터 분리 정제한 획분 band 2는 LDL에 대한 $5\mu\textrm{m}$ $CuSO_4$ 의 유도 산화를 측정한 결과 100 및 200 $\mu\textrm{g}$/mL에서 LDL의 산화억제 효과가 높았다. 그리고, band 2를 이용한 macrophage 및 J774 유도 LDL의 수식에 대한 항상화 효과도 native LDL에 비하여 높았다. 이때 같은 농도의 band 2를 첨가하여 산화 LDL의 전기영동의 이동거리를 측정한 결과 native LDL보다는 약간 높았으나 Oxid LDL의 대조군보다는 이동거리가 낮으며 공액2중결합의 생성억제 효과도 있었다. 사람 LDL의 산화에 대하여 macrophage 및 내피세포를 이용하여 125I-LDL 산화에 대하여 band 2를 각각 100 및 200 $\mu\textrm{g}$/mL씩 첨가하여 실험한 결과 사람 LDL의 분해는 대조구보다 낮았으며 용량 의존형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

Oxidized LDL induces phosphorylation of non-muscle myosin IIA heavy chain in macrophages

  • Park, Young Mi
    • BMB Reports
    • /
    • 제48권1호
    • /
    • pp.48-53
    • /
    • 2015
  • Oxidized LDL (oxLDL) performs critical roles in atherosclerosis by inducing macrophage foam cell formation and promoting inflammation. There have been reports showing that oxLDL modulates macrophage cytoskeletal functions for oxLDL uptake and trapping, however, the precise mechanism has not been clearly elucidated. Our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oxLDL on non-muscle myosin heavy chain IIA (MHC-IIA) in macrophages. We demonstrated that oxLDL induces phosphorylation of MHC-IIA (Ser1917) in peritoneal macrophages from wild-type mice and THP-1, a human monocytic cell line, but not in macrophages deficient for CD36, a scavenger receptor for oxLDL. Protein kinase C (PKC) inhibitor-treated macrophages did not undergo the oxLDL-induced MHC-IIA phosphorylation. Our immunoprecipitation revealed that oxLDL increased physical association between PKC and MHC-IIA, supporting the role of PKC in this process. We conclude that oxLDL via CD36 induces PKC-mediated MHC-IIA (Ser1917) phosphorylation and this may affect oxLDL-induced functions of macrophages involved in atherosclerosis.

제주흑우 동결정액 제조에 있어 Low Density Lipoproteins (LDL)과 항산화제로서 Taurine, Hypotaurine 그리고 Trehalose 조합이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LDL in Combination with Taurine, Hypotaurine and Trehalose as a Antioxidant on Freezing Thawed Semen Function in Korean Jeju Black Bull)

  • 오신애;고민희;강태영;최선호;고문석;오영미;조원모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6권3호
    • /
    • pp.147-154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제주흑우의 유전자원 보존과 증식에 있어 성공적인 인공수정을 위한 안정적인 동결정액 제조법을 수립하고 동결 융해 후 정자의 품질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주흑우의 동결 정액 제조시 LDL, taurine, hypotaurine 그리고 trehalose를 첨가하여 이들이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제주흑우의 정액 동결 시 LDL, LDL-taurine, LDL-hypotaurine 그리고 LDL-trehalose의 첨가는 ($63.40%{\pm}7.39$, $69.70%{\pm}6.12$, $67.25%{\pm}3.21$, $64.55%{\pm}2.43$) 대조구에($56.25%{\pm}6.42$) 비하여 모두 유의적인 생존율의 증가를 나타냈다 (p<0.05). 정자막 온전성 검사를 통한 꼬리막 팽창 정자의 비율은 LDL-taurine을 첨가 실험구에서 $70.55%{\pm}5.16$, LDL-hypotaurine 첨가 실험구에서 $64.45%{\pm}5.85$, LDL-trehalose 실험구에서 $64.50%{\pm}2.78$, LDL 단독 첨가 실험구에서 $61.65%{\pm}5.18$로 대조구 $51.90%{\pm}9.99$보다 모두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p<0.05). 동결 융해 후 정자의 첨체막 변화 양상에 있어서는 B pattern의 비율은 대조구와 실험구 모두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F pattern은 LDL-taurine의 조합만이 대조구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며 증가하였다 (p<0.05). 그러나 AR pattern의 비율은 LDL-taurine, LDL-trehalose, LDL-hypotaurine 그리고 LDL 처리의 순으로 대조구에 비하여 모두 유의적으로 낮은 수준의 AR pattern의 비율을 나타냈다(p<0.05). 정자의 수정능력 평가에 있어 LDL-taurine, LDL-hypotaurine 그리고 LDL-trehalose 모두 대조구에 대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웅성전핵 형성율과 SFI를 나타냈으며 (p<0.05), 특히 LDL-taurine의 첨가는 LDL의 단독 처리에 비하여도 유의적으로 높은 수준의 웅성전핵 형성율과 SFI를 나타냈다 (p<0.05). 또한, decondenced sperm 비율에 있어 LDL, LDL-taurine, LDL-hypotaurine 그리고 LDL-trehalose 실험구 모두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냈다 (p<0.05). 본 연구의 결과는 제주흑우 정액의 동결정액 제조에 있어 안정적인 제조법을 공급할 수 있으며, 동결 융해 후 정자의 기능 개선 방법에 보다 많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저밀도 지질단백질 및 산화 LDL(Oxidized-LDL)의 특성 (Function Properties of Low Density Lipoprotein (LDL) and Oxidized-LDL)

  • Tae-Koong Kim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530-539
    • /
    • 1994
  • 최근 지방 섭추의 증가에 따른 혈관계 질병이 증가 추세에 있다. 이러한 동맥경화 및 고지질의 질병은 지질 단백질(lipoprotein)과 관련하여, LDL 및 산화 LDL의 특성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인체의 혈장에 함유된 LDL 함량의 증가는, 동맥경화와 직결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LDL은 매우 hydrophobic한 특성을 가진 550Kd의 단일 polypeptide인 Apo B-100라는 단백질이, 지질성분인 triglyceide, phospholipid 및 cholesterol와 결합되어 있다. 최근 이러한 LDL은 산화(oxidation)되는 경우, 정상적인 LDL-receptor pathway를 따르지 않고, macrophang와 결합하므로서, foarn cell을 형성하여 동백경화가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 PDF

Antioxidative Effects of Cichorium intybus Root Extract on LDL (Low Density Lipoprotein) Oxidation

  • Kim, Tae-Woong;Yang, Ki-Sook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4권5호
    • /
    • pp.431-436
    • /
    • 2001
  • The water extract of Cichorium intybus (WECI) showed a remarkable antioxidative effect on LDL, and inhibitory effects on the production of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 and the Degradation of fatty acids in LDL. Vitamin 1 and unsaturated fatty acids in LDL were protected by adding WECI from the effects of metal catalyzed LDL oxidation. From the results obtained, we conclude that LDL oxidation is inhibited in vitro by the addition of WECI, and that LDL is protected by WECI from oxidative attack, as shown by agarose gel electrohporesis.

  • PDF

인체 혈장에서 분리한 LDL과 LDL의 지방산 조성과 기능성의 변화 (Fatty Acid Composition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Low Density Lipoprotein and Oxidized LDL from Human Plasma)

  • Jae-Hoon Choi;Hyun-Mi Cho;Heung-Soo Son;Tae-Woong Kim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02-408
    • /
    • 1994
  • 인체의 혈장 저밀도 지단백(LDL)은 관상동맥경화 발병의 주 요인이다. 그러나 최근의 연구들은, 정상적인 LDL은 산소 자류라디칼에 의해 쉽게 산화되며, 결과 LDL 수용채와 결합하지 못한다고 밝히고 있다. 따라서 이 변형된 형태의 산화된 LDL은 macrophage scavernger receptor에 의해 인식되어 foam cell을 형성하여, 동맥혈관이 좁아지는 역할을 수행한다고 알려지고 있다. 지리과 산화에는 지방산이 중요한 작용을 하므로, 한국인의 LDL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하여 서양인과 비교하였다. 결과, 한국인의 불포화 지방산의 비율이 총 지방산 함량의 약 30%인 반면 서양인은 약 70%의 분포를 갖고 있는 것으로 발표되었다. 따라서 한국인이 서양인에 비해 LDL의 산화에 대한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으며, 따라서 동맥경화나 심장병의 발생률이 훨씬 적을 것으로 결론을 내릴 있다. 정상적인 LDL을 황산구리와 함께 배양하여, 지방의 산화를 유도하였으며 이의 정도를 지방산 산화의 생성물인 TBARS를 측정하여, LDL이 산화될 때 생성되는 자유라디칼의 양을 측정하므로서 비교하였다. 이 때, 항상화제인 비타민 C; 비타민 E와 히알우로닉산을 첨가하면 LDL의 산화가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자유 라디탈이 증가함에 따라 산화의 정도도 증가하였으며, 자유라디칼 형성의 경시적 변화는 TBARS와 유사하였다. 따라서 luminometer에 의한 자유라디칼의 정량은 TBARS에 의한 것보다 훨씬 간편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Lipoprotein Lipase-Mediated Uptake of Glycated LDL

  • Koo, Bon-Sun;Lee, Duk-Soo;Yang, Jeong-Yeh;Kang, Mi-Kyung;Sohn, Hee-Sook;Park, Jin-Woo
    • BMB Reports
    • /
    • 제33권2호
    • /
    • pp.148-154
    • /
    • 2000
  • The glycation process plays an important role in accelerated atherosclerosis in diabetes, and the uptake of atherogenic lipoproteins by macrophage in the intima of the vessel wall leads to foam cell formation, an early sign of atherosclerosis. Besides the lipolytic action on the plasma triglyceride component, lipoprotein lipase (LPL) has been reported to enhance the cholesterol uptake by arterial wall cells. In this study, some properties of LPL-mediated low-density lipoprotein (LDL) uptake and the effect of LDL glycation were investigated in RAW 264.7 cell, a murine macrophage cell line. In the presence of LPL, $^{125}I$-LDL binding to RAW 264.7 cells was in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concentrations greater than $20\;{\mu}g/ml$ of LPL, LPL-mediated LDL binding was increased about 17-fold, achieving saturation. Without LPL, both very low-density lipoprotein (VLDL) and high-density lipoprotein (HDL) were ineffective in blocking the binding of $^{125}I$-LDL to Cells. However, LPL-enhanced LDL binding was inhibited about 50% by the presence of VLDL, while no significant effect was observed with HDL. Heat inactivation of LPL caused a 30% decrease of LDL binding. In the presence of LPL, the cells took up 40% of cell-bound native LDL.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cell binding between native and glycated LDL. However, the uptake of glycated LDL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native LDL, reaching to 70% of the total cell bound glycated LDL. These results indicate that LPL can cause the significant enhancement of LDL uptake by RAW 264.7 cells and the enhanced uptake of glycated LDL in the presence of LPL might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accelerated atherogenesis in diabetic patients.

  • PDF

대식세포(大食細胞) oxLDL 생성(生成)에 미치는 독활기생탕(獨活寄生湯)의 영향(影響) (Effects of Tokhwalkisaengtang on LDL Oxidation in Macrophage Cell)

  • 황귀서;송지연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205-213
    • /
    • 2000
  • The oxidative modific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LDL) has been implicated in the development of atherosclerosis . Oxidized LDL(oxLDL) are found in macrophage foam cell , and it can induce an macrophage proliferation in atherosclerotic plaqu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hypothesis that Tokhwalkisaengtang(TK) may reduce atherosclerosis by lowering the oxidizability of LDL, To achieve this goal, we examined the effect of TK on LDL oxidation, nitric oxide production in murine macrophage cell line , and the effect of TK on cupuric sulfate-induced cytotoxicity. LDH release, and macrophage activity TK inhibited the generation of oxLDL from native LDL in macrophage cell culture, and decreased the release of LDH from cupric sulfate-stimulated macrophage. In other experiments, TK activated macrophase cell, and increased the survival rate, and enhanced nitric oxide production in macrophage.

  • PDF

사람의 Low Density Lipoprotein에 대한 녹차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Green Tea Extracts toward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 박춘옥;진성현;류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50-858
    • /
    • 1996
  • 본 연구는 녹차를 열수로 추출하여 LDL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연구한 결과이다. 녹차 1.25 g에 열수 500 ml를 가하여 추출한 후 다시 500 ml를 가하여 재추출하였으며 이를 증발, 건조한 결과 추출액의 건물량은 4.67 mg이었다. 녹차잎의 함량이 1.25%가 되도록 조절한 녹차에는 항산화 활성이 강한 polyphenol 화합물중 (-) epicatechin gallate 54.1%, (-) epicatechin gallate 26.2%, (-) epigallocatechin 10.7%, (-) epicatechin 이 7.0% 및 catechin이 1.8% 함유되었다. Low density lipoprotein (LDL)의 산화에 있어서 LDL은 $CuSO_4$ 존재하에서 macrophage와 배양시켰더니 빠르게 산화를 일으켰다. 그러나 $5\;{\mu}M\;CuSO_4$ 매개 LDL의 산화에 50 및 $100\;{\mu}g/ml$ 농도의 GTE를 넣어 배양하면 거의 완전히 산화를 억제하였다. $5\;{\mu}M\;CuSO_{4}$ 존재하에서 산화시킨 LDL의 전기영동 이동거리는 native LDL보다 높았다. 또 50 및 $100\;{\mu}g/ml$ 농도의 GTE는 J774, human monocyte derived macrophags 및 vascular endothelial cells에서 유도되는 LDL의 산화를 억제하였다. $CuSO_4$ 및 cell 유도에 의하여 산화되는 LDL은 native LDL보다 더욱 많은 양이 human macrophage에 의하여 분해되고 GTE는 macrophage에 의한 $^{125}I-LDL$의 산화를 강력히 억제하였다. 그리고 GTE는 cell 매개 LDL의 macrophage에 의한 축적 또는 분해를 억제하였다. LDL을 $5\;{\mu}M\;CuSO_4$, 존재하에서 산화시킬 때 GTE를 50 및$100\;{\mu}g/ml$ 농도로 넣어 배양하면 공액 dienes의 생성이 억제되고, 또한 Oxid LDL macrophage derived human monocytes에서도 축적이 억제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