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D50

검색결과 743건 처리시간 0.022초

$LD_{50}$의 독성학적 고찰 (Toxicological Evaluation of Median Lethal Dose $(LD_{50})$)

  • 박현선;홍채영;오진아;윤승천;이병무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12권2호
    • /
    • pp.143-154
    • /
    • 1996
  • This paper reviews the toxicological role of median lethal dose ($LD_50$) based on animal and human data. Animal oral $LD_50$ values of eighty seven chemicals were collected and comparatively evaluated with human minimum toxic dose ($TD_50$). In general, animal $LD_50$ values were much higher than human $TD_50$. The ratios between $LD_50$ and TDlo were ranged from 0.01 and over 1000, suggesting safety factor of up to 1000 between humans and animals in the case of acute toxicity data. However, about 40% of chemicals investigated were within the ratio of 10. Although the cases (N=20) were small, $LD_50$ values of guinea pig were closer to human TDlo than those of other animal species. In interanimal species (rat, mouse, rabbit, dog), the ratios of $LD_50$ values were between 0.1 and 5 (up to 50-fold difference). When the data are analyzed by chemical strut-ares, human $TD_50$ values were very close to rat oral $LD_50$ values. These data suggest that rat oral $LD_50$ value might be a useful parameter predicting human TDlo and one animal species could be sufficient for acute toxicity test.

  • PDF

LD50 산출방법에 있어서 수리 · 통계학적 특성 (Mathematical and Statistical Characterization of LD50 Estimation)

  • 김세기;김근종;이병무
    • Toxicological Research
    • /
    • 제20권4호
    • /
    • pp.321-324
    • /
    • 2004
  • Lethal dose 50% ($LD_{50}$) has been commonly used as a parameter for the estimation of acute toxicity not only in animal experiment, but also in human study. Several methods to estimate $LD_{50}$ had been introduced, but Spearman-Karber and Berens-Karber method have been widely used due to their relative convenience and accuracy. However, $LD_{50}$ values estimated from the two methods showed inconsistency and variation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mortality data. In this study, the two methods were comparatively investigated in terms of accuracy and stability for the estimation of $LD_{50}$.

Effect of Diazinon, an Organophosphate Insecticide, on Plasma Lipid Constituents in Experimental Animals

  • Ibrahim, Nagi A.;El-Gamal, Basiouny A.
    • BMB Reports
    • /
    • 제36권5호
    • /
    • pp.499-504
    • /
    • 2003
  • There has been increasing interest in studying the various effects of organophosphate insecticides in humans and experimental animals. Only a few data are available on the effect of the organophosphate insecticide, diazinon, on lipid metabolism.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diazinon on plasma lipid constituents in mammalian animals. The plasma levels of total cholesterol (TC), high-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HDL-C),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DL-C), triglycerides (TG), and phospholipids (PL) were measured in albino rats that were orally treated with a single dose of diazinon at a level of $LD_{50}$ or with repeated daily doses at the levels of $\frac{1}{2}$, $\frac{1}{8}$, and $\frac{1}{32}$ $LD_{50}$ for 2, 8, and 32 days, respectively. After a 24 h post-treatment with a single $LD_{50}$ dose of diazinon, TC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the HDL-C and PL levels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but the LDL-C and TG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Separate daily oral administrations of diazinon at $\frac{1}{2}$ $LD_{50}$, $\frac{1}{8}$ $LD_{50}$, and $\frac{1}{32}$ $LD_{50}$ doses resulted in a significant decrease in HDL-C and PL, with no significant change in TG. The LDL-C level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C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with $\frac{1}{2}$ $LD_{50}$ and $\frac{1}{32}$$LD_{50}$ doses of diazinon, where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levels of TC, HDL-C, as well as LDL-C, was observed with the $\frac{1}{8}$ $LD_{50}$ dose. These data suggest that diazinon may interfere with lipid metabolism in mammals.

기능성 MA 포장재가 #후지# 사과의 신선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unctional MA Packaging Film on Freshness Extension of #Fuji# Apples)

  • 박형우;김동만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80-84
    • /
    • 2000
  • 기능성 필름을 코팅한 골판지 상자에 사과를 저장하면서 품질유지 상태를 조사하고자 대조구로 기존에 유통 중인 골판지 상자와 두께 0.03, 0.05 mm의 LDPE필름(30LD와 50LD)과, 두께 0.03 mm, 0.05 mm의 기능성MA 필름을 골판지 상자에 코팅한(30CE와 50CE) 후 이 상자에 후지사과를 15 kg씩 포장하여 $5^{\circ}C$에 75일간 저장하면서 신선도 변화를 비교 연구하였다. 중량 감소는 저장 75일 후 대조구는 2.7%, LD와 CE 포장구들은 0.2~0.5% 감소했다. 경도는 대조구보다는 필름포장구들에서 변화가 적었고 LD보다는 CE 포장구에서 변화가 더 적게 나타났다. 비타민 C 함량은 초기의 3.67 mg%에서 대조구는 42%, LD 포장구들은 31~29%, CE 포장구들은 24~22%가 감소하였다. 산도 및 가용성 고형분의 경우 대조구가 필름포장구들에서 변화가 심했으며, 필름포장구들 중에서는 LD 포장구보다 CE 포장구에서 변화가 적게 나타났으며, 부패도 대조구보다는 LD와 CE 포장구에서 적게 나타났다.

  • PDF

거세미나방 유충의 령기에 따른 몇가지 토양살충제의 독성의 차이에 관한 연구 (The Toxicities of Some Soil Insecticides to the Various Larval Instars of the Common Cutworm (Agrotis fucosa Butler) in the Laboratory)

  • 안용준;김요태;김홍진;최승윤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9-83
    • /
    • 1980
  • 야외에서 채집한 거세미나방(Agrotis fucosa Butler) $1\~6$령충에 대한 5개 토양살충제를 국소처리하여 $LD_{50}$치를 구하여 령충별 독성과 내성을 비교 검토하였다. 유충의 령기가 진행됨에 따라 $LD_{50}$치가 현저히 증가하였으며 그 차이는 약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현저하였는데 그 독성은 phoxim $(Volaton^{(R)})$이 가장 높았고 다음이 carbofuran$(Curaterr^{(R)})$, chlorpyrifos $(Dursban^{(R)})$ Mocap, diazinon의 순위였다. 그리고 $1\~2$령충까지의 $LD_{50}$치는 비교적 낮았으나 3령충부터 $LD_{50}$치는 급격히 증가하였다. (2) 령충별 내성비($2\~6$령충의 $LD_{50}$/1령충의의 $LD_{50}$)에 있어서 phoxim은 $11.1\~251.6$배, diazinon은 $1.2\~126.6$배, chlorpyrifos는 $4.3\~97.5$배, carbofuran은 $1.6\~44.3$배, Mocap은 $11.5\~18.7$배로서 령기가 진행됨에 따라 약제에 대한 내성이 크게 증가하였으며 그 정도는 약제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3) diazinon에 대비한 phoxim, carbofuran, chlorpyrifos, Mocap의 령충별 독성비는 3령충까지는 낮거나 높아 일관성이 없었으나 4령에서 6령까지는 대조약제 diazinon에 비하여 모드 높은 독성비를 나타내었다. 1령충에서 6령충까지의 평균 독성비(각 령충별 $LD_{50}$치 기준)는 diazinon에 대하여 phoxim은 5.2배 carbofuran은 1.9배 chlorpyrifos는 1.7배, Mocap은 1.1배 이었다.

  • PDF

몇가지 수도용 살충제 처리가 벼멸구 차세대 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veral Insecticides on the Biology and Population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 이형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72-176
    • /
    • 1984
  • 몇가지 수도용 살충제를 공시하여 아치사약량 수집($LD_{10}$$LD_{50}$)을 처리하였을 때 차세대 벼멸구의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1. 농약원제의 $LD_{10}$$LD_{50}$ 수집의 약량을 처리하였을 때 공시약제 모두 무처리밀도보다 낮았고 $LD_{50}$보다 $LD_{10}$ 수집에서 밀도증식이 높았으며 Diazinon 처리에서 밀도증식이 비교적 높았다. 2. 제품농약의 유천약량을 벼멸구 자성충과 약충에 처리한 다음 1세대후 벼멸구의 약충기간은 약간 지연되는 경향이었으나 우화율은 약제처리에서 약간 높은 경향이나 자성충의 수명은 약제간에 큰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산란수는 무처리에 비하여 Diazinon 처리에서 오히려 높았다. 3. 제품농약의 유천약량을 처리한 후 밀도변동을 조사한 결과 처리 약 38일까지는 무처리에 비하여 낮은 밀도를 보였으나 54일후 Diazinon 처리에서는 오히려 벼멸구의 밀도가 높게 나타났다.

  • PDF

봉약침의 LD50 변화 보고 (Report on the changes of LD50 of Bee venom Herbal Acupuncture)

  • 장성봉;최영권;권기록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1-44
    • /
    • 2005
  • Objectives :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reevaluate $LD_{50}$ of Korean bee venom acupuncture as many changes have occurred over the years. Methods : ICR mice were used as the experiment animals and bee venom acupuncture was manufactured under the protocols of Korean Institute of herbal Acupuncture. Based on the previous reports, experiment was divided into pre and main sections. Results : 1. Presumed $LD_{50}$ value is at 5.25mg/kg 2. Deaths of experiment animals occurred within 48 hours. 3. Reduced toxicity of the bee venom acupuncture is likely to be the results of more refined manufacturing process and production. Conclusion : Comparing with the values of the previous results, toxicity of the bee venom acupuncture showed significant changes and more accurate findings on $LD_{50}$ value must be accomplished to lead further studies on the bee venom acupuncture.

국내에서 농약에 대한 급성경구독성등급법 적용 및 GHS 체계 도입 제안 (Application of Oral Acute Toxic Class Method and Globally Harmonized Classification System on Pesticide)

  • 정미혜;유아선;박경훈;김병석;이희동;이제봉;권오경
    • 농약과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41-147
    • /
    • 2008
  • 최근 국제적으로 화학물질에 대하여 분류체계를 단일화하기 위하여 "화학물질의 분류표지 등에 대한 세계 조화시스템(Globally Harmonized classification system, GHS)" 분류체계를 도입하고 있고, 또한 동물보호법에 따라 실험동물수를 축소한 급성경구독성시험법-고정용량법, 급성독성등급법(acute toxic class method, ATC), Up-and Down법을 새롭게 적용하고 있다. 본 시험은 국내 농약 등록시 수행하고 있는 급성경구독성시험인 $LD_{50}$ 시험법과 개정된 시험법 중 급성독성등급법(ATC)을 비교하여 새로운 시험법 적용과 GHS 분류체계 도입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 농약은$LD_{50}$이 GHS 분류기준의 경계부분에 있는 농약 13종을 선발하여 $LD_{50}$ 시험법과 급성독성등급법을 동시에 수행한 결과 Methidathion EC, Parathion-ethyl의 $LD_{50}$$LD_{50}$ 시험법은 각각 57.3, $60\;mg\;kg^{-1}$ 이었고, 급성독성등급법은 $200\;mg\;kg^{-1}$ 으로 $LD_{50}$ 차이가 있었으나, GHS 분류체계의 독성구분 결과 모두 3급으로 동일하게 분류되었고, Carbofuran GR은 $LD_{50}$ 시험법은 $310\;mg\;kg^{-1}$, 급성독성등급법은 $300\;mg\;kg^{-1}$ 으로 비슷하였으나 GHS 분류 3급 기준이 $300\;mgvkg^{-1}$이하이므로 각각 4등급, 3등급으로 분류되었으며, Phosphamidon SL, Endosulfan EC, EPN EC, Dimethoate EC, Phenthoate EC, Zeta-cypermethrin EW, Bifenthrin EC, Fenthion EC, Carbaryl WP, Chlorpyrifos.Diflubenzuron WP의 $LD_{50}$ 은 두 시험 모두 비슷하였고, GHS 독성분류도 동일하였다. 이상의 결과 농약 등록시 급성경구독성시험에 급성독성등급법과 GHS 분류체계에 대한 적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식물추출 유기농업자재 3종(님, 고삼, 데리스 추출물)의 꿀벌에 대한 독성평가 (Evaluation of Honeybee Acute Toxicity of Plant Extracts, Neem, Sophora and Derris)

  • 오진아;최진희;최미선;김진효;백민경;박경훈;홍순성;이제봉;김두호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73-477
    • /
    • 2013
  • 본 연구는 병해충 관리용 유기농업자재 허용물질로 지정된 식물추출물 중 님 추출물과 고삼추출물, 데리스 추출물 원제의 독성 평가를 위해 꿀벌에 대한 급성 접촉 및 섭식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급성접촉독성시험결과 님 추출물 2종과 데리스 추출물 2종은 $LD_{50}$이 100 ${\mu}g/bee$ 이상으로 독성이 매우 낮았고 고삼 추출물은 2종 모두 $LD_{50}$(48h)이 1.7 ${\mu}g/bee$로 매우 강한 독성을 보였다. 급성섭식독성시험결과 님 추출물 2종과 데리스 추출물 2종은 $LD_{50}$이 100 ${\mu}g/bee$ 이상으로 독성이 매우 낮았고 고삼 추출물A는 $LD_{50}$(48h)이 1.7 ${\mu}g/bee$, 고삼 추출물B는 $LD_{50}$(48h)이 0.3 ${\mu}g/bee$으로 모두 매우 강한 독성이 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연명피 사포닌의 독성 및 용혈작용 (Toxicity and Hemolytic Activitiy of Saponin Isolated from Sapindus mukorossi)

  • 박은희
    • 약학회지
    • /
    • 제39권2호
    • /
    • pp.137-140
    • /
    • 1995
  • Saponin isolated from Sapindus mukorossi Gaertn has been shown to contain a strong anti-inflammatory activity. In this study, several pharmacological properties such as acute toxicity, local irritation and hemolytic activity of Sapindus saponin and its genin component, hederagenirl, were examined. The acute toxicity of Sapindus saponin was very low. Estimated from the LD$_{50}$ values, it showed much weaker toxicity in oral administration than in intraperitoneal injection. Hederagenin gave a very high LD$_{50}$ value even in intraperitoneal injection. Sapindus saponin showed a potent local irritation after topical application, whereas hederagenin did a very weak local irritation. Sapindus saponin also gave a high hemolytic activ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