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C$_50$

검색결과 895건 처리시간 0.028초

국내 유통중인 식용꽃차의 잔류농약 실태조사 (A Survey on Pesticide Residues of Commercial Flowering Teas)

  • 박정욱;이향희;오무술;김종필;장태관;유연아;하동룡;김은선;서계원
    • 농약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5
    • /
    • 2013
  • 꽃차 100건(국내산 21건, 중국산 50건, 독일산 20건, 미국산 3건, 남아공 1건, 프랑스 1건, 인도 1건, 파키스탄 1건, 이란 1건, 일본 1건)에 대해 잔류농약검사를 하였다. 잔류농약 203종을 검사한 결과 국화차 3건, 연꽃차 1건 모두 4건이 검출되었다. 국내산 연꽃차는 기준이내 적합이었고 나머지 3건에서는 농약이 기준 초과로 검출되었다. 원산지별로는 국내산 1건, 수입산 3건이었다. 검출된 농약 성분은 총 5종이었고 이중 pyrimethanil은 중복검출되었다. 차문화의 대중화와 더불어 꽃차에 대한 지속적인 잔류농약 모니터링 및 수입에서 유통까지 철저한 안전관리 대책이 요구된다.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Glucosinolates in Rapeseed (Brassica napus L.) Sprouts Cultivated under Dark and Light Conditions

  • Lee, Min-Ki;Arasu, Mariadhas Valan;Chun, Jin-Hyuk;Seo, Jeong Min;Lee, Ki-Teak;Hong, Soon-Taek;Kim, In Ho;Lee, Yong-Hwa;Jang, Young-Seok;Kim, Sun-Ju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15-322
    • /
    • 2013
  • BACKGROUND: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identification and quantification of glucosinolate (GSL) contents in seven varieties of rapeseed (Brassica napus L.) sprouts cultivated under dark and light conditions. METHODS AND RESULTS: Crude glucosinolates (GSLs) were desulfated by treating with aryl sulfatase and purified using diethylaminoethyl sepharose (DEAE) anion exchange column. Individual GSLs were quantifi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with electrospray ionization-tandem mass spectrometry (ESI-MS/MS). Eleven GSLs including six aliphatic (progoitrin, sinigrin, glucoalyssin, gluconapoleiferin, gluconapin, and glucobrassicanapin), four indolyl (4-hydroxyglucobrassicin, glucobrassicin, 4-methoxyglucobrassicin, and neoglucobrassicin) and one aromatic (gluconasturtiin)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fragmentation patterns of MS spectrum. Aliphatic GSLs were noted as the predominant group with average 85.2% of the total contents. The most abundant GSLs were progoitrin which was ranged at $8.14-118.68{\mu}mol/g$ dry weight (DW). The highest total GSL amounts were documented in 'Hanra' ($146.02{\mu}mol/g$ DW) under light condition and 'Mokpo No. 68' ($86.67{\mu}mol/g$ DW) in dark condition, whereas the lowest was in 'Tamra' (30.13 and $14.50{\mu}mol/g$ DW) in both conditions. The sum of aliphatic GSLs attributed > 80% in all varieties, except 'Tamra' (67.7% and 64.9% in dark and light conditions, respectively) in the total GSL accumulation. Indolyl GSLs were ranged $2.41-15.73{\mu}mol/g$ DW, accounted 2.78-33.6% of the total GSLs in rapeseed varieties. CONCLUSION(S): These results provide valuable information regarding potential beneficial GSL contents individually. This study attempts to contribute to knowledge of the nutritional properties of the different varieties of rapeseed plants. These results may be useful for the evaluation of dietary information.

태양전지 응용을 위한 E-beam 조사법에 의한 비정질 실리콘 결정화 특성연구 (Crystallization properties of amorphous silicon thin films by electron beam exposing method for solar cell applications)

  • 정채환;류상;김창헌;이종호;김호성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10년도 춘계학술대회 초록집
    • /
    • pp.80-80
    • /
    • 2010
  • 유리기판위에 큰 결정입자를 갖는 실리콘 (폴리 실리콘) 박막을 제조하는 것은 가격저가화 및 대면적화 측면 같은 산업화의 높은 잠재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그동안 많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되어 오고 있다.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다결정 실리콘 박막을 만들기 위해 노력해 오고 있으며, 태양전지에 응용하기 위하여 연속적이면서 10um이상의 큰 입자를 갖는 다결정 실리콘 씨앗층이 필요하며, 고속증착을 위해서는 (100)의 결정성장방향 등 다양한 조건이 제시될 수 있다. 다결정 실리콘 흡수층의 품질은 고품질의 다결정 실리콘 씨앗층에서 얻어질 수 있다. 이러한 다결정 실리콘의 에피막 성장을 위해서는 유리기판의 연화점이 저압 화학기상증착법 및 아크 플라즈마 등과 같은 고온기반의 공정 적용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제약 사항으로 항상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볼때 유리기판위에 에피막을 성장시키는 방법으로 많지 않은 방법들이 사용될 수 있는데 전자 공명 화학기상증착법(ECR-CVD), 이온빔 증착법(IBAD), 레이저 결정화법(LC) 및 펄스 자석 스퍼터링법 등이 에피 실리콘 성장을 위해 제안되는 대표적인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이중에서 효율적인 관점에서 볼때 IBAD는 산업화측면에서 좀더 많은 이점을 가지고 있으나, 박막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큰 에너지 및 이온크기의 빔 사이즈 등으로 인한 표면으로의 damages가 일어날 수 있어 쉽지 않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damage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 저온에서 결정화 시킬 수 있는 cold annealing법을 소개하고자 한다. 이온빔에 비해서 전자빔의 에너지와 크기는 그리드 형태의 렌즈를 통해 전체면적에 조사하는 것을 쉽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자빔의 생성은 금속 필라멘트의 열전자가 아닌 Ar플라즈마에서 전자의 분리를 통해 발생된다. 유리기판위에 다결정 실리콘 씨앗층을 제조하기 위하여 전자빔을 조사하는 방법과 Al을 이용한 씨앗층 제조법이 비교되어 공정 수행이 이루어진다. 우선, 전자빔 조사를 위해 DC 및 RF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sim}10^{20}cm^{-3}$이상의 농도를 갖는 $p^+^+$ 비정질 실리콘 박막을 제조한다. Al의 증착은 DC 스퍼터링법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그 두께는 실리콘 박막의 두께와 동일한 조건(350nm)으로 제조한다. 제조된 샘플은 E-beam gun이 달린 챔버로 이동하여 1.4keV의 세기를 가지고 각각 10, 20, 50, 100초를 조사한 후 단면의 이미지를 SEM으로, 결정화 정도를 Raman으로, 결정화 방향 등에 대한 조사를 XRD로 분석 측정한다. 그리고 Hall effect를 통해 전자빔의 조사 전후의 캐리어 농도, 이동도 및 비저항 등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다. 동시에 Al을 촉매로 한 layer교환에 대하여 마찬가지로 분석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비교분석이 이루어 진다. 전자빔을 조사한 샘플에 대하여 빠른 시간 및 캐리어농도 제어 등의 우수성이 보이며, 특히 ~98%이상의 결정화율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 PDF

채취시기가 다른 국내외 녹차잎의 기능성분 함량, 뇌세포 생존 및 대사 효소 활성 조절 효과 조사 (Functional characterization of domestic and foreign green tea cultivars at different harvest periods)

  • 이방희;전세현;정하나;최정;김영민;양광열;남승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2권5호
    • /
    • pp.427-434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녹차 국내종(보향, 참녹), 외래종(후슌, 야부기다)의 채취시기를 달리하여 테아닌, GABA 등 유용 성분 함량을 분석하였고, 항산화능, α-glucosidase 활성 억제, HMG-CoA 저해도, 세포독성 측정, 뇌 신경세포 보호 효과, 항 스트레스 효과를 조사하여 유용 성분과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테아닌과 GABA 함량은 모든 품종에서 채취시기가 늦어질수록 함량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총 아미노산 함량에서는 채엽시기가 늦어질수록 보향 품종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후슌, 야부기다 그리고 참녹은 여름차에서 감소 후 다시 가을차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페놀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항산화능을 조사했을 때 ABTS는 후슌, 보향, 참녹에서 플라보노이드 농도와 비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재래 녹차와 야부기다는 총페놀의 농도와 비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은 참녹을 제외한 모든 시료에서 여름차의 활성이 가장 높고 가을차에서 활성이 다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카테킨류 측정에서 EGCg 함량은 카테킨류에서 50% 이상을 차지했고, 총 카테킨 함량과 Ecg, EGCg는 종과 관계없이 채취 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EGC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품종별 봄, 여름, 가을차를 시료로 하여 측정한 α-glucosidase 저해 활성과 HMG-CoA reductase 저해능은 채취 시기가 늦어질수록 증가함을 보였고 그 중 가을에 채취한 참녹에서의 저해 활성이 각각 72.93%, 69.78%로 두 저해능 측정에서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보였다. 또한 뇌신경세포(SH-SY5Y)를 이용한 세포 독성 측정에서 참녹 품종이 96.34%로 가장 높은 세포생존율을 보였고 항스트레스 측정에서 269.2 ng/mL로 가장 낮은 cortisol 함량이 확인되었다.

Effect of Gongjindan, a Polyherbal Formula on the Pharmacokinetics Profiles of Sorafenib in Male SD Rats (1) - Single Oral Combination Treatment of Sorafenib 50mg/kg with Gongjindan 100mg/kg within 5min -

  • ;;;;;;구세광;이영준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89-100
    • /
    • 2014
  • Objective : The co-administration effects of Gongjindan (GJD) on the pharmacokinetics (PK) of sorafenib were observed as a process of the comprehensive and integrative medicine. Methods : After sorafenib treatment, GJD was administered within 5 min. The plasma were collected at 30min before administration, 30min, 1, 2, 3, 4, 6, 8 and 24hrs after end of GJD treatment,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sorafenib were analyzed using LC-MS/MS methods. PK parameters of sorafenib ($T_{max}$, $C_{max}$, AUC, $t_{1/2}$ and $MRT_{inf}$) were analysis as compared with sorafenib single administered rats. Results : The absorption of sorafenib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t 30min, 1, 6 and 6hrs after co-administration with GJD as compared with sorafenib single treated rats. Accordingly, the $AUC_{0-t}$ (47.20%) of sorafenib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ut $t_{1/2}$ (-30.63%) and $MRT_{inf}$ (-34.11%) in co-administered rats were non-significantly decreased. These findings are considered as direct evidences that GJD increased the oral bioavailability of sorafenib through increase of the absorption, when they co-administered within 5min. Conclusion : Based on the results, co-administration of GJD increased the oral bioavailability of sorafenib through increase of the gastrointestinal absorption. It is considered that the more detail pharmacokinetic studies should be tested to conclude the effects of GJD on the pharmacokinetics of sorafenib, when they were co-administered, like the effects after co-administration with reasonable intervals considering the $T_{max}$ of sorafenib (about 3.5hr-intervals) and after repeated co-administrations.Hence, concomitant uses of GJD with sorafenib may require close monitoring for potential drug interactions.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원제가 잉어 및 물벼룩에 미치는 영향 연구 (Toxicity Evaluation of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in Cyprinus carpio and Daphnia magna)

  • 조재구;김미선;최현정;권민;강태구;정창국;김균;오승민;박철범
    • 농약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21-25
    • /
    • 2014
  •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은 Sclereotium cepivorum과 Sclereotium sp. 균주에 의해 발생하는 마늘 흑색 썩음균핵병에 대한 항박테리아 효능을 가지고 있다. 이는 Sclereotium cepivorum과 Sclereotium sp.에 의해 발생하는 마늘 흑색썩음 균핵병을 포함한 다양한 식물병원체를 관리하고 예방하기 위하여 개발중인 친환경적인 미생물 제품이다. 본 연구에서는 마늘 흑색 썩음균핵병의 방제재로 개발중인 Bu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원제($1.0{\times}10^9cfu/mL$)가 잉어와 물벼룩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 $6.67{\times}10^4cfu/mL$의 농도에서는 독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Burkholderia pyrrocinia CAB08106-4 원제는 담수어류 및 담수무척추동물에 영향이 낮을 것으로 기대된다.

살충성 물질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의 유전독성 평가 (Mutagenecity evaluation of insecticidal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 in short-term bioassays)

  • 이제봉;성하정;정미혜;권오경;이해근;김영구
    • 농약과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53-58
    • /
    • 1998
  • 벼멸구에 대해 살충성이 있는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를 신농약으로 개발할 목적으로 변이원성 시험, 즉 유전자복귀돌연변이, 염색체이상 및 소핵시험을 수행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을 이용한 복귀돌연변이원성을 TA1535, TA1537, TA98과 TA100 균주를 이용하여 시험한 결과 대사활성화물질(S-9mix)의 첨가여부에 관계없이 유전자에 이상을 미치지 않았으며, CHL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은 EMEM 배지에서 $LC_{50}$$200{\mu}g/m{\ell}$이었으므로 $200{\mu}g/m{\ell}$을 최고농도로 공비2, 농도4로 염색체이상시험을 실시한 결과 200과 $100{\mu}g/m{\ell}$에서 이상세포가 나타났으나 양성으로 판정되지는 않았다.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가 ICR 마우스의 골수세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실시한 소핵시험에서도 음성대조, 양성대조 및 시험물질처리 군에서 PCE 및 MNPCE의 출현율이 모두 정상범위 내에 있어서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가 ICR 마우스의 골수세포에 소핵을 형성시키지 않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2-carbomethoxy-4-chlorodiethyl phosphate는 미생물, 배양세포 그리고 생체 내에서 유전물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물질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Dicofol 저항성 점박이응애의 저항성 유전과 교차저항성 (Inheritance if Resistance in Dicofol-selected Strain of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na: Tetranychidae), and its Cross Resostance)

  • 김길하;송철;박노중;조광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30-236
    • /
    • 1994
  • 실내에서 사육한 점박이응애(Tetranychus urticae Koch)의 감수성계통(S)을 유기염소계 살비제안인 dico-fol을 공시하여 인위적으로 도태선발하여 저항성 발달과 저항성 유전을 조사하고, 교차저항성 유무를 검토하였다. Dicofol을 150회 처리하여 얻은 선발계통($R_d$$LC_{50}$값이 27.5배증가하였다. 감수성계통과 저항성계통의 상호교배에서 얻어진 $F_1$ (R♀, XS♂, R♂, XS♀)은 농도와 사망률 관계에서 감수성 차이가 있었다. 또 $F_1$ (R♀, XS♂, R♂, XS♀)의 우성도는 암컷성충에서 각각 -0.29, -0.72, 수컷성충에서 각각 -0.42, -0.93로 나타났다. 따라서 dicofol 저항성 유전자는 불완전열성에 의해 지배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R_d$ 계통 은 아미트라즈계인 amitraz에 대해서 높은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고, 또한 pyethroid 계 살비제인 acrinathrin, bifenthrin에 대해서도 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Abamectin, chlofenson, clofente-zine, cyhexatin, fenbutation oxide, fenpyroximate, hexythiazox, monocrotophos, propargite, tetradifon에 대해서는 비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한편 유기주석계인 azocyclotin과 fenbutatin oxide에 대해서느 역상관교차저항성을 나타내었다.

  • PDF

윤충류 Brachinus plicatilis와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초기생활사에 미치는 슬래그 추출액의 생태 영향 (Ecological Effects of Slag Extracts on the Initial Life Cycle of the Rotifer Brachionus plicatilis and Benthic Copepod Tigriopus japonicus)

  • 윤성진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490-499
    • /
    • 2016
  • 본 연구는 해양에서 1차 소비자 단계인 윤충류 Brachionus plicatilis와 저서성 요각류 Tigriopus japonicus의 초기생활사에 미치는 탈인슬래그와 제강슬래그 추출액의 생태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해양생태독성평가를 실시하였다. 슬래그 추출액에 대한 스크린 테스트 결과, 추출액의 pH는 높은 알칼리성(pH 8.89-12.16)이었으며, 숙성 전과 후 추출액에 대한 독성 반응은 실험생물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숙성 전 슬래그의 경우, pH 비제어 시료에 대한 B. plicatilis 신생개체의 반수치사농도는 제강슬래그(63.8 %)가 탈인슬래그(20.8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 japonicus 유생의 반수치사농도는 탈인슬래그와 제강슬래그에서 각각 35.3 %와 36.0 %로 비슷하였다. 그러나 pH를 제어한 경우, 숙성 전과 후 추출한 시료에 대한 T. japonicus 유생의 독성은 B. plicatilis 신생개체와는 다르게 노출물질 특성에 따라 뚜렷하게 구분되었다. 결론적으로 숙성 후 슬래그는 상대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pH 비제어 환경조건 하에서도 반복 추출을 통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이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를 통해 슬래그와 같이 기계적으로 활성화 된 시료의 해양생태독성평가방법은 강우나 풍화로 인한 유해물질의 해양 유입을 차단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Effect of Gamiondam-tang (GMODT), a Polyherbal Formula on the Pharmacokinetics Profiles of Tamoxifen in Male SD Rats

  • Ryu, Eun-A;Kang, Su-Jin;Song, Chang-Hyun;Lee, Bong-Hyo;Choi, Seong-Hun;Han, Chang-Hyun;Lee, Young-Joon;Ku, Sae-Kwang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61-72
    • /
    • 2017
  • Objectives: The effects of Gamiondam-tang (GMODT) co-administration within 5min on the pharmacokinetics (PK) of tamoxifen were observed as a process of the comprehensive and integrative medicine, combination therapy of tamoxifen with GMODT to achieve synergic pharmacodynamics and reduce toxicity on the breast cancer. Methods: After 50mg/kg of tamoxifen treatment, GMODT 100mg/kg was administered within 5min. The plasma were collected at 30 min before administration, 30 min, 1, 2, 3, 4, 6, 8 and 24 hrs after end of GMODT treatment,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tamoxifen were analyzed using LC-MS/MS methods. PK parameters of tamoxifen (Tmax, Cmax, AUC, $t_{1/2}$ and $MRT_{inf}$) were analysis as compared with tamoxifen single administered rats using noncompartmental pharmacokinetics data analyzer programs. Results: Co-administration with GMODT induced increased trends of plasma tamoxifen concentrations to 1hr after end of administration, and then showed decreased trends of plasma tamoxifen concentrations, and especially significant (p<0.05) increases of plasma tamoxifen concentrations were demonstrated at 0.5hr after end of co-administration with GMODT and also related significant (p<0.05) decreases of $AUC_{0-inf}$ and $MRT_{inf}$ as compared with tamoxifen single formula treated rats, at dosage levels of tamoxifen 10 mg/kg and GMODT 100 mg/kg within 5 min, in this experimen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t is considered that single co-administration GMODT within 5min significantly inhibited the oral bioavailability of tamoxifen through variable influences on the absorption and excretion of tamoxifen, can be influenced on the toxicity or pharmacodynamic of tamoxif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