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BS 기반

Search Result 548,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Directory Web Service based on EJB (EJB 기반 Directory Web Service)

  • Kim, Jae-Chul;Heo, Tae-Wook;Kim, Sung-Soo;Kim, Kwang-Soo;Park, Jong-Hyun;Lee, Jo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Information Processing Society Conference
    • /
    • 2003.11b
    • /
    • pp.781-784
    • /
    • 2003
  • 본 논문은 Directory Service(white page, yellow page, green page)를 분산환경에 적합하고 시스템 유연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EJB(Enterprise Java Bean)기반 Webservice로 구현한 방법론 및 그 시스템에 관한 논문이다. 기존 개발된 Directory Service가 대부분 폐쇄적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시스템 자체에 유연성이 없는 정적인 시스템으로 구현이 되어있고, 플랫폼에 의존하는 아키텍쳐로 설계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서비스 비개방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개발 아키텍쳐를 웹서비스(Web Service)환경을 기본으로 하고 분산컴퓨팅환경(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EJB로 개발이 되었다.

  • PDF

위치정보와 GIS 고부가 컨텐츠 연계를 통한 LBS 고도화

  • Park, Gyeong-Eun;Do, Sun-Hui
    •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Magazine
    • /
    • v.20 no.4
    • /
    • pp.82-91
    • /
    • 2003
  • 체세대 무선인터넷 서비스의 대표 주자로 정부 및 관련 업계에서 한층 주목받고 있는 위치기반 서비스(Location Based Services, 이하 LBS)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무선망 기술, 위치측위 기술, 서비스 플랫폼 기술,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관련 기술, 단말기 기술 등과 같은 정보통신 산업 전반에 걸침 광범위한 핵심 요소 기술과 GIS와 고부가 컨텐츠와의 연계 및 다양한 응용 서비스 발굴 노력 등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야 한다. 최근에 국내외 이동통신사들이 본격적인 LBS 기반 인프라 구축에 서두르고 있는 이유도 LBS를 무선인터넷 서비스 분야의 차세대 주자로 인식하고 위치 찾기 서비스 부터 고부가 서비스까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여 LBS의 대중화 및 이를 통한 수익 극대화를 실현시키고자 하는 의지의 반영이라 하겠다. 이렇게 급변하는 시장환경을 이해하고 실제 서비스 환경에 맞는 적용 방향으로 GIS 고부가 컨텐츠를 위치정보와 연계하여 고도화된 LBS를 제공하는 필수적인 GIS 고부가 컨텐츠의 효율적인 관리 및 LBS 확대 발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또한 LBS 프레임워크상의 GIS 플랫폼(GIS 컨텐츠 서버)의 구성 및 세부 기능과 컨텐츠 및 서비스 제공자에게 제공할 공통 인터페이스 등을 제안함으로써 LBS 활성화 및 고도화를 위한 구체적인 추진 방법을 기술한다.

LBS 측위기술

  • 양철관;심덕선
    • 전기의세계
    • /
    • v.53 no.5
    • /
    • pp.34-40
    • /
    • 2004
  • 이동통신네트워크에서 위치기반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LBS는 모바일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한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서 휴대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측위기술, LBS 서버기술 그리고 다양한 LBS 응용기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위치측위기술은 위치정보의 정확도에 따라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와 질이 달라지므로 보다 정밀한 위치정보의 추적이 가능한 고정밀 측위 기술은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필수조건이다.(중략)

  • PDF

Development way of LBS and Wireless location technology (위치기반서비스(LBS)와 무선측위기술의 발전방향)

  • 김병국;이종민;엄우학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2.04a
    • /
    • pp.119-127
    • /
    • 2002
  •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는 점차 확대되어 가는 무선정보통신 환경을 통해서 지리정보와 특정목적의 컨텐츠를 결합, 제공하는 서비스이다. 이 글에서는 현재 국내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서비스 사례와 함께 위치기반서비스의 기본적인 구성과 무선측위기술, 그리고 최근 기술동향을 정리하였고 기술발전과 함께 진행되고 있는 국내, 국제표준화기구의 표준화방안과 무선측위기술의 위치정확도 향상방안을 제시하였다.

  • PDF

Location Based Service Technologies and Standards (LBS 기술 및 표준화 동향)

  • Yeo, K.M.;Ahn, J.H.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 /
    • v.25 no.6
    • /
    • pp.11-19
    • /
    • 2010
  • LBS 기술은 현재까지 이동통신 기술의 발전 및 측위 기술의 고도화를 통해 다양한 측위 인프라를 기반으로 발전되어 왔다. 측위 환경 및 방식에 따른 다양한 LBS 솔루션이 공존하며 대부분의 표준 단체에서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네트워크 기반 측위 기술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인프라임에도 불구하고 상용 수준에서 만족할 만한 성능을 보이고 있지 않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네트워크 기반 측위의 중요성 및 범용성을 감안하여 관련 기술 및 표준화 동향을 살펴보고 현재의 기술 수준을 향상시키고 고정밀 위치인자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해결되어야 할 과제에 대해 고찰해 보도록 한다.

Positioning Methods of Location-Based Service (LBS 시스템의 위치 측정 기술)

  • Choi, Chang-Mook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14.05a
    • /
    • pp.710-711
    • /
    • 2014
  • LBS(Location-Based Service)는 위치 정보에 기반을 둔 서비스로, 이동통신망으로 사람이나 사물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를 활용하는 응용 시스템 및 서비스를 가리킨다. 또한 높은 정확도 를 이용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할 수 있어 상업적 잠재력이 뛰어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위치 기반서비스의 위치측정 기술의 여러 방법들을 알라보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스마트폰의 위치 측정결과를 토대로 문제점과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였다.

  • PDF

A Subway Arrival Notification System Using iBeacon (iBeacon을 이용한 지하철 도착 알림 시스템)

  • Jung, Hyun-Hee;Nam, Choon-Sung;Shin, Dong-Ryeol
    • Journal of KIISE
    • /
    • v.42 no.2
    • /
    • pp.272-279
    • /
    • 2015
  • Concurrent with the more widespread usage of smart devices, mobile users' desires are becoming much more complex. Most IT experts insist that smart devices should have additional functions to satisfy these requirements. In particular, research has concentrated on LBS (Locationbased Service), because it is considered one of the most common mobile service types. Generally, Wi-Fi has a critical limitation for use for LBS services, because it requires new network connection points whenever its location (Network Zone) changes. Unfortunately, GPS also has a systematic problem in providing LBS service in the indoor environment, because of its inaccuracy in processing data. So, to redress these limitations, iBeacon technology has been designed, and is currently used for LBS service instead of Wi-Fi or GPS. By using iBeacon, which is based on Bluetooth 4.0 LE technology, we propose a M-SAS (Mobile-Subway-Alarm-Service System) that could accurately and timely provide its users with various mLBS (micro LBS) services, such as current user location, and subway arrival time.

A Study of Tour Game Using LBS based on Smart Phone (스마트폰 기반의 LBS를 이용한 투어게임에 관한 연구)

  • Kim, Yong-Ho;Kim, Hyeong-Gyun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0 no.5
    • /
    • pp.239-244
    • /
    • 2012
  • This paper proposed a tour game using LBS based on smart phone. This game is ba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Silla and spatial background of GyoengJu. A Event of tour game uses a smartphone-based LBS. Game events has occurred by comparing pre-measured GPS values and smart phone A-GPS values. This paper has looked at game planning and run screen. In addition, the future direction of the game were discussed.

A Study on the Displacement Estimation of LBS using Neural Network based on USN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USN기반 LBS(Location Based Service)의 위치 변위 예측에 관한 연구)

  • Kim, Sang-Yun;Kim, Gwan-Hyung;Kang, Sung-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cation Scienc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436-439
    • /
    • 2008
  • 위치기반 서비스(LBS : Local Based Service)는 단연 GPS가 그 중심이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외가 아닌 실내에서의 측위는 GPS신호가 도달할 수 없고, 또한 기존에 연구 중인 실내측위 기술들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서비스가 구현 가능한 ZigBee 기반의 USN내에서 기존의 다양한 센서들이 구동되면서 ZigBee 노드 간의 신호의 세기인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활용한 위치측위시스템을 구현한다. 또한 기존의 RSSI를 활용한 실내측위의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위측측위 알고리즘을 제안하여 보다 정확하고 안정적인 위치정보 시스템을 구현한다. 따라서 실내위치측위가 필요한 다양한 공공장소에 적합한 위치기반 서비스가 도입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 PDF

An Analysis of 3GPP and 3GPP2 Communication Networks for Supporting Location Based Services (위치기반서비스를 제공하는 3GPP와 3GPP2 통신망 비교 분석)

  • Kim, Do-Hyeon;Jin, Hui-Chae;Ha, Su-Uk
    • Journal of Korea Spatial Information System Society
    • /
    • v.4 no.2 s.8
    • /
    • pp.23-34
    • /
    • 2002
  • Various tries are in progress to expand the usability of wireless telecommunication harminized internet technology. The most typical example among those services is LBS(Location Based Service). Nowaday, Standards for telecommunication system of LBS centers round on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and 3GPP2. In this paper we compare the telecommunication system of 3GPP and 3GPP2 in order to make domestic standards of telecommunication system to provide LBS. First, we investigate network models and interfaces of GSM(Global System for Mobile) and ANSI(America National Standard Institute)-41/PCS1900 - Telecommunication type of 2nd generation. Also we consider those of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and cdma2000 - Telecommunication type of 3nd generation. Then we analysis function components for LBS of each network models detail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