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BS

검색결과 870건 처리시간 0.026초

LBS 측위기술

  • 양철관;심덕선
    • 전기의세계
    • /
    • 제53권5호
    • /
    • pp.34-40
    • /
    • 2004
  • 이동통신네트워크에서 위치기반서비스(LBS : Location Based Service)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LBS는 모바일 사용자의 위치를 추정하고 추정한 위치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로서 휴대 단말의 위치를 파악하는 위치측위기술, LBS 서버기술 그리고 다양한 LBS 응용기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위치측위기술은 위치정보의 정확도에 따라서 제공되는 서비스의 종류와 질이 달라지므로 보다 정밀한 위치정보의 추적이 가능한 고정밀 측위 기술은 개인화 서비스를 위한 필수조건이다.(중략)

  • PDF

위치기반서비스(LBS)의 규제와 시장 활성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gulations and Market of Location Based Service(LBS))

  • 남선미;박민수;김경신;김승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141-152
    • /
    • 2014
  • 스마트폰의 확산과 위치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서비스가 확대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위치기반서비스(LBS) 시장이 활성화 되고있다. 하지만, 개인 위치정보 침해사례에 대한 논란이 증가하고 있어 이에 따라 규제 정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위치정보 규제는 이용자의 개인정보와 프라이버시를 보호할 수 있으나, 다양한 서비스의 개발과 산업 활성화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양면성이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전 세계적으로 유일하게 위치정보 관련 독립적인 '위치정보보호법'을 제정하여 높은 위치 정보 규제를 적용하고 있어 LBS 산업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과 산업 활성화를 위한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비판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국내외 LBS 시장 성장과 관련 규제를 비교 분석하여 LBS의 규제가 산업 활성화와 음(-)의 관계 즉, 규제가 강화 될수록 시장 진입 및 사업 활동에 제약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프라이버시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규제를 완화함으로써 LBS 산업을 활성화 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LBS를 위한 개방형 서비스 플랫폼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Open Service Platform for LBS)

  • 민경욱;한은영;김광수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11D권6호
    • /
    • pp.1247-1258
    • /
    • 2004
  • 개인의 이동성을 중심으로 하는 LBS(Location-Based Services, 위치기반 서비스)는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화 및 제반 인프라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다양한 서비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LBS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은 크게 위치 측위 기술, 플랫폼 기술, 컨텐츠 처리 기술 및 이동체 DBMS 기술 등으로 구분된다. 이 중 플랫폼 기술은 위치제공 게이트웨이 서버와 연동하여, 과금, 인증. 위치 정보 보호, 위치 트리거, 지능형 위치획득 등의 일반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국내 표준 단체에서는 위치 정보의 요청 및 제공을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지리 정보의 대표적인 컨소시움인 OGC(Open GIS Consortium)의 OpenLS(Open Location Service)에서는 핵심 LBS를 제공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정의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LBS를 제공하기 위하여 위치제공 게이트웨이 서버 및 컨텐츠 서버와 연동하는 서비스 플랫폼을 구현하였으며, 일반적인 플랫폼의 기능 이외에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첫째, 서로 다른 위치제공 게이트웨이 서버에 대하여 동일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위치 정보를 요청, 제공 할 수 있다. 둘째, OpenLS에서 제공하고 있는 4가지 핵심 컨텐츠 서버와 표준화된 방법으로 연동할 수 있다. 셋째, 기존의 무선 단말의 위치뿐만 아니라 유선 전화의 위치 또한 표준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넷째,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뿐만 아니라, 이동체 서버와 연동하므로 과거 이동 궤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논문은 표준화된 방법을 이용하여 플랫폼의 구현 방법을 제시함으로써, LBS 시스템의 구축 및 활용에 크게 기여하였다.

식별되는 자: 위치기반기술, 원격성과 감시의 문제, 그리고 비-장소(non-place) (The Identified Self: Location-Based Technologies, Surveillance, and Non-place)

  • 이두갑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1-31
    • /
    • 2016
  • 이 글의 목적은 사회과학에서의 "공간적 전환"(spatial turn)이라는 새로운 흐름에 기반하여 근대사회에서의 공간적 배치와 감시에 관한 논의의 일환으로 21세기 위치기반서비스(Location-Based Service, LBS) 기술을 분석하려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우선 위치기반기술을 원거리 식별, 추적, 감시를 통해 시-공간에 대한 관리와 제어를 가능하게 해주는 원격성 기술의 발전이라는 맥락에 위치시켰다. 조정과 감시의 기술로서 LBS를 분석하기 위해 본 논문은 이 기술의 구조를 LBS 시스템의 사용자와 위치정보 서비스, 그리고 시스템 내에서의 정보의 흐름에 따라 규명했다. 이어 LBS 기술의 법적, 사회적 영향, 특히 LBS 기술에 의해 '식별되는 자'의 법적 지위와 감시의 문제를 분석했으며, 특히 미국과 한국의 주요 LBS 사례를 중심으로 프라이버시(privacy)를 둘러싼 이론적이고 공공정책적인 이슈들에 대해 논의했다. 이를 통해 개인의 실제, 오프라인 삶의 광범위한 영역들이 컴퓨터 매개를 통해 일어나는 이 시대에 LBS가 어떻게 "식별되는 자"의 위치정보를 매개로 "생활의 모든 순간"에 대한 추적과 감시를 수행하며 감시 자본주의의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결론으로 본 논문은 LBS를 통해 식별, 감시, 제어되는 개인 주체와 이들이 위치해 있는 공간의 특징을 분석하여, LBS가 비-장소라는 새로운 공간을 생산하며 유사한 정체성을 지닌 '식별되는 자'를 생산하고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했다.

Frictional property comparisons of conventional and self-ligating lingual brackets according to tooth displacement during initial leveling and alignment: an in vitro mechanical study

  • Kim, Do-Yoon;Lim, Bum-Soon;Baek, Seung-Hak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87-95
    • /
    • 2016
  • Objective: We evaluated the effects of tooth displacement on frictional force when conventional ligating lingual brackets (CL-LBs), CL-LBs with a narrow bracket width, and self-ligating lingual brackets (SL-LBs) were used with initial leveling and alignment wires. Methods: CL-LBs (7th Generation), CL-LBs with a narrow bracket width (STb), and SL-LBs (In-Ovation L) were tested under three tooth displacement conditions: no displacement (control); a 2-mm palatal displacement (PD) of the maxillary right lateral incisor (MXLI); and a 2-mm gingival displacement (GD) of the maxillary right canine (MXC) (nine groups, n = 7 per group). A stereolithographic typodont system and artificial saliva were used. Static and kinetic frictional forces (SFF and KFF, respectively) were measured while drawing a 0.013-inch copper-nickel-titanium archwire through brackets at 0.5 mm/min for 5 minutes at $36.5^{\circ}C$. Results: The In-Ovation L exhibited lower SFF under control conditions and lower KFF under all displacement conditions than the 7th Generation and STb (all p < 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FF existed between the In-Ovation L and STb for a 2-mm GD of the MXC and 2-mm PD of the MXLI. A 2-mm GD of the MXC produced higher SFF and KFF than a 2-mm PD of the MXLI in all brackets (all p < 0.001). Conclusions: CL-LBs with narrow bracket widths exhibited higher KFF than SL-LBs under tooth displacement conditions. CL-LBs and ligation methods should be developed to produce SFF and KFF as low as those in SL-LBs during the initial and leveling stage.

유비쿼터스 환경의 기반기술 분석 및 GIS/LBS 활용방안 연구 (Analysis of needs technology and application of GIS/LBS system in Ubiquitous environment)

  • 김태훈;구지희;이상훈;홍창희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5년도 GIS/RS 공동 춘계학술대회
    • /
    • pp.435-440
    • /
    • 2005
  • 언제, 어디서나, 어느 기기로나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컴퓨팅이 가능한 환경을 의미하는 유비쿼터스(Ubiquitous)는 차세대 기술혁명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으며, 중요한 국가 전략 산업으로서 추진되고 있다. 현재 시점에서 우리는 이러한 새로운 패러다임인 유비쿼터스에 대해 GIS/LBS 분야의 기술적 대응을 점검하고, 향후 미래 환경에서의 발전 방향을 예측해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현재 시점의 유비쿼터스 기반 기술을 조사 분석하고 분류하였으며, 향후 전망되는 기술지도(Technical RoadMap)를 작성하였다. 또한 GIS/LBS 분야별 최신 현황을 분석하고, 분류된 유비쿼터스 기술과의 연계 활용 요소 및 중요도를 도출해 보았다 미래의 구체적인 활용 모습을 예측하기 위해 GIS/LBS 분야별 유비쿼터스 기술 활용 시나리오를 제시하였으며, 유비쿼터스 환경에서의 GIS/LBS 미래상을 그려보았다.

  • PDF

Transmission of Map Data of Location-Based Services in Mobile Environment

  • Han, Eun-Young;Choi, Hae-Ock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676-678
    • /
    • 2003
  • Recently, in according as rapid improvement of telecommunication markets and wireless internet technology, Location- Based Services (LBS) have been discussed as new 'Killer' application. The purpose of LBS is to determine location of user through mobile handset and to offer location information service to end-user. This paper has suggested an efficient transmission scheme of maps data as one of the important content services relating to data transmission of LBS in mobile environment. The basic system consists of three parts : (1) GIS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Server for storing, processing and handling map data, (2) Middleware Server for transmitting of map data by request of client, and (3) Client for requesting map data to Server and displaying them on handset. Also, in order to transmit map data, we are to expand WKB (Well Known Binary) in conformance to Simple Feature Specification of OGC (Open GIS Consortium), and increase efficiency of data transmission by developing trans mission data format to be able to transmit lightweight data and considering data compression technology.

  • PDF

OPTIMAL ROUTE DETERMINATION TECHNOLOGY BASED ON TRAJECTORY QUERYING MOVING OBJECT DATABASE

  • Min Kyoung-Wook;Kim Ju-Wan;Park Jong-Hy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5년도 Proceedings of ISRS 2005
    • /
    • pp.317-320
    • /
    • 2005
  • The LBS (Location-Based Services) are valuable information services combined the location of moving object with various contents such as map, POI (point of Interest), route and so on. The must general service of LBS is route determination service and its applicable parts are FMS (Fleet Management System), travel advisory system and mobile navigation system. The core function of route determination service is determination of optimal route from source to destination in various environments. The MODB (Moving Object Database) system, core part of LBS composition systems, is able to manage current or past location information of moving object and massive trajectory information stored in MODB is value-added data in CRM, ERP and data mining part. Also this past trajectory information can be helpful to determine optimal route. In this paper, we suggest methods to determine optimal route by querying past trajectory information in MODB system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uggested method.

  • PDF

EJB 기반 Directory Web Service (Directory Web Service based on EJB)

  • 김재철;허태욱;김성수;김광수;박종현;이종훈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논문집 (중)
    • /
    • pp.781-784
    • /
    • 2003
  • 본 논문은 Directory Service(white page, yellow page, green page)를 분산환경에 적합하고 시스템 유연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EJB(Enterprise Java Bean)기반 Webservice로 구현한 방법론 및 그 시스템에 관한 논문이다. 기존 개발된 Directory Service가 대부분 폐쇄적 네트워크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시스템 자체에 유연성이 없는 정적인 시스템으로 구현이 되어있고, 플랫폼에 의존하는 아키텍쳐로 설계 되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이러한 서비스 비개방 특성을 극복하기 위해서 개발 아키텍쳐를 웹서비스(Web Service)환경을 기본으로 하고 분산컴퓨팅환경(Distributed Computing Environment)의 특성을 고려하기 위해서 EJB로 개발이 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