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BA4404

검색결과 92건 처리시간 0.024초

Agrobacterium LBA4404에 의한 국화 ′Shuho-no-chikara′에 LEAFY유전자의 도입 (Introduction of LEAFY Gene to Chrysanthemum(Dendranthema x grandiflorum(Ramat.) Kitamura) ′Shuho-no-chikara′ Mediated by Agrobacterium LBA4404)

  • 한봉희;예병우;이숙이;이수영;신학기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0권4호
    • /
    • pp.335-339
    • /
    • 2003
  • pSK109를 포함하고 있는 Agrobacterium LBA4004을 통하여 국화 'Shuho-no-chikara'에 LEAFY 유전자을 도입하였다. 엽절편체의 생존율은 kanamycin 10mg/L가 첨가된 배지에서 생존율 약 22%, 절편체의 재분화율이 10%정도였다. 그러나 kanamycin 20mg/L가 첨가된 배지에서는 엽절편은 약 5%정도 생존하였으나 전혀 재분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kanamycin 10mg/L를 1차 선발배지로, 20mg/L를 2차 선발배지로 선발하였다. Agrobacterium LBA4404와 국화 엽절편체를 3일간 공동배양 하는 것이 형질전환에 효과적이었다. LEAFY유전자가 삽입된 pSK109 vector를 포함한 Agrobacterium LBA4404의 형질전환 효율은 2차 선발까지 약 2.8% 였으며, Southern blot한 결과 0.13%만이 형질 전환체로 확인되었다. 형질 전환체 한계통은 포장에서 약 1주일 정도 조기개화하였고 화형은 정상이었다.

호접란의 Agrobacterium 이용 형질전환 시스템의 최적조건 구명을 위한 연구 (Approaches on Optimum Conditions for Agrobacterium-Mediated Transformation of Phalaenopsis)

  • 나애실;빈철구;정병룡
    • 화훼연구
    • /
    • 제18권1호
    • /
    • pp.1-8
    • /
    • 2010
  • 호접란의 형질전환시스템을 확립하기 위한 제 연구를 수행하였다. 항생제 kanamycin, hygromycin 및 spectinomycin 농도(0, 25, 50, 100, 200, and $400mg{\cdot}L^{-1}$)가 품종별 PLB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 hygromycin은 $25mg{\cdot}L^{-1}$에서 모든 품종이 괴사하였으므로 형질전환 개체의 선발 항생제로는 hygromycin이 유리할 것으로 보였다. P. 'Maki Watanabe'와 P. 'Brother Lawrence' 두 품종에서 형질전환체 선발을 위한 DL-Phosphinothricin (PPT)의 적정 농도는 $0.5mg{\cdot}L^{-1}$이었다. 형질전환시 가장 높은 효율을 얻기 위한 공동배양 일수를 결정하기 위한 실험은 Dtps. 'City Girl'과 A. tumefaciens LBA4404를 이용하여 2단계로 이루어졌다. 균주와 VW 배지의 1 : 10 현탁액에 균주와 PLB를 감염시킨 결과 1시간 처리구에서 PLB 생존이 가장 많았다. 그런 다음 공동배양한 결과 5일 배양에서 PLB 생존수가 가장 많았지만, 4일 이상의 공동배양할 경우 PLB 조직이 연화가 되고 약해져서 죽게 되었다. 따라서 오히려 3일 공동배양 기간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박테리아 균주의 종류가 호접란 PLB의 형질전환에 미치는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A. tumefaciens LBA4404(pTOK233)와 EHA105(pGA643)를 이용하였다. LBA4404 보다 EHA105로 감염시킨 PLB의 생존율이 더 높았다. A. tumefaciens LBA4404(pTOK233)와 AGL1(pCAMBIA3301)을 이용한 형질전환 실험에서 치상된 PLB가 초기에 백변하는 정도가 LBA4404를 이용한 경우 눈에 띄게 빠르게 나타났고 새로운 PLB가 유도되는 정도도 매우 낮았다(1% 미만). 반면에 AGL1을 이용한 경우 40% 정도의 새로운 PLB 및 유식물체 형성율을 나타내었다. 형질전환 실험에서 최종적으로 hygromycin 저항성 식물체 11개체와 PPT 저항성 식물체 32개체를 얻어냈으나 진정한 형질전환체인지는 차후에 더 검정이 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ssessment of Factors Influencing Agrobacterium Mediated Transformation in Cucumber (Cucumis sativus L)

  • Sureshkumar P.;Selvaraj N.;Ganapathi A.;Kasthurirengan S.;Vasudevan A.;Anbazhagan V. Ramesh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7권4호
    • /
    • pp.225-231
    • /
    • 2005
  • Five day old cotyledon explants of Cucumber (Cucumis sativus L) cv Poinsett 76 were cocultivated with two Agrobacterium strains (EHA105 and LBA 4404) each carrying GUS as the reporter gene and npt-II as the selection marker gene in the T-DNA region of the vector. Transformed shoots were selected at 150 mg/L kanamycin. A two day cocultivation coupled with $20\;{\mu}M$ acetosyringone increased the frequency (8.2 and 15.4 shoots) of GUS expression in the shoots of transformed plant. Among the two Agrobacterium strains, EHA 105 performed better than LBA 4404 in bringing two-fold increase in transformation efficiency (14%) than LBA 4404 (7.4%). PCR analysis was done to confirm the integration of T-DNA into cucumber genome.

Agrobacterium tumefaciens에 의한 상추 (Lactuca sativa L.)의 형질전환 (Genetic Transformation of Lettuce (Lactuca sativa L.) with Agrobacterium tumefaciens)

  • 최언옥;양문식;김미선;은종선;김경식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5-58
    • /
    • 1994
  • Agrobacterium-based vector를 이용하여 상추를 형질전환 및 재분화 하였다. 즉 $C_{a}$ MV 35S promoter와 GUS 유전자를 reporter로 가지고 있는 pBl121을 Agrobacterium tmfaciens LBA4404에 도입시킨 후 상추의 자엽 절편과 cocultivation을 통하여 형질전환 시키고 재분화 시켰다. Southern 및 Northern 분석을 통하여 형질 전환 및 재분화된 상추에 GUS 유전자가 안정하게 도입되고 식물체내에서 mRNA로 발현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GUS 유전자가 식물 체내에서 단백질로 발현됨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추 잎의 단백질 추출액을 이용하여 분광분석법에 의하여 GUS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시료간의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시료로부터 유의적인 GUS 활성을 확인하였다.

  • PDF

Agrobacterium tumefaciens 에 의한 민들레의 형질전환 (Transformation of Taraxacum mongolicum Hand by Agrobacterium tumefaciens)

  • 여상언;노광수
    • KSBB Journal
    • /
    • 제16권5호
    • /
    • pp.480-485
    • /
    • 2001
  •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민들레가 Agrobacteria 에 대한 숙주로서의 가능성을 조사하고 여러 가지 유용한 유전자를 민들레로 도입시키기 위해, 민들레잎 절편을 pBI121으로 형질전환된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와 10분동안 공동배양하여 형질전환시킨 후, 1$\mu$M IAA, 1$\mu$M BA. 50 $\mu$g/ML Km과 100$\mu$g/ML Cb이 함유된 MS 배지에서 약 2주후에 multiple shoot를 유가시켰다. 유기된 shoot로 부터 유식식물체를 얻었으며, 형질전환을 확인하기 위해 GUS활성을 측정한 결과 양성 반응을 보였다.

  • PDF

형질전환된 꽃양배추에서 Proteinase Inhibitor II 유전자의 발현 (Expression of Proteinase Inhibitor II gene in Transgenic Flowering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DC.)

  • 김창길;정재동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95-98
    • /
    • 1998
  • PI-II cDNA가 도입된 식물발현 벡터인 pGA875를 가진 A.tumefaciens LBA4404를 이용하여 꽃양배추의 하배축 조직에 형질전환하여 식물체를 재분화 시켰다. Dot blot 분석으로 PI-II 유전자가 전사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이들 개체를 담배거세미나방 유충을 이용하여 생물검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형질전환체 잎의 섭식정도가 현저히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개화후 이들 개체의 종자를 받아 후대검정을 실시하였을 때 27,4%가 kanamycin내성을 가진 꽃양배추로 확인되었다.

  • PDF

품종보호를 위한 분자 마커의 Cloning 및 담배로의 전이 (Cloning of Molecular Marker for Cultivar Protection and Transfer to Nicotiana tabacum L.)

  • 구자정;박영두;최근원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7권6호
    • /
    • pp.770-772
    • /
    • 1999
  • 새로 육성된 품종의 보호를 위한 분자마커를 대상 작물에 전이시키는 체계를 확립하고자 본 실험을 실시하였다. 식물에서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 mouse adenosine deaminase(ADA) gene으로부터 분자마커로 활용 가능한 크기의 DNA 단편을 획득하고 이를 pBI101에 삽입하여 chimeric gene을 만들었다. 분자마커를 포함하는 형질전환된 담배를 획득하기 위해 A. tumefaciens LBA4404를 이용하여 형질전환을 실시하였다. 담배 절편체에서 형질전환된 신초를 얻기 위해 BAP $1.5mg{\cdot}L^{-1}$, kanamycin $50mg{\cdot}L^{-1}$과 cefotaxim $200mg{\cdot}L^{-1}$이 혼용된 MS배지에서 선발하였으며 신초 발생후 kanamycin의 농도를 2배, 4배로 증가시켜 chimeric gene이 완전하게 전이되어 저항성을 가진 8개체를 얻었다. 항생제에 의해 선발된 8개체를 분자마커 primer로 PCR분석하여 분자마커가 식물체의 genome내로의 전이를 확인하였다.

  • PDF

배추의 배축절편으로부터 캘러스와 뿌리 발생을 통한 안정적 형질전환 (Stable Transformation via Callus Formation and Rhizogenesis from the Cultures of Hypocotyl Explant of Chinese Cabbage)

  • 조미애;김춘해;민성란;고석민;유장렬;최필선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4권2호
    • /
    • pp.139-144
    • /
    • 2007
  • '정상' 배추의 배축절편을 선발마커로서 paromomycin 저항 성유전자를 갖고 있는 pPTN290으로 각각 형질전환된 EHA101, LBA4404, GV3101균주와 공동배양한 후 갤러스유도배지에서 형질전환캘러스를 얻은 후, 뿌리유도배지에서 부정근을 그리고 신초유도배지에서 신초를 각각 순차적으로 유도하였다. 형질전환캘러스를 얻은 후, 뿌리유도배지에서 부정근을 그리고 신초유도배지에서 신초를 가각 순차적으로 유도하였다. 형질전환캘러스 형성은 Agrobacterium균주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특히 EHA101균주에 공동배양된 배축절편으로부터 최대 6.1%까지 얻어졌다. 또한 각각의 형질전환캘러스 클론으로부터 형질전환 부정근과 신초 발생은 EHA101균주에서 60.7%와 38.2%, LBA4404에서 8.3%와 0%, GV3101에서 20.5%와 85.7%까지 각각 얻을 수 있었다. 형질전환식물체는 특별한 형태적 이상 없이 온실에서 정상적으로 자라 $T_{2}$종자를 얻을 수 있었다. GUS방법으로 7개의 후대 유식물체를 분석한 결과 gus유전자가 안정적으로 발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배추 genome에 single 또는 multiple copy로 전달되고 있음을 추측할 수 있었다.

시험관내에서 합성한 오이모자이크 바이러스 RNA단편을 성공적으로 절단한 ribozyme의 식물체내의 발현 (Expression of in vitro-tested ribozyme against cucumber mosaic virus RNA in tobacco plant)

  • 박상규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55-360
    • /
    • 1996
  • 시험관내에서 합성한 오이모자이크 바이러스 RNA단편을 성공적으로 절단한 ribozyme (한국농화학회지 37: 56-63(1994))을 담배 식물체에 발현시켜 바이러스 저항성 식물체를 만들려고 하였다. 해당 ribozyme의 염기서열을 함유한 DNA 단편을 꽃양배추 바이러스 35S promoter와 nopaline 합성효소 terminator에 연결시키고 연결 부위 및 ribozyme의 염기서열을 확인하였다. 염기서열을 확인한 합성유전자를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에 합성유전자를 함유한 E. coli HB101을 E. coli HB101(pRK2073)를 helper로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4404와 함께 배양하는 tri-parental mating system을 이용하여 도입시켰다. Ribozyme 유전자를 함유한 Agrobacterium 세포를 담배잎 조각과 함께 배양한 후 항생제인 kanamycin을 함유한 MS 배지에서 자란 열개의 작은 식물체를 재분화하였다. 형질전환한 식물체내에 ribozyme 유전자가 존재하는지의 여부는 합성효소증폭반응(PCR)을 이용하였던바, 일곱개체가 예상된 570 염기쌍의 DNA 단편을 가지고 있었다. 이들 중 네 개체로부터 RNA을 분리하여 formamide를 함유한 agarose에서 전기영동한 후 35S-ribozyme-nos의 DNA 단편으로 Northern hybridization을 행하였던 바, 식물세포내의 nuclease에 의해 ribozyme RNA가 분해된 듯 감지 할 수 없었다. 따라서 ribozyme을 이용하여 바이러스 저항성 식물체를 얻으려면 nuclease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ribozyme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꽃양배추로의 Proteinase Inhibitor II ( PI-II ) 유전자 도입 (The Introduction of Proteinase Inhibitor II (PI-II) Gene into Flowering Cabbage, Brassica oleracea var. acephala DC.)

  • 김창길;정재동;안진흥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45-50
    • /
    • 1998
  • 꽃양배추의 하배축 조직을 proteinase inhibitor II 유전자가 도입된 Agrobacterium tumefaciens LBA 4404와 2일간 pH 5.5로 조절된 MS 액체배지에서 공동배양후 carbenicillin 500mg/L kanamycin 20mg/L와 BA 1mg/L가 함유된 MS 재분화배지에 옮겼다. 이들 조직을 매 2주마다 계대배양하였으며 약 4주후에 kanamycin 저항성 개체를 얻었다. 형질전환된 것으로 추정되는 식물체는 kanamycin 30mg/L가 함유된 선발배지에서 생존하였다. PCR 분석결과, PI-II 유전자가 형질전환체의 게놈상에 삽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형질전환체의 Southern blot 분석을 통하여 ECL-labelling된 PI-II 유전자와 동일한 것으로 판단되는 약 500bp 위치에서 밴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

  • PDF